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ymus quinquecostatus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6초

섬백리향(꿀풀과)에 대한 선정기준표본 설정과 분류학적 검토 (Lectotypification and identity of Thymus quinquecostatus var. magnus(Nakai) Kitam. (Labiatae))

  • 임용석;김영동;신현철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29-136
    • /
    • 2006
  • 울릉도 고유종으로 알려진 섬백리향(Thymus quinquecostatus var. magnus (Nakai) Kitam.)의 기준표본 선정을 위하여 동경대학교 표본관에 소장된 표본들을 조사하였으며, 이들 표본들 가운데 Nakai가 나리분지에서 채집한 표본은 선정기준표본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섬백리향의 학명으로 자주 사용되고 있는 T. quinquecostatus var. japonicus H. Hara의 분류학적 실체를 파악하고, 이 분류군과 섬백리향과의 분류학적 차이점을 규명하였다.

백리향 (Thymus quinquecostatus Celakovsky) 잎에 분포하는 두상형 분비모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Capitate Glandular Trichome in Leaf of Thymus quinquecostatus)

  • 신현철;유성철
    • Applied Microscopy
    • /
    • 제28권2호
    • /
    • pp.159-170
    • /
    • 1998
  • The glandular secretory system of the capitate gandular trichomes in leaf of Thymus quinquecostatus Celakovsky was examin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he glandular trichome was consisted of three cell layers; an basal cell layer, a stalk cell with single-celled intermediate layer and a discoid secretory layer with thickened cuticle. The secretory cell was dense, rich in mitochondria, rER, plastds, Golgi complex and had many vesicular structure. Typical plastids with reticulate body and plastoglobule were present in glandular trichome. The tytoplasm of secretory cell was filled with osmiophilic secretory materials. The secretory vesicles, originated from Golgi complex, appeared as membrane bounded vesicles and secreted to the outer wall surface. The presences of well developed rER, mitochondria, Golgi complex, and membrane-bounded vesicles fused with plasmalemma in the secreting cells indicate that the granulocrine mechanism of secretion was occurring in T. quinquecostatus. Subcuticular cavity was developed between the cuticular layer and the secretory cell wall, and it formed above the secretory cell upon separation of cuticle-wall.

  • PDF

백리향 (Thymus quinquecostatus Celak.)의 기내증식에 미치는 식물생장조절물질의 영향 (Influence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Shoot Multiplication of Thymus quinquecostatus Celak.)

  • 이금영;강호덕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1권1호
    • /
    • pp.37-41
    • /
    • 2004
  • 백리향(Thymus quinquecostatus Celak.)의 기내번식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줄기증식에 미치는 싸이토키닌 효과를 조사하였다. 시료식물은 MS배지에 thidiazuron등 5종의 싸이토키닌을 단독 또는 혼합 처리하여 광배양 또는 암배양 조건에서 식물체 증식을 유도하였다. 백리항의 대량증식에 효과적인 cytokinin종류와 농도는 명배양시 줄기수에 있어서 BA 1.0+TDZ 0.1mg/L (6.50$\pm$1.51) 였고, 신초의 길이는 zeatin 2.0+TDZ 0.1mg/L(3.27$\pm$0.7)가 최적 조건이었다. 또한 암배양시 줄기수의 경우엔 처리간에 별다른 차이 없이 비슷한 경향을 나타낸 가운데 2-ip 2.0mg/L로 처리하였을 때가 가장 뛰어났고, 줄기의 신장은 zeatin 2.0mg/L일 때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전체적으로 기내에서 대량증식율은 평균 89.58%로 비교적 대부분의 시료에서 식물체가 유도되었다.

In Vitro Inhibitory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from Two Korean Thymus species against Antibiotic-Resistant Pathogens

  • Shin, Seung-Won;Kim, Ji-Hyu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8권8호
    • /
    • pp.897-901
    • /
    • 2005
  • The in vitro inhibitory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from Thymus magnus and T. quinquecostatus as well as their main constituents were evaluated against susceptible and resistant species of Streptococcus pneumoniae,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enteritidis, and Salmonella typhimurium. Notably, the essential oil fraction of T. magnus and its main components displayed significant inhibitory action against both antibiotic-susceptible and resistant strains of S. pneumoniae, S. aureus, and S. typhimurium with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s) ranging from 0.125 to 8 mg/mL. The differential MIC values imply that the oil fraction and its main components exhibit distinct patterns of activity against the tested bacterial species. Moreover, the disk diffusion test revealed that the inhibitory activities of oil fraction and components were dose-dependent. Data from the checkerboard titer test confirmed synergism between the antibiotic, norfloxacin, and T. magnus oil or thymol, particularly against the resistant strains of S. aureus.

