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codiplosis japonensis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3초

Difference of Gall Formation Rates and Parasitic Rates of Thecodiplosis japonensis (Diptera: Ceidomyiidae) Larvae in Pine Forests around Urban and Mountain Villages

  • Kim, Jongkyung;Ha, Manleung;Lee, Sanggon;Kim, Hyun;Lee, Chongkyu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6권4호
    • /
    • pp.290-297
    • /
    • 2020
  • This study analyzed and compared the damage rate, natural parasitic rate, an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codiplosis japonensis larvae, which inhabit forest areas as control areas to large urban areas in 2018 and 2019.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management of Thecodiplosis japonensis, which harm pine needle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gall formation rate of Thecodiplosis japonensis collected from urban areas was upper-crown 35.59% and 34.25%, mid-crown 25.57% and 27.95%, and lower-crown 25.34% and 26.61%; the gall formation rate of Thecodiplosis japonensis was in the order of upper-crown>mid-crown>lower-crown in 2018 and 2019, respectively. In the control areas, the gall formation rates of Thecodiplosis japonensis in mountain villages in 2018 and 2019 were upper-crown 17.72% and 21.78%, mid-crown 13.85% and 16.97%, and lower-crown 15.12% and 15.79%; thus, in the order of upper-crown>lower-crown>mid-crown. The number of larvae in the galls of needles damaged by Thecodiplosis japonensis was as follows: the average number of larvae in the pine trees of urban areas was 9 and 8 in the upper-crown, 7 and 8 in the mid-crown, and 6 and 7 in the lower-crown respectively. This shows that the number of larvae was fewer in the lower-crown than the upper-crown, and that the number of larvae was higher in 2018 than in 2019. For natural parasitic rate of Thecodiplosis japonensis, the gall formation rate and natural parasitic rate of Thecodiplosis japonensis were surveyed; the natural parasitic rate was 12.5% and 11.8% in urban areas while the rate was 21.7% and 20.9% in mountain villages in respectively in 2018 and 2019.

솔잎혹파리의 병원성 진균 Beauveria bassiana 및 Paecilomyces fumosoroseus의 온도별 병원성과 생장 변화 (Variations in Growth and Pathogenicity of Beauveria bassiana and Paecilomyces fumosoroseus Pathogenic to the Pin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 이인기;심희진;우수동;제연호;양자문;강석권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415-418
    • /
    • 1999
  • Thecodiplosis japonensis is an important insect pest in pine trees and hard to be controlled by chemical pesticides due to its characteristic life cycl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pathogenicity and growth temperature of several entomopathogenic fungi as potential microbial insectcides for T. japonensis. Beauveria bassiana SFB-SC and Paecilomyces fumosoroseus SFP-198 were highly pathogenic against T. japonensis. B. bassiana SFB-SC had also pathogenicity against a beneficial insect Bombyx mori. Growth rate and pathogenicity of P. funmosoroseus SFP-198 under 15$^{\circ}C$ was higher than those of B. bassians SFB-SC.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P. fumosoroseus SFP-198 is a potential microbial control candidate for control of T. japonensis.

  • PDF

삼림 토양으로부터 솔잎혹파리 감염 사상균의 분리 (Isolation of Entomopathogenic Fungi for Infection to the Pine Gall Midges, Thecodiplosis japonensis from the Forest Soil in Korea)

  • 서종복;진병래;신상철;이범영;이창근;강석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68-372
    • /
    • 1995
  • 곤충병원성 사상균을 이용한 솔잎혹파리의 효과적인 방제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병원성이 강한 균주를 전국 산림토양으로 부터 분리.동정하고, 병원성 검정을 통하여 유효 곤충병원 사상균을 선발코자 하였다. 솔잎혹파리 다발 지역을 중심으로 전국으로 부터 233개 지역의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Beauverla속 29균주, Paecilomyces속 2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위상차현미경 및 주사전자현미경으로 형태를 관찰하였다. 아울러 토양 분리 균주를 솔잎혹파리 유충에 대해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Beauveria 속 SFB-168-2가 82.9%로 높은 병원성을 나타내어, 솔잎혹파리 방제를 위한 유효병원 사상균으로 선발하였다.

