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location of settlement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29초

과재하중 재하에 따른 역 T형 옹벽의 활동거동에 관한 수치해석 (A Numerical Study of Cantilever Retaining Wall Sliding Behavior due to Surcharge Loading Condition)

  • 유남재;이명욱;박병수;이승주
    • 산업기술연구
    • /
    • 제21권B호
    • /
    • pp.205-212
    • /
    • 2001
  • This paper is experimental and numerical research about the sliding behavior of cantilever retaining walls resisting surcharge loads. In experimental research, centrifuge model tests at the lg and 40 g-level were performed by changing the location of model footing and its width. Bearing capacity of model footing and characteristics of load-settlement and load-lateral displacement of retaining wall were investigated. Test results of bearing capacity were compared with modified jarquio method, based on the limit equilibrium method with elasticity theory. For the numerical analysis, the commericially available program of FLAC was used by implementing the hyperbolic constitutive relationships to compare with test result about load-settlement and load-displacement of retaining wall, bearing capacity of strip footing.

  • PDF

굴착모형실험을 통한 토류벽체 및 지반거동에 관한 연구 (Model Tests for The Behavior of Propped Retaining Walls in Sand)

  • 이봉열;김학문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259-279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다단계 굴착시 연성토류 벽체의 수평변형, 굴착단계별 토압변화 및 분포, 그리고 배면지반의 지표침하와 지중변위의 분포를 규명하기 위하여 벽체강성, 벽마찰의 유무 및 지반조건에 대하여 굴착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모형실험 결과 벽체강성 및 벽체와 배면지반의 벽마찰각에 유무에 따른 지표침하 형태는 다소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지중변위 결과는 최대지중변위의 발생심도는 심도비 0.1H에서 0.15H(H는 최종굴착심도)의 범위에서 나타났다. 그리고 벽체의 강성에 따라 배면지반의 토압재분배 현상인 아칭효과는 벽체강성과 지반조건에 직접적인 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모형실험에서 얻은 벽체변위 및 토압분포는 기존 탄소성보법 프로그램으로 또한 지표침하 및 지중변위는 본 연구진에 의해 개발된 GDHM 재료모델을 이용한 유한요소법 프로그램으로 각각 비교분석하였다. 기존 탄소성보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형실험을 해석한 결과 벽체변위 및 토압분포는 모형실험 결과와 상이한 결과를 얻었으며, GDHM 재료모델을 적용한 유한요소해석에서는 벽체수평변위의 형태는 다소 상이한 결과를 얻었으나 배면지반의 지중변위 분포는 벽체강성에 따라서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 PDF

GCP 복합지반의 거동분석을 위한 유한요소해석 (Finite Element Analysis for Investigating the Behavior of Gravel Compaction Pile Composite Ground)

  • 김경업;박경호;김호연;김대현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19-32
    • /
    • 2018
  • GCP(Gravel Compaction Pile, 이하 GCP)공법은 현재 정량적인 설계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아 경험적인 방법에 의해 설계 및 시공되고 있어 팽창파괴, 전단파괴 등 다양한 형태의 파괴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나 명확한 원인 규명과 파괴 예방 대책수립이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국내와 시공 장비, 재료 특성 등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해외의 지반에 적용하는 공법을 그대로 국내에 적용하고 있어 지지력, 침하량 등이 실측값과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GCP공법의 합리적이고 안전한 설계법을 제안하기 위한 연구로써 국내 점토지반에 GCP공법을 적용하여 지반강도 변화에 따른 침하 및 응력 거동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ABAQUS를 이용하여 복합지반의 침하량과 침하감소율, 응력분담비, GCP의 최대 수평변위량 및 발생 예상위치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치환율 30%이상에서 복합지반의 침하감소율이 60%이상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GCP의 최대 수평변위량은 말뚝 직경의 2.6배의 깊이에서 발생하였으며, 치환율 40%이상에서는 수평변위량의 차이가 미미한 것을 확인하였다.

