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ree-Dimensional Topographic Information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5초

GPS를 응용한 3D 지형/현황도 작성용 측량자동화 시스템 구성과 그 작업절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PS Auto-surveying system and work procedure to perform a precise three dimensional topographic survey)

  • 이기부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69-177
    • /
    • 1997
  • 본 논문은 RTK GPS 장비와 현장용 펜 컴퓨터 및 실시간 현장 지형/현황도 작성용 CADD 소프트웨어를 이상적으로 조합한 측량 자동화 실용 시스템을 제안, 구성하여 표준 작업절차를 개발하는 것에 연구 목표를 두었다. 연구 대상으로 선정한 지역은 실제의 매립 공사나 단지조성 공사와 같은 중 토목 현장을 가정하여 00 지역 일원의 골프장으로 하였으며 1997년 12월 외업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측량 자동화 시스템과 작업절차는 동 골프장을 대상으로 얻어진 위성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최종지형/현황도면을 제작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구현되었다.

  • PDF

3차원 지형정보분석을 위한 수치사진측량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Digital Photogrammetric Systems for Three-Dimensional Topographic Information Analysis)

  • 유환희;안충현;오성남;성민규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19
    • /
    • 1999
  • 최근 컴퓨터 분야의 발달과 사진측량의 발전으로 수치사진측량시스템은 GIS의 기본도 구축, 3차원 지형정보 및 DEM 획득, 수치정사투영영상 생성, 3차원 투시 등 광범위한 분야에 이용됨에 따라 이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지만, 이 모든 시스템들은 외국기술에 의존하고 있어서 국내기술개발이 절실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사진측량기법을 Visual C++ 언어를 이용하여 항공측량용 사진기에 의해 촬영된 한 쌍의 입체사진으로부터 내부표정, Epipolar Line 생성, 탐색영역 설정, 영상정합 등을 이용하여 3차원 좌표를 추출 할 수 있는 PC용 윈도우즈 수치사진측량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에서는 국가지리정보체계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국립지리원에서 제작되고 있는 수치지도를 생성 및 수정할 수 있는 모듈을 개발하였고, 3차원적 입체분석을 위해 여색입체시를 이용하여 모니터상에서 3차원적으로 볼 수 있는 모듈을 개발함으로써 도시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유용한 기능과 전문적인 수치사진측량시스템을 지원할 수 있는 모듈을 개발하였다.

  • PDF

GPS에 의한 정밀 3차원 지형정보 획득 (The Acquisition of precise three dimentional topographic information by GPS)

  • 강준묵;이용창;박필호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7-34
    • /
    • 1993
  • 정확하고 경제성 있는 지형정보의 구축은 각종 건설공사를 비롯한 국토종합개발에 기본 요건으로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남한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광역망과 충남·북 일원의 지역망내, 1, 2 등 삼각점에 대한 GPS 관측을 수행하여 WGS 84 좌표를 조정·산출하고 Bessel 타원체 상의 좌표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계수론 Bessel Geoid Undulation을 고려한 7-Parameter 변환기법으로 도출하므로서, GPS에 의한 정밀 3차원 지형정보의 획득은 물론, 순변환된 성과와 역변환된 성과에 각각 T.M. 및 U.T.M 투영도법을 적용하여 정밀 지도제작을 위한 기본 자료의 산출 가능성을 제시코자 한다.

  • PDF

고해상도 스테레오 위성영상의 3차원 정확도 평가 및 향상 (Improvements on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ing of High Resolution Stereo Satellite Imagery)

  • 정인준;이창경;윤공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617-625
    • /
    • 2014
  • 가장 대표적인 범용센서모델인 다항식비례모형(Rational Function Model)은 물리적 센서모형의 정확도에 견줄 수 있는 특성으로 인하여 상업용 위성영상의 센서모델링 기법에서 가장 많이 쓰이고 있다. RPCs를 이용하여 인공위성 영상의 3차원 위치를 결정할 수 있지만, 대축척의 지형도 제작시 정확도 측면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QuickBird-2, 인공위성 영상을 이용하여 지상기준점의 수량, 분포 및 다항식비례모형의 차수에 따른 정확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1:25,000 축척의 지형도 제작시 수평위치 및 표고 허용오차 범위에 포함 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3차원 표면에서의 시계열 분석결과 표출방법 (Method of Displaying Time Series Analysis Results on a Three-Dimensional Surface)

  • 이봉준;박철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11
    • /
    • 2024
  • 현재 측정되는 많은 데이터가 지표를 기반으로 측정되지만, 측정지점의 높이값이 기초자료로 활용되지 않기 때문에, 3차원 지리정보시스템에 활용하고자 할 때 어려움이 발생한다. 지표면에 많은 양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지형정보를 이용하여 지표면에 점을 그리거나, 지표면의 각 측정지점의 높이값을 추출하여 다각형을 생성하는 방법이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표현 방법 중 지표면에 표현되는 시계열 측정 데이터의 시각화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데이터 구축 및 표시 방법을 시도하고, 그 절차와 장단점을 살펴본다.

