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raustochytrium aureum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1초

당농도 및 염농도가 해양미생물 Thraustochytrium aureum ATCC 34304의 성장 및 지질과 DHA 생성에 미치는 영향 규명 (The Effect of Concentration of Glucose and Salts on both the Growth and the production of Lipid and DHA of Thraustochytrium aureum ATCC 34304)

  • 김원호;정영수;박천익;허병기
    • KSBB Journal
    • /
    • 제20권4호
    • /
    • pp.271-277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당의 초기농도는 물론 NaCl과 $MgSO_4{\cdot}7H_2O$의 농도가 T. aureum ATCC 34304 균주의 성장특성, 지질의 생성특성 및 DHA의 생성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당농도 15 g/L까지는 당농도가 증가하면 균체증가량에 대한 지질증가량의 비율인 $Y_{Lipid/X}$간과 지질증가량에 대한 DHA 증가량의 비율인 $Y_{DHA/Lipid}$ 값이 모두 증가하였다. $Y_{lipid/X}$$Y_{DHA/Lipid}$의 최대값은 0.18 g/g 과 0.41 g/g을로 모두 당의 초기농도 15 g/L에서 나타났다. 반면 균체수율인 $Y_{x/s}$ 값은 당의 초기농도 변화에 관계없이 0.378 g/g으로 일정하였다. 당의 농도변화에 대한 균체의 비성장속도 역시 당농도 15 g/L까지는 최대 $0.79\;day^{-1}$까지 증가하였으나, 20 g/L에서는 $0.57\;day^{-1}$로 감소하였으며, 그 이상의 당농도에서는 증감현상을 나타내지 아니하였다. 해수배지 조성을 기본으로 하고 NaCl 농도를 0.1 g/L에서 48 g/L까지 변화시켰을 때 NaCl의 농도가 0 g/L인 경우 균체의 성장, 지질의 생성 및 DHA의 생성이 모두 정지되었으며, NaCl 24 g/L에서 균체성장, 지질생성 및 DHA의 생성이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기본해수배지 조성에 $MgSO_4{\cdot}7H_2O$의 농도를 0 g/L에서 24 g/L까지 변화시켰을 때, $MgSO_4{\cdot}7H_2O$ 0 g/L에서는 균체성장, 지질생성 및 DHA 생성이 정지되었으며, $MgSO_4{\cdot}7H_2O$ 18 g/L에서 균체성장, 지질생성 및 DHA의 생성이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배양기의 작동인자가 Thraustochytrium aureum ATCC 34304의 성장 및 Docosahexaenoic acid(DHA)의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규명 (Effect of Operating Factors on the Growth and DHA Biosynthesis of Thraustochytrium aureum ATCC 34304)

  • 조대원;송상규;김원호;허병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51-55
    • /
    • 2005
  • 교반속도와 배양온도가 T. aureum ATCC 3430의 성장과 지질 및 DHA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배양온도 $4^{\circ}C$내지 $39{\circ}C$범위에서 균체성장에 최적인 온도는 $32^{\circ}C$이었으며, DHA와 지질의 생성량이 가장 높은 온도는 $18^{\circ}C$이였다. 배양온도 $39^{\circ}C$ 이상과 $11^{\circ}C$이하에서는 균체의 성장량과 DHA및 지질의 생성량이 대단히 적었으나, 온도가 낮을수록 단위균체당 축적되는 지질과 DHA의 함량은 증가하여 배양온도 $4^{\circ}C$에서는 $Y_{L/X}$의 값이 $32^{\circ}C$가지, $Y_{DHA/X}$의 값은 $15\%$까지 증가하였다. 교반속도 50내지 250rpm사이에서 균체성장이 가장 높은 교반속도는 100rpm이였다. 교반속도 100과 250rpm사이에서는 교반속도가 균체의 성장량과 지질 및 DHA생합 성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였으나, 교반속도가 50 rpm으로 감소하면 균체 성장량과 지질 및 DHA생성량이 모두 크게 감소하였다.

해수배지를 이용한 해양 미생물의 Linoleic acid 생성 특성 규명 (Characteristics of Linoleic Acid Production by Marine Fungi in Sea Water Media)

  • 김수정;박경원;허병기
    • KSBB Journal
    • /
    • 제15권2호
    • /
    • pp.195-200
    • /
    • 2000
  • 네 종류의 질소원 yeast extract, sodium glutamate, peptone, tryptone과 각 질소원의 농도 및 포도당의 초기 농도가 해양 미생물 Thraustochytrium aureum ATCC 34304의 linoleic acid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초기 당 농도를 10 g/L로 하고 질소원으로는 sodium glutamate를 사용하였을 때 균체 단위 질량에 대해 생성된 지질의 중량 분율이 최대값 0.302 mg/g를 나타내었으며, 균체에 대한 linoleic acid 중량 분율도 8%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Lino-leic acid의 생성속도는 질소원으로 peptone과 sodium gluta-mate를 사용하였을 경우 다른 질소원으로 peptone과 sodium gluta-mate를 사용하였을 경우 다른 질소원을 사용하였을 때 보다 2.5 배까지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초기 당 농도가 증가하면 linoleic acid의 생산성은 상승하나 당 농도 30 g/L 이상에서는 그 상승폭이 대단히 완만하였다. 초기 당 농도가 30 g/L 경우 질소원으로 peptone을 사용하였을 때는 linoleic acid의 생산량이 200 mg/L, sodium glutamate를 사용하였을 때는 130 mg/L를 나타내었다. 질소원의 농도가 증가하면 균체 내에 생성되는 지질의 양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질소원이 sodium glutamate인 경우 농도 1 g/L까지는 지질의 함량이 뚜렷한 증가현상을 나타내었으나 농도 1.0 내지 2.0 g/L 이상에서는 질소원의 농도가 증가하면 지질의 생성량이 감소하였다.

  • PDF

배양환경에 따른 Thraustochytrium aureum(ATCC34304)의 DHA(docosahexaenoic acid)생산과 성장특성

  • 박천의;조대원;김호중;허병기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34-437
    • /
    • 2001
  • 배양 조건으로 온도는 4, 11, 18, 24, $32^{\circ}C$로 배양하여, $24^{\circ}C$에서 Lipid 내에 약 42.3%의 DHA 최대 수율을 보였으며, 교반속도는 50, 100, 150, 200rpm 으로 실험하여 l00rpm에서 최대수율로 42.1% 올 얻었다. 초기 당농도는 5, 8, 11, 14, 17, 23, 29, 35g/L로 주어 8g/L에서 Lipid 내 DHA 농도가 43.1%로 나타났으며, N/C 비율은 glucose 5 g/L로 고정하여0.1, 0.2, 0.4, 0.6, 0.8 에서 38-40 % 로 거의 일정하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