The compostions of essential oils from Thymus species and their antifungal activities

  • Shin , Seung-Won;Pyun, Mi-Sun;Kim, Ji-Hyun;Lim , Sook;Kim, You-Sun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207.2-207.2
    • /
    • 2003
  • To develop useful antifungal agents from essential oils in Korean plant resources, the activities of Thymus quinquecostatus and T. quinquecostatus var. japonica were evaluated against ten pathogenic fungi. Their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 vulgaris, which is native to Europe.The essential oils of the tested Thymus species were obtained by steam distillation using a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extraction apparatus. The above ground parts of plants cultivated in the herbal garden of Duksung Women"s University were used. (omitted)

  • PDF

백리향(百里香)과 섬백리향(百里香)의 정유성분(精油成分) 조성(組成) (Essential Oils of Thymus quinquecostatus Celakov. and Thymus magnus Nakai)

  • 김영회;이종철;최영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234-240
    • /
    • 1994
  • 우리나라에서 자생(自生)하고 있는 백리향(百里香)과 섬백리향(百里香)의 정유성분(精油成分)을 분석(分析) 비교(比較)코저 SDE방법(方法)에 의해 정유(精油)를 분리(分離)한 다음 GC-MS 및 GC에서 표준품(標準品)과의 머무름 시간(時間) 비교(比較)에 의해 성분(成分)을 확인(確認)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백리향(百里香)의 정유함량(精油含量)은 건물중앙(乾物重量)으로 1.94% 이었고, 섬백리향(百里香)의 경우 배엽부위(輩葉部位)에서는 1.91%인데 비하여 꽃에서는 0.68%이었다. 2. 3종류(種類)의 시료(試料)에서 38종(種)의 성분(成分)이 확인(確認)되었는데 그중 백리향(百里香)에서 분리(分離)한 정유(精油)에서는 thymol(39.8%), ${\gamma}-terpinene(10.0%)$, ${\rho}cymene(9.2%)$, camphor(5.9%), ${\alpha}-terpinene+borneol(4.5%)$ 및 bornyl acetate(4.0)가 주성분(主成分)이었고, 섬백리향(百里香)에서는 thymol(54.7%), ${\gamma}-terpinene(15.8%)$, ${\rho}cymene(6.7%)$ 및 carvacrol (3.2%)등이 주성분(主成分)이 었다. 3. 백리향(百里香)과 섬백리향(百里香)을 비교(比較)했을때 ${\alpha}-pinene,\;camphene,\;camphor,\;bornyl\;acetate$${\alpha}-terpineol+borneol$ 등(等)은 백리향(百里善)에 서 많이 검출(檢出)된 반면 ${\gamma}-terpinene$, thymol은 섬백리향(百里香)에서 많이 검출(檢出)되었으며, 섬백리향(百里香)을 부위별(部位別)로 비교(比較)했을 때 thymol, ${\gamma}-terpinene$은 잎에서 많이 검출(檢出)되었으나 f-cymene은 잎보다는 꽃에서 특징적(特徵的) 으로 많이 검출(檢出)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 PDF

In vivo Anti-fungal Activity of the Essential Oil Fraction from Thymus Species and in vitro Synergism with Clotrimazole

  • Kim, Ji-Hyun;Shin, Seung-Wo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3권3호
    • /
    • pp.258-262
    • /
    • 2007
  • The antifungal activity of the essential oil fraction from Thymus magus, and its major component thymol, against Candida albicans was investigated in vitro and in vivo. The combined effects of the oils and clotrimazole, a commonly used antifungal drug for treatment of external candidiasis, were evaluated in this study. In experimental vaginal candidiasis the essential oil fraction of T. magnus resulted in relatively milder inhibition of fungal growth following the inoculation of test mice compared to clotrimazole. However, new fungal growth was not detected up to 12 days after cessation of treatment. In contrast, in a similar experiment using clotrimazole, C. albicans was detected in the $12^{th}$ day post-treatment with the sample. This result indicates that T. magnus oil could be a promising drug to control vaginal candidiasis. In checkerboard titer tests, the combination of clotrimazole with the essential oil fraction of T. magus or T. quinquecostatus resulted in significant synergism, with FIC indices between 0.14 and 0.27 against C. albicans, while clotrimazole combined with thymol, the major component of these oils, produced only an additive effect, with FIC indices ranging between 0.50 and 1.00. Thus, the prominent synergistic effects of clotrimazole combined with T. magus essential oil indicate that these compounds may be an effective treatment for C. albicans infections.