3차원 정밀지형자료를 활용한 토공계획 개선 (Earthwork Plan Using the Precise 3D Topographic Data)

  • 이진녕;편무욱;구지희;박재선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3-7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단지 설계과정 중 토공사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고, 토공계획에서 시공에 이르는 연결방안으로 3차원 지형공간기반의 토공모델링에 의한 설계가 가능하도록 토공설계 프로그램을 제작하였다. 토공량 산정시 측량자료를 3차원 격자 DEM을 작성하여 정밀한 토공량 산정을 가능하게 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토공이동과 장비활용이 가능하도록 토적표를 구성하였다. 토공작업에 소요되는 각종 건설장비의 재원을 고려하여 이동토량 및 경로가 표시되도록 하였으며, 공사진행상황파악이 가능하도록 open API 기반의 KML 형식으로 결과를 저장하여 3차원 가시화의 직관적 이해를 높이고 분석 결과의 공유가 용이하도록 제작하였다.

지상라이다 자료를 이용한 지형특성 및 관측위치에 따른 사면지형분석 (Slope Terrain Analysis According to Geographical Feature and Survey Place Based on Terrestrial LiDAR Data)

  • 최승필;함주형;김문섭;양인태;김욱남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63-6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지형조건을 가진 연구대상지역을 선정하고, 여기에 지상 라이다 장비를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하여 이 사면지형을 관측하여 얻어진 3차원 원시자료를 토대로 사면지형을 분석 하였다. 이를 위하여 아스팔트, 암반, 토사, 식생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는 연구대상 사면지형을 정면에서 30m 떨어진 곳에 지상라이다 장비를 설치하여 스캔간격 5mm로 5회 관측하여 얻어진 DEM자료에서 지형특성별로 사면지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설치지점을 변경하여 관측하는 것이 관측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서로 다른 관측지점에서 얻어진 관측데이터간의 정확도를 검토하였다.

3D 환경을 고려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키 사전 분배 기법 실험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Pairwise Key Pre-distribution Schemes of Wireless Sensor Networks Considering 3D Environments)

  • 윤혜민;신수연;권태경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0권6호
    • /
    • pp.975-980
    • /
    • 2020
  • 무선 센서 네트워크 보호를 위해 다양한 키 분배 및 관리 기법들이 제안되었지만 대부분 2차원(2D) 환경만을 고려한 시뮬레이션 및 성능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환경 3차원(3D) 지형적 특성이 키 사전 분배 기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Full Pairwise (FP) 기법, Random Pairwise (RP) 기법, 두 가지를 결합한 Full and Random Pairwise (FRP) 기법의 성능을 2D 환경과 3D 환경에서 비교분석한다. 실험을 위해 Blender와 Unity 등의 3차원 그래픽 툴과 네트워크 시뮬레이터인 NS-3를 활용한다. 결과적으로, 실제 3차원 지형에 따라 각 기법의 성능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배치 오류를 고려한 위치 기반 분배 기법인 FRP가 여러 측면에서 가장 효율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SPOT-5 HRG 스테레오 영상으로부터 지형정보 추출 (Extracting Topographic Information from SPOT-5 HRG Stereo Images)

  • 이진덕;이성순;정태식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4권4호통권38호
    • /
    • pp.61-70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SPOT 5호 HRG 스테레오 영상을 이용하여 수치표고모형을 생성하기 위한 사진측량학적 처리과정을 제시하고 수치표고모형 생성을 위한 HRG supermode 영상의 정확도 잠재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센서모델링을 위하여 광속조정을 행한 후 에피폴라 영상재배열과 영상정합 과정 등을 통하여 수치표면모형을 생성하였다. HRG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DEM 성과를 축척 1:5000의 수치지형도로부터 추출된 기준 DEM과 여러 시험구간 상에서 비교하였다. 전체구간 중 5m 미만의 DEM 오차를 나타내는 부분의 비율은 53.8%이었고, 5m를 초과하는 오차부분은 구름, 수역, 건물 등에 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어 이러한 지역을 제외하고 평가한 정확도는 약 2.5m의 RMSE를 나타내었다. 아울러 추출된 수치표면모형(DSM)을 사용하여 3차원 건물모델과 대상지역 전체의 3차원 가시화 모델을 작성하였다.

  • PDF

무인항공기를 활용한 농촌 지역자원의 물리적 환경변화 분석연구 - 홍성군 갈산면 지역자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s in the Physical Environment of Resources in Rural Areas Using UAV -Focusing on Resources in Galsan-Myeon, Hongseong-gun-)

  • 안필균;김상범;조숙영;엄성준;김용균;조한솔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1-12
    • /
    • 2021
  • Recently, the use of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is increasing in the field of land information acquisition and terrain exploration through high-altitude aerial photography. High-altitude aerial photography is suitable for large-scale geographic information collection, but has the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collect small-scale geographic information. Therefore, this study used low-altitude UAV to monitor changes in small rural spaces around rural resource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ow-altitude aerial imagery had a very high spatial resolution, so it was effective in reading and analyzing topographic features. Second, an area with a large number of aerial images and a complex topography had a large amount of point clouds to be extracted, and the number of point clouds affects the three-dimensional quality of rural space. Third, 3D mapping technology using point cloud is effective for monitoring rural space and rural resources because it enables observation and comparison of parts that cannot be read from general aerial images. In this study, the possibility of rural space analysis of low-altitude UAV was verified through aerial photography and analysis, and the effect of 3D mapping on rural space monitoring was visually analyzed. If data acquired by low-altitude UAV are used in various forms such as GIS analysis and topographic map production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rural planning to maintain and preserve the rural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