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Formation of the Ruling Ideology of the Han Dynasty and the Meaning of the Thoughts of Dongzhongshu -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istory of thought and the religious characteristic -

한조(漢朝) 통치이념의 형성과 동중서(董仲舒) 사상의 의미 - 사상사적 상호연관성과 종교성에 주목하여 -

  • Received : 2017.04.14
  • Accepted : 2017.05.23
  • Published : 2017.05.30

Abstract

In the early days of human history, the governing groups of rulers needed to justify their rule. The cause of rule became the ruling ideology. In China, the backbone of the ruling ideology was originally referred to as 'Di(帝)' or 'Shangdi(上帝)', who was later replaced by 'Tian(天)', Heaven. So there was a claim that Heaven gave the cause of the rule. This idea is the 'Tianming (天命)' idea. When the Zhou(周) Dynasty took control of the central government, the 'Tianming' idea had had a relatively sophisticated form. It was the 'Zhouli(周禮)' that organized the systematic order of the Zhou Dynasty. After this system collapsed, those who recognized 'Zhouli' as a desirable social system considered the collapse of 'Zhouli' as a situation of turbulent age. It was Qin(秦) State that unified all of the states of the period. However, after the unification, the Qin Dynasty fell sharply. The next dynasty was the Han(漢) Dynasty. The new ruling powers of the Han Dynasty needed to justify their regime. That means that it was necessary to establish the ruling ideology of the Han Dynasty. The representative of the ruling ideology of the Han Dynasty was Dongzhongshu, whose thought was based on Confucianism. His thought was related to "Chunqiugongyangzhuan(春秋公羊傳)", an interpretation of "Chunqiu(春秋)". This interpretation perspective is based on the idea of religious Heaven. Dongzhongshu thought that there were co-communions between Heaven and humans. His thought has the meaning of political theology in which rulers hold the basis of the rulers' sovereignty.

인류역사의 초기에 한 사회의 통치그룹은 그들의 통치를 정당화할 명분 즉 통치이념을 필요로 했다. 중국의 경우 상고시대 통치이념의 중추는 원래 '제(帝)' 또는 '상제(上帝)'였는데, 이후 '천(天)'으로 대체되었다. 그래서 이 천이 통치명분을 준다는 주장이 있었다. 이것이 왕권을 '천이 준다'는 '천명(天命)'사상이며, 이 천명사상이 상대적으로 세련된 형태로 통치이념화한 것은 주(周)가 중앙정권을 차지하면서이다. 이 주(周)의 체제질서를 조직화한 것이 이른바 '주례(周禮)'이다. 이후 이 체제가 붕괴되었는데, 주례를 바람직한 사회질서로 인정하는 이들은 이 주례 붕괴 현상이 사회적으로 나타난 상황을 '난세(亂世)'로 본다. 이 상황을 종결 짓고, 당시의 중국천하를 통일한 나라가 진(秦)이다. 통일 후의 진왕조(秦王朝)가 급격하게 망한 후 그 뒤를 이어받은 왕조인 한조(漢朝)의 지배세력 역시 그들의 정권획득을 정당화할 통치이념을 수립할 필요가 있었다. 한조(漢朝)의 통치이념 확립에 기여한 대표자는 동중서(董仲舒)인데, 그의 기본적 사상은 공자(孔子)의 "춘추(春秋)"에 기반을 두는 유교사상이다. 그는 "춘추"의 한 해석인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에 따라 한조의 통치이념 마련에 기여하였다. 이 해석 관점은 종교적 천관념에 기반한다. 동중서(董仲舒)는 하늘과 사람 사이는 원래 교감, 소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고 한다. 동중서(董仲舒)의 사상은 기본적으로는 통치자의 통치권의 근거를 하늘에 두려는 정치신학의 의미를 가진다. 또, 한편으로는 자연재이의 일차적 책임을 최고통치자에 둠으로써 최고통치자의 권력을 견제하려는 이론적 수단을 가지려는 의미도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부산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