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ree lower incisors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19초

하악절치절단(下顎切齒切端)의 형태학적(形態學的) 연구(硏究) (A Morphological Study on the Incisal Edges of the Mandibular Incisal Teeth)

  • 김인철;권명대;모경집;이돈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80-84
    • /
    • 1968
  • Observing the morphology of the incisal edges, the time of the loss of mamelon, the decrement rate of the mamelon and the increment rate of the flat edges in the lower incisors among 576 Korean from 7 to 16 years old, the author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1) The morphology of the incisal edges of the lower incisors immediately after completing eruption is as follows; The lower central incisors show that three nodule is around 65%, flat edge is around 27%, two nodule is around 7% and the central prominence of the incisal edge is 2% The lower lateral incisors show that three nodule is around 23%, flat edge is 24.5%, two nodule is 4 to 12% and the central prominence of the incisal edges around 44%. 2) The loss of mamelon may start at the age of 10. 3) The decrement rate of the mamelon beyond 12 years old is above 80% in the lower central incisors and 70% in the lower lateral incisors. 4) The increment rate of the flat edges beyond 11 years old is above 170% in the lower central incisors and 30% in the lower lateral incisors. 5) None of significant differences are found between right and left sides.

  • PDF

교정치료시 하악 전치부 치은퇴축의 고려 (Gingival recession of lower anterior incisors in orthodontic treatment)

  • 김윤상;조진형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8권2호
    • /
    • pp.215-224
    • /
    • 2008
  • Purpose: These case reports show the orthodontic treatment of lower anterior incisors with gingival recession. Materials and Methods: Three cases were treated by an orthodontist and a periodontist. Each case had lingually tilted lower anterior incisors, anterior crossbite and skeletal Cl III pattern. Results: A variety of etiological factors were thought to cause gingival recession: aging, oral hygiene, tooth malpositioning, occlusal trauma. Conclusion: Due to the interaction among many possible contributing factors, it is difficult to predict whether further gingival recession may occur at a given site. The position and the movement of the lower anterior incisors with gingival recession are important factors in diagnosis and orthodontic treatment planning.

하악 3 절치 증례의 교정학적 고려 사항 (CONSIDERATIONS OF ORTHODONTIC ASPECT IN THREE LOWER INCISOR CASES)

  • 장영일;백승학;박경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759-772
    • /
    • 1994
  • Orthodontists have experienced the treatment of cases with three lower incisors. Occasionally a lower incisor was either congenitally missing or so seriously damaged by injury or disease that its removal presented the best prospect for the patient. Sometimes the intentional extraction of a lower incisor is needed to produce enhanced functional and esthetic results with minimal orthodontic manipulation. Such cases have unfavorable anterior tooth size discrepancies and present difficulties in achieving good occlusal results. However such difficulties can be overcome by the sensible diagnosis and treatment plan. Three different cases are presented and the conclusions are listed. 1. It is important for orthodontist who tries to treat three lower incisor cases to measure and calculate accurately the degree of deviation of tooth size and morphology and the anterior tooth size ratio. 2. A diagnostic setup model should be made to determine whether the incisor extraction is appropriate and space closure is needed or not. It is the best way to be sure that the occlusal results, including overbite and overjet, will be acceptable and how far the degree of midline deviation is. It also shows the amount of interproximal reduction to achieve an acceptable occlusal result. 3. The class I relationship between the upper canine and the lower one must be obtained to establish the canine rise during eccentric movement by the concept of mutually protective occlusion. It also helps to maintain the stable occlusal result.

  • PDF

Alveolar bone thickness around maxillary central incisors of different inclination assessed with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 Tian, Yu-lou;Liu, Fang;Sun, Hong-jing;Lv, Pin;Cao, Yu-ming;Yu, Mo;Yue, Yang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245-252
    • /
    • 2015
  • Objective: To assess the labial and lingual alveolar bone thickness in adults with maxillary central incisors of different inclination by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Methods: Ninety maxillary central incisors from 45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to palatal plane angle; lingual-inclined, normal, and labial-inclined. Reformatted CBCT images were used to measure the labial and lingual alveolar bone thickness (ABT) at intervals corresponding to every 1/10 of the root length. The sum of labial ABT and lingual ABT at the level of the root apex was used to calculate the total ABT (TABT). The number of teeth exhibiting alveolar fenestration and dehiscence in each group was also tallie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Tukey's honestly significant difference test were appli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The labial ABT and TABT values at the root apex in the lingual-inclined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other groups (p < 0.05). Lingual and labial ABT values were very low at the cervical level in the lingual-inclined and normal groups. There was a higher prevalence of alveolar fenestration in the lingual-inclined group. Conclusions: Lingual-inclined maxillary central incisors have less bone support at the level of the root apex and a greater frequency of alveolar bone defects than normal maxillary central incisors. The bone plate at the marginal level is also very thin.

