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raCal LC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8초

백서에서 치수절단술에 사용하는 TheraCal LC, MTA 그리고 Formocresol의 비교 (Comparison of TheraCal LC, Mineral trioxide aggregate, and Formocresolas pulpotomy agents in rat molar)

  • 이빈나;송영상;이고운;김영훈;장훈상;황윤찬;오원만;황인남
    • 대한치과재료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87-195
    • /
    • 2017
  • Formocresol (FC)은 치수절단술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온 재료이지만, 재료의 독성 때문에 현재 calcium hydroxide나 mineral trioxide aggregate (MTA)가 치수절단술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 레진계열 calcium silicate 제재인 Theracal LC가 치수 이장재로 개발이 되었으며, 이는 광중합을 통해 경화되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해서 MTA를 적용할 수 없는 치아에 사용할 수 있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FC, MTA 및 Theracal LC를 각각 치수절단술 후에 적용했을 경우 경조직 형성 능력과 치수반응을 비교하는 것이다. Sprague Dawley Rat의 상악 대구치 치수절단술 후 FC, MTA 및 Theracal LC를 적용하였다. 경조직 형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Skyscan을 사용해 마이크로 컴퓨터 단층촬영(micro CT) 이미지를 획득하고, he matoxylin and e osin (H&E) 염색을 하여 조직학적 반응을 확인하였다. Dentin matrix protein-1 (DMP-1)의 발현을 확인하기 위해 면역형광 염색을 시행하였다. FC를 사용한 시편에서는 경조직 형성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치수절단술이 시행된 인접면에 염증반응이 관찰되었고 DMP-1발현은 확인되지 않았다. MTA와 Theracal LC를 사용한 시편에서는 경조직 형성이 관찰되었고 DMP-1의 발현이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MTA나 Theracal LC를 사용한다면 남아있는 치수의 생활력과 기능을 유지시켜 보다 좋은 치료 예후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광중합 시간과 거리의 변화에 따른 TheraCal LC의 중합도 평가 (Evaluation of the Changes in Polymerization of TheraCal LC with Various Light-curing Time and Distance)

  • 배상용;이제우;라지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92-399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tricalcium silicate cement 중 하나인 TheraCal LC의 광중합 시간과 거리에 따른 중합도를 평가하는 것이었다. 금속주형을 이용해 시편을 제작하여 Vickers hardness number (VHN)를 측정하였으며, 중합시간과 조사시간에 따른 시편의 미세경도 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든 군에서 상면의 VHN이 하면의 VHN보다 유의성 있게 컸다(p < 0.05). 하면의 VHN은 모든 중합거리에서 중합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 < 0.05), 중합시간이 일정하고 중합거리가 4.0 mm 이상이 되었을 때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 0.05). 또한 시편을 20초간 중합한 경우 하면의 VHN은 2를 넘지 못했으며 이는 상면의 10%에 해당하였다. 이 연구 결과에 의하면, 모든 중합거리에서 TheraCal LC 시편의 하면까지 중합하기에 20초의 광중합 시간은 충분하지 않았으며, 중합도를 높이기 위해서 중합시간의 증가와 도포 두께의 감소를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Comparison of Shear Bond Strength in Novel Calcium Silicate-Based Materials to Composite Resin

  • Wonkyu Shin;Hyuntae Kim;Ji-Soo Song;Teo Jeon Shin;Young-Jae Kim;Jung-Wook Kim;Ki-Taeg Jang;Hong-Keun Hyun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443-451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whether the newly introduced calcium silicate-based materials with fast-setting properties could be appropriately used as basement materials in indirect pulp treatment (IPT). This was performed by quantifying the durability of adhesion between the material and composite resin, measured by the shear bond strength (SBS). Five calcium silicate-based materials, TheraCal LC® (TLC), TheraCal PT® (TPT), TheraBase® (TB), Well-RootTM PT (WPT), and Endocem® MTA (EMTA), as well as two glass ionomer-based materials, Fuji II and Fuji II LC, were included. Specimens containing these materials were manufactured and bonded to composite resin with a universal adhesive applied in self-etch mode. The SBS values and failure modes were recorded, and the mean SBSs of the materials were compared. Both TPT and TB exhibited SBS values that were similar to TLC, while both WPT and EMTA appeared to have statistically lower SBS values. Mixed failure was commonly observed in TLC and TPT, while all WPT and EMTA samples showed cohesive failure. In comparison with TLC and TPT, more samples with cohesive failure were observed in TB, implying that this material forms a stronger bond with composite resin. Together with the ability of TB to chemically bind to dentin due to its 10-methacryloyloxydecyl dihydrogen phosphate component, TB seems to be a promising material for IPT within the limitations of this in vitro study.

