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yroid Carcinoma

검색결과 419건 처리시간 0.025초

MEN Type 2 (Sipple's Syndrome)의 신티그램 소견 (Scintigraphic Evaluation of Multiple Endocrine Neoplasia Type 2 (MEN Type 2))

  • 이재태;이규보;황기석;김보완;이인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22-128
    • /
    • 1991
  • Multiple endocrine neoplasia type 2 (MEN type 2, Sipple's syndrome) is a rare disorder characterized by the association of medullary carcinoma of the thyroid, parathyroid hyperplasia and can be diagonsed in early stage of the disease by meticulous screening tests of the family. This case report describes the location and categorization of tumors using $^{99m}Tc-pertechnetate,\;^{131}I-NaI,\;^{99m}Tc-pentavalent(V)$, DMSA $^{131}I-MIBG$ scans in two cases of MEN type 2 occurred in a 32-year old women and her 29-year old brother. In MEN type 2, we think, combined use of $^{99m}Tc-(V)-DMSA,\;^{99m}Tc-pertechnetate\;and\;^{131}I-MIBG$ may be useful for the categorization of tumor mass lesions and planning appropriate therapy.

  • PDF

유두상(乳頭像) 갑상선암(甲狀腺癌)에서 VEGF, HIF-$1{\alpha}$, E-cadherin, p53의 발현(發現)과 병기(病期)의 관련성(關聯性) 연구(硏究) (Relationship between the Expression of VEGF, HIF-$1{\alpha}$, E-cadherin, p53 and Stage in Papillary Thyroid Carcinoma)

  • 김종삼;나백주;이무식;김철웅;정계림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335-33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HIF-$1{\alpha}$의 과발현은 VEGF의 발현과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음을 보여 주었다. 그리고, HIF-$1{\alpha}$의 과발현과 E-cadherin의 발현 사이에도 연관성은 있었지만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종양의 병기와 VEGF, HIF-$1{\alpha}$, E-cadherin, p53의 상관성을 살펴본 결과 E-cadherin에서만 유의성이 관찰되었다. 갑상샘 유두암종에서 HIF-$1{\alpha}$의 발현이 종양의 증식과 관련된 단백, 특히 맥관형성과 관련된 단백인 VEGF의 발현, p53의 축적 및 E-cadherin의 발현소실과의 관계, 그리고 병리학적 표지자와의 관련성을 조사하고, 갑상샘 유두암종 환자의 수술후 예후와의 관계를 알고자 하였다.

  • PDF

부신경절종의 세침 흡인 세포학적 소견 - 1례 보고 -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of Carotid Body Paraganglioma - A Case Report -)

  • 김준미;조영채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77-80
    • /
    • 1993
  • 부신경종은 주로 두경부에 발생하는 종양으로서 그 조직학적 소견은 잘 알려져 있으나 세포학적 고찰은 드문 편이다. 저자들은 30세 여자 환자의 경동맥체에 발생한 부신경절종 1례의 세침 흡인 세포학적 소견을 보고하고자 한다. 환자는 3년간 지속된 직경 3cm의 좌측 경부 종괴를 호소하였으며 본 종괴에서 세침 흡인 세포학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종양세포는 집단이나 낱개로 흩어져서 관찰되었는데 중등도의 세포질을 가졌으며 세포경계는 불분명하였다. 핵은 둥글거나 난원형으로서 간혹 거대핵의 관찰되었다. 핵질은 미세한 응집을 보였고 때로 핵소체가 존재하였다. 본 종양은 발생위치와 세포학적 소견이 갑상선에서 전이한 여포암종과 유사하였으며 기타두경부에 발생하는 원발성 및 전이성 병변과의 감별이 요구된다.

  • PDF

기관 절제 및 단단 문합술에 의한 기관 협착증의 치료 (Clinical Analysis of Cases of Segmental Resection and Primary Anastomosis in Tracheal Stenosis)

  • 신호승;김영민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7-34
    • /
    • 1998
  • Despite improvement in respiratory care, including use of low pressure and high volume cuffed tubes, tracheal stenosis remains a serious complication after a long-term tracheal intubation and tracheostomy. In such patients, tracheal resection and primary anastomosis is still considered ideal therapeutic modality. Between 1989 and 1997, we performed tracheal resections with end-to-end anastomosis on 14 patients with no operative mortality and some morbidity. Tracheal stenosis was caused by tracheostomy in nine patients, by endotracheal intubation in three patients and by thyroid carcinoma in two patients. The length of stenosis was various from 2cm to 4.5cm. All patient underwent segmental tracheal resection and primary anastomosis(14 patients) and additional procedures were cricoid cartilage reconstruction(2 patients), suprahyoid laryngeal release(3patients), carinal release technique(2 patients) and arytenoidectomy(2 patients). We have nine complications: granulona at anastomosis site in four patients, vocal cord palsy in two patients and restenosis, pneumonia, skin necrosis in each of those patients. The granuloma was removed by bronchoscopic forceps(4 patients). Vocal cord palsy was treated by arytenoidectorny(2 patients), restenosis by T-tube insertion, pneumonia by antibiotics and skin necrosis was treated by skin graft. We reviews our expenence of clinical features of tracheal stenosis and surgical treatment by tracheal one-to-end anastomosis with additional procedures to avoi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for sucessful results.