정상교합자의 골격형에 따른 치아치조보상 (Dentoalveolar Compensation according to Skeletal Patterns of Normal Occlusion)

  • 이신재;장영일;구승준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2권2호통권91호
    • /
    • pp.91-105
    • /
    • 2002
  • 일반적으로 교정 환자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치료 계획을 수립할 때에 여러 분석법의 정상치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다양한 악골관계 하에서 정상적인 악궁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3차원적으로 발생하는 치아치조부 보상 기전을 고려한다면 좀 더 개별화된 치료 목표와 치료계획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상교합자 125명의 측모 두부계측방사선사진을 계측하여 정상교합자의 골격양상의 다양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여러 골격계측 기준을 이용한 군집분석을 적용하여 정상교합자의 골격형을 전후방으로 세 군, 수직적으로 세 군으로 분류하고 각 골격형에 따른 치아치조부 보상양상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정상교합자의 전후방적, 수직적 악골관계는 매우 다양하였다. 2. 하악골이 상악골에 비해 전방 위치할수록 상악 전치는 순측으로 경사 되고 하악 전치는 설측으로 경사 되며 교합평면의 경사도는 완만해졌다. 3. 수직적인 골격양상일수록 상악 전치부의 치아치조 고경이 증가하고, 하악 구치부의 치아치조 고경이 감소하였으며 구개평면에 대한 상악 구치와 하악평면에 대한 하악 전치 및 하악 구치는 직립 하였고 교합평면과 하악평면사이의 각(OMA)은 증가하였다. 4. 상악 전치보다 하악 전치에서 전후방 및 수직적인 악골관계에 대해 더 많은 치아치조부 보상양상을 보였다.

분절호선법으로 상하악 절치부 압하 시 순측경사도가 미치는 영향에 관한 3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The effect of labial inclination on intrusion of the upper and lower incisors by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 김동우;양훈철;김기태;김성식;손우성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59-277
    • /
    • 2003
  • 본 연구는 상하악 절치부의 압하를 도모하기 위한 장치의 하나인 분절호선장치를 사용하여 절치부의 순측경사에 따른 저항중심의 위치와 변화양상, 그리고 치축경사 개선과 압하를 동시에 이루기 위해 필요한 최소 후방 견인력의 크기 및 변화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3차원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시행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축 경사도의 변화에 따른 상악 절치부 저항중심은 1) 정상 치축경사를 가진 경우에서 측절치 브라켓 원심면 후방 6mm에 위치하였다. 2) 순측경사가 $10^{\circ}$ 증가된 경우에서 측절치 브라켓의 원심면 후방 9mm에 위치하였다. 3) 순측경사가 $20^{\circ}$ 증가된 경우에서 측절치 브라켓 원심면 후방 12mm에 위치하였다. 4) 순측경사가 $30^{\circ}$ 증가된 경우에서 측절치 브라켓 원심면 후방 16mm에 위치하였다. 2. 치축 경사도의 변화에 따른 하악 절치부 저항중심은 1) 정상 치축경사를 가진 경우에서 측절치 브라켓 원심면 후방 10mm에 위치하였다. 2) 순측경사가 $10^{\circ}$ 증가된 경우에서 측절치 브라켓 원심면 후방 13mm에 위치하였다. 3) 순측경사가 $20^{\circ}$ 증가된 경우에서 측절치 브라켓 원심면 후방 15mm에 위치하였다. 4) 순측경사가 $30^{\circ}$ 증가된 경우에서 측절치 브라켓 원심면 후방 18mm에 위치하였다. 3. 응력분포 양상은 1) 각 저항중심에서 압하력을 가한 경우에 치주인대에 균일한 압축응력을 나타내었다. 2) 후방 견인력을 동시에 적용한 경우에 순측경사가 증가할수록 응력분포 양상이 복잡해지는 양상을 보였다. 4. 상하악 절치부가 $20^{\circ}$까지 순측경사된 경우에서 Pure intrusion을 위하여 필요한 후방 견인력의 크기도 증가하였다.

Contour of lingual surface in lower complete denture formed by polished surface impression

  • Heo, Yu-Ri;Kim, Hee-Jung;Son, Mee-Kyoung;Chung, Chae-Heon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8권6호
    • /
    • pp.472-478
    • /
    • 2016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hapes of lingual polished surfaces in lower complete dentures formed by polished surface impressions and to provide reference data for use when manufacturing edentulous trays and lower complete dentures. MATERIALS AND METHODS. Twenty-six patients with mandibular edentulism were studied. After lower wax dentures were fabricated, wax was removed from the lingual side of the wax denture and a lingual polished surface impression was obtained with tissue conditioner. The definitive denture was scanned with a three-dimensional scanner, and scanned images were obtained. At the cross-sections of the lingual frenum, lateral incisors, first premolars, first molars, and anterior border of the retromolar pads, three points were marked and eight measurements were taken. The Kruskal-Wallis test and a post hoc analysis with the Mann-Whitney test were performed. RESULTS. Each patient showed similar values for the same area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withou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height of the contour of the lingual polished surface at the lingual frenum was halfway between the occlusal plane and lingual border, it moved gradually in a downward direction. The angle from the occlusal plane to the height of the contour of the lingual polished surface was increased as it progressed from the lingual frenum towards the retromolar pads. CONCLUSION. The shape of the mandibular lingual polished surface was convex at the lingual frenum, lateral incisors and gradually flattened towards the first molars and retromolar pads.