Tricalcum-silicate 기반 치수복조제의 미세누출 및 상아질 전단결합강도 비교 (Comparison of the Microleakage and Shear Bond Strength to Dentine of Different Tricalcium Silicate-based Pulp Capping Materials)

  • 김미리;조완선;지명관;이상호;이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76-84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3종의 수복재료와 3종의 tricalcium-silicate 기반 치수복조제의 미세누출을 평가하고, 이들 치수복조제와 상아질 사이의 전단결합강도를 비교하는 것이다. 수복재료로는 복합레진(CR), 레진강화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RMGI), 그리고 전통적인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GIC)를, 치수복조제로는 TheraCal $LC^{(R)}$(TLC), $Biodentine^{(R)}$ (BD), 그리고 $ProRoot^{(R)}$ white MTA (WMTA)을 사용했다. 소의 절치에 5급와동을 형성하여 이를 적용하는 치수복조제와 수복재료에 따라 9개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0.5% fuchsin 용액을 이용한 염색침투법을 시행했다. 각 표본을 절단하고 입체현미경으로 관찰해 미세누출 정도를 평가했다. 아크릴 레진에 소 절치의 임상적 치관을 매몰한 후 수평으로 절단해 준비한 표본을 임의로 3그룹으로 나누었다. 표본의 상아질에 그룹별로 TLC, BD, 그리고 WMTA 블록을 적용한 후 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이용해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했다. 미세누출은 TLC + GIC, TLC + RMGI, TLC + CR, 그리고 BD + GIC 그룹에서 가장 적었고, WMTA + RMGI와 WMTA + CR 그룹에서 가장 많았다. 전단결합강도는 WMTA 그룹에서 다른 그룹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 종의 칼슘-실리케이트 치수복조제의 치관 색조 변화 (Color Change in Tooth Induced by Various Calcium Silicate-Based Pulp-Capping Materials)

  • 전지윤;최남기;김선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80-290
    • /
    • 2021
  • 치수복조제는 치관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색 안정성이 최종적인 심미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 간주된다. 이 연구는 시간에 따른 치관의 색조 변화를 분석하여 치수복조제의 색조 안정성을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발거된 소구치의 치관에 와동을 형성하고 4가지 종류의 치수복조제를 충전하였다. 색상 변화는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재료를 넣기 전, 재료를 넣은 즉시, 재료를 넣고 1일 후, 1주 후, 2주 후, 4주 후, 8주 후, 12주 후, 16주 후에 측정을 시행하였다. Proroot white MTA®와 TheraCal LC®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속적인 L* 값의 감소와 ∆E* 값의 증가를 보였다. 반면 Biodentine®과 Well-rootTM PT는 유의한 L* 값의 변화가 없었고 일정한 ∆E* 값을 유지하였다.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로 산화 비스무트가 포함된 치수복조제의 적용 시 치아의 색조 변화가 나타날 수 있으며, 법랑질의 두께가 얇은 유치의 수복이나 전치부의 심미 수복 시 치수복조제의 장기적인 색 안정성을 고려해야 한다.

Mineralization-inducing potentials of calcium silicate-based pulp capping materials in human dental pulp cells

  • Kang, Sohee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7권3호
    • /
    • pp.217-225
    • /
    • 2020
  • Backgroun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a long-term bacterial seal through the formation of reparative dentin bridge, calcium silicate-based pulp capping materials have been used at sites of pulpal exposu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ineralization-inducing potentials of calcium silicate-based pulp capping materials (ProRoot MTA [PR], Biodentine [BD], and TheraCal LC [TC]) in human dental pulp cells (HDPCs). Methods: Specimens of test materials were placed in deionized water for various incubation times to measure the pH variation and the concentration of calcium released. The morphology of HDPCs cultured on the specimens was examined using a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CLSM). Alizarin red S staining and alkaline phosphatase assays were used to evaluate mineralization-inducing potentials of the capping materials. Results: BD showed the highest calcium release in all test periods, followed by PR and TC. (p<0.05). All experimental groups showed high alkalinity after 1 day, except at 14 days. BD showed the highest cell viability compared with PR and TC after 1 and 3 days, while TC showed the lowest value (p<0.05). The CLSM analysis showed that cells were well adhered and expressed actin filaments for all pulp capping materials. Mineralization by PR and BD groups was higher than that by TC group based on alizarin red S staining. B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than PR and TC, while TC showed the lowest value (p<0.05). Conclusion: Within the limitations of the in vitro study, BD had higher mineralization-inducing potential than PR and TC.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hysical and Biochemical Properties of Light-cure Resin-modified Pulp Capping Materials