  • PDF

갑상선암의 방사성옥소 치료 후 전신 스캔에서 비타민C 용액을 이용한 식도의 위양성 병소 제거에 대한 고찰 (An Elimination of False-Positive I-131 Sites in Esophagus for Thyroid Carcinoma; Using Water with Vitamin C Dissolved)

  • 이승재;박훈희;안샤론;조석원;최영숙;조응혁;김재삼;이창호
    • 핵의학기술
    • /
    • 제12권1호
    • /
    • pp.49-56
    • /
    • 2008
  • Purpose: Whole body imaging with radioiodine can detect functioning metastases. Non-physiologic I-131 uptake detected on images usually is interpreted as suggesting functioning thyroid metastases. However, extra-thyroidal I-131 accumulation does not always imply thyroid cancer metastases and has been reported in many circumstances. In order to avoid unnecessary therapeutic interventions it is important to distinguish false-positive sites of I-131 localization. We study here to remove false-positive sites around esophagus region on I-131 whole body imaging in patients who were administrated thyroidectomy. Materials and Methods: From April to August in 2007, we had the patients who had visited our department after they received thyroidectomy due to thyroid cancer. They were given I-131, and performed radioiodine body scan after 41 to 50 hours. Patients were whole-body-scanned for the speed of 8 cm per minute. After that, we took anterior and posterior static images around the patients' neck measured by 300 thousand counts per image. We selected 44 patients who had hot spots around neck region, we divided the patients into two groups. One group was given 0.5 L of water and the other group was given 0.5 L of water with 1 g of Vitamin C dissolved. The patients were asked to drink the fluid for one minute in sitting position and after that, we measured 300 kilo counts per image again. We compared prior anterior, posterior static images with anterior, posterior images after the patients had water or water that Vitamin C resolved. Results: In using water, both observer 1 and 2 interpreted 6 patients were washed out. In the water with Vitamin C resolved, observer 1 and 2 interpreted 9 and 8 patients were washed out. Observer 1 and 2 interpreted 6 and 5 patients had 'indeterminate' when they used water. Both observer 1 and 2 interpreted 6 patients had 'indeterminate' when they used water with Vitamin C resolved. When they used water, observer 1 interpreted 10 patients had 'unchanged' and observer 2 interpreted 11 patients had 'unchanged'. Differently, when they used water with vitamin C resolved, observer1 had 8 patients having 'unchanged'and observer 2 had 9. Conclusion: As a result, by making patients drink 0.5 liter of water which has vitamin C resolved helped getting rid of false-positive sites in esophagus. Therefore, based on this study, we believe that drinking water with vitamin C dissolved is very in terms of reducing false-positive hot spot around the esophagus for the iodine-131 whole body scan.

  • PDF

신경내분비종양 진단에 있어서 I-123 MIBG 조기 평면 영상과 SPECT 영상의 임상적 유용성 (Clinical Usefulness of I-123 MIBG Scintigraphy with Early Planar and SPECT Image in The Diagnosis of Neuroendocrine Tumors)

  • 신중우;류진숙;원경숙;최윤영;김희중;양승오;이희경;서용섭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16-523
    • /
    • 1996
  • 목 적 : 신경내분비종양 진단에 대한 I-123 MIBG 스캔의 4시간 조기 영상과 SPECT 영상의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시행하였다. 대상과 방법 : CT 또는 MRI를 시행하여 신경내분비종양이 의심되었던 21예를 대상으로 I-123 MIBG 스캔을 시행하였으며 4시간에 전신 평면 영상과 SPECT 영상을 얻고, 17예에서는 12-24시간 사이에 지연 평면 영상도 얻었다. 결 과 : 21예중 12예에서 신경내분비종양으로 확진되었고, 4시간 I-123 MIBG 스캔의 진단적 예민도는 75%, 특이도는 89%였다. SPECT 영상은 CT나 MRI와의 비교 분석에 용이하였다. 지연 영상은 일부 진양성을 소견을 보인 예에서 종양 대 배후 방사능의 비가 증가하여 병변 확인에 도움이 되었으나 4시간 평면 영상과 진단율에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I-123 MIBG 스캔은 4시간 조기 영상으로도 신경내분비종양의 진단에 유용했으며, SPECT 영상은 다른 진단매체와의 비교 분석이 용이하였고 향후 종양의 종류에 따라 더 많은 예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하였다.