사람의 각질세포에서 UVB 유도에 따른 MMP-1의 발현 조절과 MAPKs 인산화에 타임 추출물이 미치는 효과 (Protective effect of Thymus quinquecostatus extracts UVB-induced matrix metalloproteinase-1 via suppressing MAPKs phosphorylation in human keratinocyte)

  • 정하나;정현주;신경희;김영선;문제현;이태훈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1권4호
    • /
    • pp.417-421
    • /
    • 2018
  • 자외선은 가시 광선보다 파장이 짧은 전자기파이며, 오존층을 통과하는 자외선이 피부 노화의 주요 원인이다. 피부 조직을 자외선에 만성적으로 노출 시키면 인간 각질 형성 세포에서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신호 전달 경로가 활성화되어 매트릭스 metalloproteinases (MMPs) 생성이 증가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의 초본 추출물을 대상으로 자외선 자극을 통해 인간 각질 형성 세포(HaCaTs)의 항 노화 효과에 대해 조사 하였다. 우리는 자외선 유도 된 각질 형성 세포에서 MMP-1 유전자와 단백질 발현 수준을 측정 하였으며 그 결과, Thymus quinquecostatus 추출물(TQE)은 자외선 조사된 HaCaT 세포에서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MMP-1의 발현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TQE는 MAPK 신호 전달요소 인 ERK1/2, JNK1/2 및 p38 단백질의 자외선 유도에 따른 인산화를 유의 적으로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MAPKs 경로가 인간 각질 세포에서 UV 유도 MMP-1 생산에 대한 TQE의 억제 효과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우리의 결과는 아마도 인간 각질형성 세포에서 TQE가 자외선 유도된 MMP-1 생산을 억제하는 피부 노화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옥상녹화용 인공배합토에서 토심 및 관수주기에 따른 몇몇 자생식물의 생육특성 (Effects of Soil Depth and Irrigation Period on Some of the Native Plants in and Artificial Substrate of Roof Garden)

  • 방광자;주진희;김선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6호
    • /
    • pp.75-83
    • /
    • 2004
  • 본 연구는 경량형 옥상조경 소재로 도입가능성이 높은 자생식물을 중심으로 인공배합토에서 토심과 관수주기에 따른 식물의 생육반응을 검증함으로써 경량이면서 저관리형의 옥상조경을 실현하고 자생식물의 활용성을 높이고자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토심과 관수주기에 상관없이 생육이 양호하였던 수종은 애기기린초(Sedum middendorffianum Maxim)와 두메부추(Allium senescens L.)로 고사율 0%로 나타나 토심 5cm의 무관수의 조건에서도 생육이 가능한 저관리 경량형 옥상녹화에 적용 가능한 소재라 판단된다. 또한 두메부추는 토심 5cm에서 건물률이 높아 충실한 생장을 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엽록소 측정을 통한 관상가치에서는 토심 10cm에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관상가치를 고려한다면 토심 10cm 이상의 옥상녹화에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2. 한라구절초(Chrysanthemum zawadskii Herb. Subsp. Coreanum (Nakai) Y. Lee Stat.)와 술패랭이(Diauthus superbus L. var. longicalycinus (Maxim) Williams)는 토심 5cm에서 고사율이 높았으며 생육이 저조하였다. 관수는 토심이 5cm인 경우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토심 10cm에서는 무관수에서도 양호한 생장을 하였다. 따라서 무관수의 저관리 경량형 옥상녹화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최소 10cm 이상의 토심을 조성하여 식재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3. 목본류인 백리향(Thymus quinquecostatus Celak)은 토심 5cm에서 무관수이거나 3주간의 관수주기에서 90% 이상 고사하였으며 최소 1주간격으로 관수하였을 경우 생육상태가 양호하였다. 특히 토심 10cm에서는 무관수일 경우에도 생육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토심 10cm에서 저관리 옥상녹화의 조성에 도입 가능한 수종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실험한 수종은 저관리 경량형 옥상녹화에 도입할 경우 최소 토심 10cm가 적정하며 5cm 이하의 토심에서는 최소 2주일에 1회 이상의 관수를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토심 5cm에서도 애기기린초(Sedium middendorffianum)나 두메부추(Allium senescens L.)와 같은 수종을 도입하였을 경우에는 초경량 저관리의 옥상녹화 조성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생초화류을 중심으로 토심과 관수와의 관계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한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이에 앞으로 다양한 토양과 수종에 대한 개발과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며 특히 인공배지에서의 적정시비량과 저토심에서의 목본류에 대한 실험과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