Expression and Deployment of Folk Taoism(民間道敎) in the late of Chosŏn Dynasty

조선 후기 민간도교의 발현과 전개 - 조선후기 관제신앙, 선음즐교, 무상단 -

  • Received : 2012.10.08
  • Accepted : 2012.11.03
  • Published : 2012.11.30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study in what form Folk Taoism in the late of $Chos{\breve{o}}n$ Dynasty has existed and discuss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ideological aspects forming the foundation of private Taoism. While Guan Yu Belief(關帝信仰) in the late of $Chos{\breve{o}}n$ Dynasty is a folk belief focusing on Guan Yu, Seoneumjeulgyo(善陰?敎) and Musangdan(無相壇) are religious groups with organization. In case of Seoneumjeulgyo(善陰?敎), 'Seoneumjeul' contains perspective of Tian(天觀) of Confucianism but the ascetic practice method is to practice by reciting the name of the Buddha and the targets of a belief are Gwanje, Munchang, Buwoo. This shows the unified phenomenon of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of Folk Taoism in the late of $Chos{\breve{o}}n$ Dynasty. Guan Yu Belief started at the national level led by the royal family of $Chos{\breve{o}}n$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was firmly settled in non-official circles. Guan Yu in the late of $Chos{\breve{o}}n$ Dynasty is expressed as the incarnation of loyalty and filial piety as well as God controlling life, death and fate. As this divine power and empowerment were spreading as scriptures among people, Guan Yu Belief was settled as a target to defeat the evil and invoke a blessing. Seoneumjeulgyo is the religious group that imitated 'Paekryunsa(白蓮社)' of Ming Qing time of China. Seoneumjeulgyo emphasized 'sympathy' with God through chanting. And it expressed writing written in the state of religious ecstasy as 'Binan(飛鸞).' Binan is also called as revelation and means to be revealed from heaven in the state united with God. Seoneumjeulgyo pursued the state united with God through a recitation of a spell and made scriptures written in the state united with God as its central doctrine. Musangdan published and spread Nanseo(鸞書,Book written by the revelation from God) and Seonso(善書) while worshipping Sam Sung Je Kun(三聖帝君). The scriptures of Folk Taoismin the late of $Chos{\breve{o}}n$ Dynasty can be roughly divided into Nanseo(鸞書) and Seonso(善書). Nanseo is a book written by the revelation from God and Seonso is a book to the standards of good deeds and encourage a person to do them such as Taishangganyingbian(太上感應篇) and Gonghwagyuk(功過格). The characteristics of Folk Taoism in the late of $Chos{\breve{o}}n$ Dynasty are as follows. First, a shrine of Guan Yu built for political reasons played a central role of Folk Taoism in the late of $Chos{\breve{o}}n$ Dynasty. Second, specific private Taoist groups such as Temple $Myory{\breve{o}}nsa$ and Musangdan appeared in the late of $Chos{\breve{o}}n$ Dynasty. These are Nandan Taoism(鸞壇道敎) that pursued the unity of God through 'sympathy' with God. Third, private Taoism of $Chos{\breve{o}}n$ was influenced by the unity of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with private Taoism in the Qing Dynasty of China and religious organization form etc. Fourth, the Folk Taoism scriptures of $Chos{\breve{o}}n$ are divided into Nanseo and Seonso and Nanseo directly made in $Chos{\breve{o}}n$ is expected to be the key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Folk Taoism.

본 연구는 조선후기 민간도교가 어떠한 형태로 존재해 왔는가를 고찰하고, 민간도교의 근간을 이루는 사상적 측면의 내용과 특징에 대해 논구하려는 것이다. 조선 후기 관제신앙이 관우를 중심으로 하는 민간신앙이라면, 선음즐교(묘련사)와 무상단은 조직을 갖춘 종교결사이다. 선음즐교(묘련사(妙蓮社))의 경우 '선음즐(善陰?)'은 "서경(書經) 주서(周書)"의 홍범전(洪範傳)에서 유래한 유학의 천관을 담고 있지만 수행의 방법으로는 보살성호(예-관세음보살)를 주문으로 수행하고, 신앙의 대상은 삼성(三聖)(관제, 문창, 부우)이다. 이러한 점은 조선 후기 민간도교의 삼교합일적 현상을 보여준다. 임란 이후 왕실의 주도로 국가적 차원에서 시작되었던 관제신앙은 민간에서 확고히 자리 잡게 된다. 조선 후기 관제(關帝)는 충과 효의 화신이면서 유 불 도의 삼교 교권을 집장하며, 생사 죄과 명운을 관장하는 신으로 표현된다. 이러한 신의 위력과 가피력이 민간에 경전으로 유포되면서 관제신앙은 벽사와 구복의 대상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선음즐교 '묘련사'는 명청대 '백련사(白蓮社)'를 모방한 종교결사이다. 선음즐교는 염불을 통한 신과의 '감응(感應)'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종교적 엑시터시(ecstasy)의 상태에서의 강필(降筆)을 비난(飛鸞)으로 표현하였다. 비난(飛鸞)이란 부난(扶鸞) 부계(扶?)라고도 하는데, 종교결사에서 경전을 만드는 방법으로, 신과의 합일 상태에서의 강필을 의미한다. 선음즐교는 부주수행을 통해 신과의 합일 상태를 추구하였으며, 신과의 합일 상태에서 강필한 경전을 교단의 중심 교리로 삼았다. 선음즐교의 난서 "제중감로(濟衆甘露)"의 서문을 장식한 여순양이 강림한 곳이 '무상단(無相壇)'이다. 무상단은 서정(徐珽), 정학구(丁鶴九), 유운(劉雲), 최성환(崔?煥)이 주축이 된 독립된 교파로 관성제군, 문창제군, 부우제군의 삼성제군(三聖帝君)을 숭배하면서 난서(鸞書)와 선서(善書)를 편찬하고 간행 보급하였다. 조선후기 민간도교 경전은 크게는 난서(鸞書)와 선서(善書)로 구분할 수 있다. 난서(鸞書)는 비난시(飛鸞時)의 관성제군 문창제군 부우제군 강필서이고, 선서(善書)는 "태상감응편"과 "공과격" 같은 선행의 표준을 보여주고 권면하기 위한 책이다. 조선 후기 민간도교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치적 이유로 지어진 관묘가 조선 후기 민간도교의 구심점 역할을 했다는 점이다. 관제신앙은 구복과 벽사의 대상으로 민간에 널리 확산되었다. 둘째 조선 후기에는 묘련사와 무상단이라는 구체적인 민간도교단체가 등장했다. 이들은 '감응'을 통한 영성(靈性)의 고양을 통해 신과의 합일을 추구한 난단도교(鸞壇道敎)였다. 셋째 조선의 민간도교는 청대 민간도교의 유불도 합일과 종교결사의 조직형태 난단도교 등의 영향을 받았다. 넷째 조선의 민간도교 경전은 난서(鸞書)와 선서(善書)로 구분되는데, 조선에서 직접 만들어진 난서(鸞書)는 민간도교의 특징을 밝혀줄 열쇠가 되리라고 기대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