  • PDF

전이성 병소에 의해 발생한 급성 충수염의 천공으로 진단된 전신병기 소세포폐암 1예 (A Case of Extensive Stage Small Cell Lung Cancer Presenting as an Acute Appendicitis with Perforation)

  • 신동원;최문한;박승식;박성우;김기업;장안수;박춘식;임철완;고은석;백상현;김도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5권3호
    • /
    • pp.230-234
    • /
    • 2008
  • 본 증례에서 환자는 폐렴 치료 중 갑자기 발생한 복통을 주소로 급성 충수염을 진단받고 수술을 시행 받았다. 그 후 조직 검사 결과 소세포암으로 진단되었고 폐병변에 대해 추가적인 검사 결과 소세포폐암이 진단된 경우이다. 저자들은 소세포폐암의 충수 전이를 국내에서 처음으로 경험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두경부 종양에서 $^{99m}Tc$-(V)-DMSA 영상술의 진단적 유용성 (The Clinical Role of $^{99m}Tc$-(V)-DMSA Imaging in Patients with Head and Neck Cancer)

  • 배선근;이재태;박준식;박인규;현동우;이영학;김정균;안병철;최지용;손상균;이규보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26-532
    • /
    • 1995
  • 두경부의 악성 종양의 진단에서 $^{99m}Tc$-(V)-DMSA 영상술은 비교적 높은 양성율을 보여 주었고 (Planar 65%, SPECT 90%), 원격 전이부위의 영상진단에도 도움이 되었다. 그러나 $^{99m}Tc$-(V)-DMSA는 두경부의 양성 병변에도 섭취가 될 수 있어, 판독 시 임상검사 및 다른 영상소견과의 비교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구강 및 악골에 생긴 전이 암종 (METASTATIC CARCINOMA OF ORAL CAVITY)

  • 김창수;이정훈;안희용;정상철;최홍식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2권1호
    • /
    • pp.142-147
    • /
    • 1990
  • 구강내에 발생하는 암종은 원발성으로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지만 신체내 다른 부위의 원발성 암종에 의해 이차적으로 전이되기도 한다. Clausen 과 Poulsen에 의하면 원발성 암종중에서 breast, lung, kidney, thyroid의 순으로 구강내 전이암종을 많이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문헌에 의하면 구강 및 악골에 발생한 전이암종 중에서 약 70%가 adenocarcinoma 이며 주로 혈행적(hematogenous) 전이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때 전이는 일차적으로 악골내에, 이차적으로 연조직에 전이되며, 이로인해 발생한 악성 전이 암종은 구강내에 발생하는 악성종양의 약 1%에 해당한다. 그러나, 실제로 이의 발견이 어려운 것은 악골에 대한 일상의 검사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환자 자신이 특별한 증상을 호소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교실에서는 문헌상 빈도수가 적은 gall bladder cancer 와 pancreatic tumor 에서 전이된 암종이 특이하게 악골내에서는 나타나지 않고 연조직에만 발생하였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재발된 진행 갑상선 유두암의 국소 및 부위 치료를 위한 수술후 보조 외부방사선의 역할 (The Role of Adjuvant Postoperative External Beam Radiotherapy for Locoregional Control in Recurrent Advanced Papillary Thyroid Carcinoma : Preliminary Report in a Single Institute)

  • 박성호;이국행;이병철;이명철;최익준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9-35
    • /
    • 2015
  • 목적 : 국소 재발한 진행된 갑상선 유두암의 치료로 수술 후 외부방사선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원자력병원에서 2000년 1월부터 2012년 2월까지 사이버나이프 혹은 외부방사선 치료를 받은 수술과 방사선요오드 치료 후 국소 재발한 진행된 갑상선 유두암 환자 13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경과관찰 기간 동안 국소 및 부위 재발이 발생환 환자는 6 명이었다. 몇몇의 위험인자를 찾기 위해서 Kaplan-Meier method와 log-rank test를 이용하여 성별, 종양단계, 방사선 치료 전 수술 횟수, 방사선요오드치료 횟수, 수술 후 잔존 암의 여부, 원격전이에 대해 단변량 분석하였다. 결과 : 방사선 치료 후 평균 추적관찰기관은 53.8개월(범위, 36 ~ 108개월)이고 그중 남자는 4 명이었다. 1년, 2년의 무진행 생존률은 각각 76.9와 53.8%였다. 단병량 분석은 성별과 잔존 암여부(p = 0.0475 and p = 0.0475, 각각)에 따라 무진행 생존률이 진행한 그룹과 진행하지 않은 그룹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 결론 : 외부 방사선 치료 전에 잔존 암이 없었던 환자의 100%에서 국소 및 부위 재발이 일어나지 않았다. 외부방사선 치료는 수술과 방사선요오드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 중 수술 후 잔존 암이 없는 경우에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 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