Fluoride penetration from three orthodontic adhesives: an experimental study

  • Wagner, Leopold;Szepietowska, Magdalena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29-34
    • /
    • 2013
  • Objective: To examine the prophylactic potential of 3 orthodontic bonding adhesives: Fuji Ortho SC, Illuminate, and Resilience. Methods: Thirty-six Wistar Wag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4 groups consisting of 9 rats each. One of the groups received no treatment and was used as a control. In the other groups, individual bands coated with one of the 3 adhesives were cemented to the lower incisors. Enamel samples were obtained after 6 and 12 weeks and analyze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in combination with energy dispersive spectrometry. Results: Six weeks after band cementation, no fluoride was found in the enamel of the lower incisors. After 12 weeks, there was no fluoride in the enamel of teeth coated with the Resilience composite. However, in the case of the Illuminate composite and the resin-modified glass ionomer Fuji Ortho SC cement, the depth of fluoride penetration reached $2{\mu}m$ and $4.8-5.7{\mu}m$, respectively. Conclusions: Fluoride ions from orthodontic adhesives can be incorporated into the surface layer of the enamel. Orthodontists may apply orthodontic adhesives, such as the Fuji Ortho SC, to reduce the occurrence of caries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with fixed appliances.

설측브라켓 부착시 위치오차에 관한 연구 (THE POSITIONING ERRORS IN BONDING LINGUAL BRACKETS)

  • 최준규;황현식;김종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99-111
    • /
    • 1998
  • 본 연구는 설측브라켓 부착시 부착방법에 따른 위치오차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교정환자 20명의 초진시 석고모형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초진모형의 각 치면에 긴밀하게 브라켓을 부착하는 방법, 치아재배열을 시행한 후 치면에 긴밀하게 부착하는 방법 그리고 치아재배열을 시행하고 이상호선을 제작한 후 브라켓을 결찰하여 부착하는 passive bracketing의 3가지 방법으로 브라켓을 부착한 후 각 방법으로 부착된 브라켓의 위치오차를 측정 및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각도오차 분석결과, 치아재배열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 상악 제1소구치와 하악견치의 위치오차가 타 방법에 비하여 크게 나타났으며, passive bracketing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 상악 중절치, 하악 제1$\cdot$제2소구치에서 그 위치오차가 크게 나타났다. 2. 토크오차 분석결과, 치아재배열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 하악 제2소구치의 위치오차가 타 방법에 비해 크게 나타났으며 passive bracketing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 상악 전 치아와 하악 제1$\cdot$제2소구치에서 그 위치오차가 크게 나타났다. 3. 회전오차 분석결과, passive bracketing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 상악 중절치간, 하악 중절치간, 하악 측절치와 중절치 사이 그리고 하악 견치와 측절치 사이에서 그 위치오차가 크게 나타났다. 4. 내외오차 분석결과, 치아재배열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 상악 견치와 측절치 사이에서 위치오차가 타 방법에 비해 크게 나타났으며, passive bracketing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 상악 중절치간, 측절치와 중절치 사이, 제1$\cdot$제2소구치 사이, 하악 측절치와 중절치 사이, 견치와 측절치 사이에서 그 위치오차가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설측교정술의 경우 브라켓 간접부착 술식을 사용하더라도 상당량의 위치오차가 나타나며, 이는 passive bracketing으로 줄일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 PDF

전후방적 악골 관계에 따른 치아치조성 보상작용에 관한 연구 (Dentoalveolar compensation according to skeletal discrepancy in Normal occlusion)

  • 심혜영;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80-393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상교합자에서 전후방적 악골 관계에 따라 치아치조부 보상이 나타나는 양상을 알아보고 교정치료에 사용되는 여러 계측 항목에서 이들이 반영되는 정도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악골 관계에 대한 치아치조성 보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정상 교합자 90명(남자 50명, 여자 40명)의 측모 두부 X-선 사진을 계측하여 전후방적 악골 관계에 따라 각각 세 군으로 분류하였다. 6개의 골격 계측 항목과 19개의 치아 계측 항목에 대해 independent t-test,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악골 관계에 대한 치아치조부 보상으로 하악골이 상악골에 비해 전방 위치할수록 상악 전치는 순측 경사되고 하악 전치는 설측 경사되며 교합 평면은 경사가 완만해졌다. 치아 계측 항목 중 L1 to SN과 L1 to FH에서 전후방적 악골 관계에 대한 보상적 변화가 가장 유의성 있게 나타나 상악 전치보다 하악 전치가 치아치조부 보상과 더 관련이 있었다. 치아 계측 항목 중 U1 to PtGu과 L1 to APog은 전후방적 악골 관계와 무관하게 거의 일정한 값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