  • PDF

솔잎혹파리(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에 관한 연구 II - 성충 생식절의 표면미색구조 - (External Ultrastructure of the Adult Genital Segments of Pine Needl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 한성식;박용철;이찬용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44-148
    • /
    • 1988
  • 솔잎혹파리(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성충을 재료로 하여 그 생식절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웅성 : 배측에서 보면 두쌍의 hypoproct가 있고 그 양쪽에는 한쌍의 claspettes가 있다. 각 부분의 표면은 주로 seta와 sensilla로 덮혀 있다. 특히 gonostylus 상단부에는 특이한 구조가 관찰되었다. 또한 aedeagus가 관찰되었는데 그 끝부분에는 매우 특이한 구조가 나타났다. 자성: Ovipositor는 세개의 마디로 되어 이들 각 마디의 표면구조는 서로 뚜렷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 PDF

솔잎흑파리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에 관한 연구 III. - 지리적 격리에 따른 생리, 형태적 차이 (Physiological and Morphological Differences Depending on Geographical Segregation in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Inouye)

  • 박용철;한성식;조동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5-30
    • /
    • 1990
  • 同-種에서 地理的 隔離에 따른 生理, 形態學的 差異를 알아보기 위하여 全羅南道 海南과 江原道 春域地域의 솔잎혹파리 幼蟲과 成蟲을 재료로 하여 전기영동법, 그리고 走査電子顯徵鏡을 이용하여 比較하였다. 두지역의 3齡 幼蟲에서는 일반 蛋白質의 밴드패턴은 동일하였다. 그러나 同位 酸素 esterase와 MDH는 명확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成蟲에서는 -般環白質과 esterase 밴드패턴에서 부분적으로 명확한 差異를 보여주었다. 두지역 성충 생식절의 外部微細構造를 검토한 결과 産卵管의 들째마디에서 뚜렷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 PDF

공단지역 주변 소나무림의 솔잎혹파리 형태적 특성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codiplosis japonensis (Diptera: Cecidomyiidae) Larvae in Pine Forests Around Onsan Industrial Complex in Ulsan, Korea)

  • 이총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77-81
    • /
    • 2017
  • 환경오염원으로부터 지역별 솔잎혹파리 피해도의 차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한 결과, 솔잎혹파리 충영형성율은 석유화학공단에 의한 환경오염이 심각한 상황에 있는 공단지역은 충영형성률 47.94%이었고, 대조지역은 9.94%였다. 솔잎혹파리 피해엽은 공단지역 피해엽의 길이는 평균 4.5 cm 였으며, 대조지역은 평균 4.9 cm 이었다. 솔잎혹파리 피해엽의 충영내 유충의 수는 공단지역은 평균 3.4개체이었고, 대조지역은 2.4개체 이었다. 성숙유충의 크기는 공단지역이 유충체장은 2.40 mm, 체폭은 0.7 mm 이었으며, 대조지역의 유충체장은 2.45 mm, 체폭은 0.71 mm 이었다.

곰솔(Pinus thunbergii)에서 Abamectin과 Emamectin benzoate를 이용한 소나무재선충과 솔잎흑파리 밑 솔껍질깍지벌레의 동시방제 가능성 (Possibility of simultaneous control of pine wilt disease and Thecodiplosis japonensis and or Matsucoccus thunbergianae on black pine (Pinus thunbergii) by abamectin and emamectin benzoate)

  • 이상명;김동수;김철수;추호렬;이동운
    • 농약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63-367
    • /
    • 2008
  •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용으로 등록되어 있는 아바멕틴 1.8%유제와 에마멕틴벤조에이트 2.15%유제를 이용하여 소나무에 피해를 주고 있는 솔잎혹파리(Thecodiplosis japonensis)와 솔껍질깍지벌레(Matsucoccus thunbergianae)에 대한 동시방제 효과를 알아보았다. 아바멕틴 1.8%유제는 솔잎혹파리와 솔껍질깍지벌레에 대하여 매우 높은 방제효과를 나타내었고, 에마멕틴벤조에이트 유제는 솔껍질깍지벌레에 대해서만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다. 시험 약제를 소나무 흉고직경 1 cm 당 $1\;m{\ell}$수준으로 수간주사하여 대상해충별 방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솔잎혹파리에 대해서는 아바멕틴 1.8%유제 처리구에서의 당해년도 충영형성율이 0%였다가 2년차에서는 85%의 충영형성율을 보였고, 에마멕틴벤조에이트 2.15%유제 처리구에서는 90%이상의 충영형성율을 보여 무처리구와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아바멕틴 1.8%와 에마멕틴벤조에이트 2.15%유제를 솔껍질깍지벌레에 처리하였을 때는 방제가가 각 각 89.1%와 91.4%로서 높은 살충효과를 나타내었다.