지반함몰 방지를 위한 지하수 재주입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Recharge Well Technology for Prevention of Ground Collapse)

  • 신은철;박춘성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8권5호
    • /
    • pp.35-43
    • /
    • 2017
  • 지하수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지반 굴착에 따라 배출된 지하수를 대상 지반에 다시 재주입함으로써 흙막이 벽체 배면의 지반함몰 및 침하를 방지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이다. 지하수 재주입에 따른 흙막이 벽체 배면의 지반함몰 및 침하를 분석하기 위해 지하수 재주입 여부와 흙막이 벽체 배면으로부터 거리 등 조건을 달리하며 재주입정 위치별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실내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을 통해 지하수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와 흙막이 벽체 배면의 지반함몰 및 침하경향을 분석하고, 지하수 재주입에 따른 지반함몰 방지효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지하수위의 영향을 고려한 침하분석 결과, 흙막이 전면을 굴착할 때 지하수위 저하에 따라 지표면 침하가 발생, 흙막이 벽체 배면에서 최대가 된다. 또한 흙막이 길이를 기준으로 흙막이 벽체 배면으로부터 재주입정 위치별 거리 비에 따라 침하량이 달라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하수의 영향에 의한 지반함몰 및 침하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흙막이 벽체 배면으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지하수를 재주입 할 때 지반함몰 및 침하 방지 효과가 크고 최대 침하영향거리도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지하수 재주입정 공법의 지반함몰 방지효과를 확인하였다.

항만용 Precast Concrete 구조물의 마찰계수 측정 실험 (Measurement Tests of Friction Coefficient of Precast Concrete Used in Haber Construction)

  • 김명식;백동일;김강민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6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3-76
    • /
    • 2006
  • The shape and dimension of precast concrete structure used in habor construction(caisson, block, etc.) are considered productive facility abilities, demanded minimum dimension in work of each member, the relation between the depth of water and a location of leaving, work conditions of towing and leaving, after leaving, differential settlement, etc. As this study examined friction resistance effect of financially designed precast concrete structure formed convex in bottom and stone mound.

  • PDF

농촌 중심마을의 공간적 입지-배분 모형의 개발(II) - 모형의 적용 및 응용성 평가 - (Development of a Spatial Location-Allocation Model of Center Villages(II) - Evaluating Applicability of Model for a Case Study Area -)

  • 김대식;정하우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46-55
    • /
    • 2001
  • Following the previous paper on development of the spatial location-allocation model of center villages (SLAMCV), this paper, the 2nd stage of the this study, aims to check up its applicability for several planning scenarios by the case study. Among 72 natural villages of Ucheon-myeon, Gangwon-do, Korea the highest single center was simulated as Uhang village and the higher double centers as Uhang and Jeonggeum villages, which coincided exactly with the existing centers. The SLAMCV was well operated for three planning scenarios such as selection of the 3rd center village and its hinter villages for Ucheon-myeon, Gargwon-do, Korea by dividing three living spheres, impact assessment evaluation of road improvement projects on the spatial accessibility, and analysis of centerality changes of settlement units by new road construction.

  • PDF

농촌중심마을의 공간적 입지-배분 모형의 개발(I) - 모형의 개발 및 검증 - (Development of a Spatial Location-Allocation Model of Center Villages (I) -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Model -)

  • 김대식;정하우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12-121
    • /
    • 2001
  • In this study, a spatial location-allocation model of center villages (SLAMCV) was developed for selecting spatial center villages and allocating their rear villages. In SLAMCV, rural space was considered as a network with villages for nodes and roads for connecting lines. For quantification of residents’ accessibilities in the network, a disutility index (DUI) was developed and used, which is dependent upon travelling distance between the center and its hinter villages, design vehicle speed in connecting road and population of hinter villages. SLAMCV was verified to Christaller’s hexagonal hierachical settlement system to test the theoretical reasonability and computing algorithm of the model.

  • PDF

복지공간으로서 인보관을 통한 사회복지실천의 뜻과 정체성의 사유 : 토인비 홀과 헐 하우스의 비교 (Meaning and identity of social work practice by thinking through settlement house as a welfare space : Comparison of Toynbee Hall and Hull House)