  • Tae Gyeom Kim;Jongsoo Kim;Joonhaeng Lee;Jisun Shin;Mi Ran Han;Jongbin Kim;Yujin Kim;Jae Hee Park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49-164
    • /
    • 2024
  • This study compared the solubility, water absorption, dimensional stability, release of various ions (hydroxyl, calcium, sulfur, strontium, and silicon), and cytotoxicity of light-cured resin-modified pulp-capping materials. Resin-modified calcium hydroxide (Ultra-blendTM plus, UBP), light-cured resin-modified calcium silicate (TheraCal LCTM, TLC), and dual-cure resin-modified calcium silicate (TheraCal PTTM, TPT) were used. Each material was polymerized; solubility, 24-hour water absorption, and 30- day dimensional stability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test its physical properties. Solubility was assessed according to the ISO 6876 standard, and 24 hours of water absorption, 30 days of dimensional stability were assessed by referring to the previous protocol respectively. Eluates at 3 and 24 hours and on 7, 14, and 28 day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ISO 10993-12 standard. And the pH, Ion-releasing ability, cell proliferation rate, and cell viability were assessed using the eluates to evaluate biochemical characteristics. pH was measured with a pH meter and Ion-releasing ability was assessed using 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metry (ICP-AES). Cell proliferation rate and cell viability were assessed using human dental pulp cells (hDPCs). The former was assessed by an absorbance assay using the CCK-8 solution, and the latter was assessed by Live and Dead staining. TPT exhibited lower solubility and water absorption than TLC. UBP and TPT demonstrated higher stability than TLC. The release of sulfur, strontium, calcium, and hydroxyl ions was higher for TLC and TPT than for UBP. The 28-day release of hydroxyl and silicon ions was similar for TLC and TPT. TLC alone exhibited a lower cell proliferation rat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t a dilution ratio of 1 : 2 in cell proliferation and dead cells from Live and Dead assay evaluation. Thus, when using light-cure resin-modified pulp-capping materials, calcium silicate-based materials can be considered alternatives to calcium hydroxide-based materials. Moreover, when comparing physical and biochemical properties, TPT could be prioritized over TLC as the first choice.

Premixed MTA제재의 pH, 이온 유리 정도, 용해도 (pH, Ion Release Capability, and Solubility Value of Premixed Mineral Trioxide Aggregates)

  • 백설아;장유지;이정환;이준행;신지선;김종빈;한미란;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79-391
    • /
    • 2022
  • 이 연구는 premixed MTA 제재와 기존 치수복조제의 경화 전, 후의 pH 값 그리고 칼슘, 황, 스트론튬 이온의 유리량, 용해도를 비교했다. 사용된 재료는 다음과 같다 : 레진 강화형 칼슘실리케이트(TheraCal LC®; TLC), 레진 강화형 수산화칼슘(UBP, Ultra-BlendTM plus), 2종류의 premixed MTA(Endocem MTA® premixed regular [EMPR] and Well-RootTM PT [WRP]). 각 재료의 시편은 경화 전, 경화 후 2군으로 나누어 준비한 뒤 증류수에 보관하였다. pH, 용해도를 측정하였으며 ICP-AES를 이용한 칼슘, 황, 스트론튬의 3가지 이온 유리량을 측정하였다. 경화 후 군에서 TLC와 UBP의 pH 값은 감소했다. 그러나 premixed MTA 재료의 pH 값은 증가했다. TLC는 다른 재료와 비교하여 스트론튬 이온 유리량이 더 많았다. 동시에 EMPR에서 황이온 유리량이 높았다(p < 0.05). 경화 후 군에서 칼슘 이온 방출은 두 종류의 premixed MTA에서 더 높았다(p < 0.05). 경화 후 군에서 용해도는 Kruskal-Wallis 서 test를 이용하여 통계분석하였고 Mann-Whitney U test를 이용하여 사후검정하였다. 결론적으로 레진 강화형 칼슘 실리케이트 시멘트, 레진 강화형 수산화칼슘 시멘트, 2종류의 premixed MTAs 모두 경화 후 알칼리성 pH 값과 낮은 용해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다양한 이온을 유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