경북지역에서의 솔잎혹파리(Thecodiplosis japonensis)와 솔잎혹파리기생봉의 개체군 변동 (Annual Fluctuations in Population of the Pine Needl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and its Parasitoids in Kyeongbuk Province, Korea)

  • 전문장;신상철;정영진;김철수;최광식;박일권;장정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3호
    • /
    • pp.256-260
    • /
    • 2006
  • 본 연구는 기생봉이 솔잎혹파리 밀도변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 남성동에 위치한 소나무림에서 우화트랩을 이용하여 1986년에서 2005년까지 20년간 솔잎혹파리와 각 종의 솔잎혹파리 기생봉 성충 밀도를 조사하였다. 1987년 이후 기주인 솔잎혹파리와 기생봉 개체군 동태는 유사한 양상을 보였으며 기생봉 밀도는 기주 의존적이었다. 솔잎혹파리 개체군의 성비는 전체적으로는 암컷의 비율이 높았으나 연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경향은 솔잎혹파리 기생봉 개체군에서도 유사하였으나 솔잎혹파리먹좀벌(Inostemma seoulis) 개체군의 성비가 혹파리반뿔먹좀벌(Inostemma matsutama) 개체군 성비보다 암컷편기가 심하였다. 기주인 솔잎혹파리는 매년 5월16일~7월27일(우화최성기 : 5월27일-6월5일)에 우화하였고, 그 기생봉인 혹파리반뿔먹좀벌과 솔잎혹파리먹좀벌은 5월16일~6월11일(우화최성기 : 5월27-6월2일) 및 6월9일~7월27일(우화최성기 : 6월23일~6월28일) 이었다.

Identification of Entomopathogenic Fungus, Beauveria spp. F-101 Isolated from Thecodiplosis japonensis Using Internal Transcribed Spacer Sequence

  • Shin, Sang-Chul;Roh, Jong-Yul;Kim, Chul-Su;Park, Il-Kwon;Jeon, Mun-Jang;Je, Yeon-H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8권1호
    • /
    • pp.77-80
    • /
    • 2004
  • For the development of the alternative control system against the major forest pests, Beauveria spp. F-101, isolated from a dead larva of Thecodiplosis japonensis, was selected because this isolate showed high pathogenicities against T. japonensis and Acantholyda parki. Beauveria spp. F-101 had irregular clustered conidio-phores and conidia borne on a distinctive apical zigzag extension, and it showed typical characteristic of the genus, Beauveria in morphology. For molecular based-identification, the ribosomal ITS region of Beauveria spp. F-101 was amplified with ITS1 and ITS4 primers, and cloned into pGEM- T Easy vector. The amplified PCR product was 569 bp in size and completely sequenced. The similarities of the cloned ITS sequence were 99 % and 97% to those of B. bassiana and B. brongniartii, respectively. In comparison to other species among the genus Beauveria, the ITS region of Beauveria spp. F-101 showed a similarity of 95% to B. amorpha, 95% to B. tenella, 89% to B. vermiconia and 69% to B. alba, respectively. In addition, in comparison to different genus, it had 95% similarities to Cordyceps militaris and 91% to Paecilomyces tenuipes. Accordingly, the current result suggests that Beauveria spp. F-101 was a variant of B. bassiana and it seems to be a new isolate considering sequence variation in ITS region.

국내산 및 일본산 식물체 추출물의 솔잎혹파리 유츙에 대한 살충활성 (Laarvicidal Acrivities of Extracts from Domestic and Japanese Plants aginst the Pine Needle Gall Midge (Diptera: Cecidomyiidae))

  • 김순일;안용준;이상길;김준범;변병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53-158
    • /
    • 1996
  • 국내산 41종과 79종 식물체 메탄올 추출물 및 일본산 1종 식물체 정유의 솔잎혹파리(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유충에 대한 살충황성을 여지접촉법과 충제침지법으로 조사한 결과 살추활성은 식물체 종류에 따라 달리 나타났다. 여지접촉법으로 여지당 시료 10mg을 처리하였을 때, 국내산 미나리아재비과의 지범, 부자의 위령선 뿌리 추출물과 일본산 측백나무과의 Thujopsis dolabrata var. hondai 톱밥의 정유가 90%이사의 살충활성을 보였다. 그러나 충제침지법(5,000ppm)을이용한 생물검정에서는 T.dolabrata var. hondai 톱밥의 정유만이 강한 살충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T.dolabrata var. Hondai 톱밥의 추출물의 솔잎 혹파리에의한 소나무림의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