  • 박선영
    • 사회복지연구
    • /
    • 제48권1호
    • /
    • pp.91-111
    • /
    • 2017
  • 이 연구에서 19세기말-20세기 초 영국의 토인비 홀과 미국의 헐 하우스 두 인보관의 사상과 활동을 소환하는 목적은 첫째, 당시 사회복지실천이 점진적으로 형태를 갖추게 된 계기와 당초의 뜻을 찾아보는 것이다. 둘째, 개인화의 문제와 대안의 공동체 만들기가 공존하는 이 시기에 당시 '사회적 일'로 시작된 맥락과 영국과 미국의 특징적인 활동을 통해 사회복지실천의 현재 의미와 정체성에 유용한 함의를 얻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기존 문헌들을 활용하여 서사를 고찰하되 인보관이라는 장소가 복지공간으로 구성된 당시 시대정신과 활동, 지도력을 목적과 위치, 전문성과 교육, 사회행동 차원으로 분석하며 오늘의 의미를 살리고자 하였다. 유용한 분석 결과는 첫째, 자선조직협회와 인보관은 상반되기 보다는 빈곤에의 대응책으로 '제안-실행-비판-대안의 제안-사회복지실천의 대두'가 진행된 일련의 과정 속에서 볼 필요가 있다. 둘째, 인보관은 빈곤문제를 중심으로 계층, 젠더, 개인적인 것과 사회적인 것, 민간과 공공의 개입 등 여러 현상을 담은 담지자로서 복지공간을 구성하였다. 셋째, 두 인보관은 상이점도 있지만 둘 다 공공의 선과 안녕을 목적으로 하여 사회적인 일, 즉 사회복지실천을 구체화시켰다. 끝으로, 인보관의 복지공간으로서의 의의와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경랑기포혼합토로 단기간에 시공된 확폭도로성토체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Expanded Road Embankment Constructed by Lightweight Air-Mixed Soils for a Short-Term)

  • 황중호;안영균;이영준;김태형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4D호
    • /
    • pp.377-38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하부지반의 개량없이 경량기포혼합토 공법(슬러지 단위중량 $10kN/m^3$)을 적용하여 하중을 경감함으로서 단시간에 확폭시공된 도로성토체에 대한 연구로 일축압축강도, 모관상승고, 침하량 등이 검토되었다. 시공 후 각각 1개월과 5개월 경과 후 샘플링 된 공시체에 대한 일축압축강도시험 결과 모든 공시체가 목표일축압축강도인 500kPa을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공시체의 샘플링 위치에 따라 값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보아 전 구간에 걸쳐 균질하게 경량기포혼합토가 시공되었다고는 볼 수 없을 것 같다. 또한 현장코어와 실험실 공시체의 일축압축강도를 비교해보면 약 19%정도 강도 차이가 발생되므로 이를 고려한 배합설계가 요구된다. 모관상승고 시험 결과 70시간동안 20cm 가까이 모관상승이 발생되었는데, 이것은 경량기포혼합토 내에 미세한 공극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도로 개통 후 전달하중에 의한 하부 연약지반의 시간 경과에 따른 압밀침하관계는 현장에서 측정 되어진 계측결과(1.5cm 침하)를 이용하여 압축지수와 압밀계수를 재평가하여 정규압밀 점토의 1차원 압밀이론을 이용하여 산정한 결과 현재 연약지반의 평균압밀도는 32%로 나타났다. 120개월 후 예상되는 최종침하량이 약 4.5cm로 침하량 허용기준 10cm에 훨씬 못 미치는 거동을 보일 것으로 판단된다.

도시폐기물의 강도특성 향상을 위한 현탁액 주입의 응용 (Application of Particulate Grouts for Improving Strength Characteristics of Municipal Wastes)

  • 천병식;박홍규;장연수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3권1호
    • /
    • pp.59-74
    • /
    • 1997
  • 본 논문에는 사용종료된 쓰레기 매립장의 건설부지로의 개발가능성을 알아 보기 위하여 지반 조사와 침하해석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쓰레기 폐기물의 침하특성을 저감하고 강도특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생석회와 시멘트 계통 그라우트재를 혼합 그 특성변화를 분석하였으며 대상 약액으로는 생석회, 보통시멘트, 슬래그시멘트, Geocrete시멘트의 4종류가 사용되었다. 현장지반조사 결과 쓰레기의 매립기간이 짧아 유기질 함량이 큰 쓰레기가 매립기간이 긴 쓰레기에 비교하여 최적함수비는 크고 최대건조밀도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매립쓰레기의 두께가 지점별로 큰 차이를 보였으며 침하량 분석 결과 위치에 따른 침하량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고결공법의 적용성을 검토한 결과 쓰레기 강도의 향상정도는 Geocrete시멘트, 슬래그시멘트, 보통 포틀랜드시멘트, 생석회의 순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