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level of scholastic ability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32초

전국연합학력평가와 수능 모의평가의 이질성이 학교 교육에 미치는 영향: 수학 영역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Heterogeneity between Nationwide Coalition Scholastic Ability Evaluations and CSAT Mock Tests on School Education: Focused on the Mathematics Section)

  • 양성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1-18
    • /
    • 2017
  • 수능을 준비하는 대부분의 재학생들은 3학년 1년 동안 두 유형의 모의평가를 통하여 수능을 준비하게 된다. 시 도교육청 주관으로 제작 시행되는 4회의 전국연합학력평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주관하는 수능 6월 9월 모의평가를 치르게 된다. 그러나 이 두 유형의 시험은 많은 유사성을 내포하는 동시에 상당히 이질적인 평가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인천 경기 교육청에서 발표한 2016학년도 전국연합학력평가 성적 분석 및 통계 자료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발표한 2017학년도 수능 6월 9월 모의평가 채점 결과 보도자료를 바탕으로 두 유형 간의 이질성을 난이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서울 소재 2개 고등학교 5학급 161명 학생들이 치른 4회의 2016학년도 전국연합학력평가와 6월 9월 모의평가 수학 영역 성적을 분석하여 응시집단 변화에 따른 재학생들의 수학 영역 성적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전국연합학력평가의 개선점과 이와 동반되어야 할 교육정책 관련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PDF

대학수학능력시험이 고등학교 수학 학습 내용에 미치는 영향 - 문과계열 수학 성적 상위권 학생들을 중심으로 - (Influence on High School Mathematics Learning Content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 Focused on Mathematics Top-Ranked Students in High School Liberal Arts Course -)

  • 박영용;박윤정;이헌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177-19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수능의 수학영역의 출제 유형이나 난이도 등이 고등학교 문과계열 수학 교수 학습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최근 5년간(2012~2016학년도) 수능 수학 A형(나형)의 출제유형과 난이도를 살펴보고, 출제유형과 난이도가 고등학교 문과계열 수학 내신 상위권 학생들의 수학 학습 내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고등학교 수학 내신이 상위권인 학생들의 수능등급을 결정하는 오답률 90% 이상인 문항은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단원에 편중되어 출제되었다. 둘째, 수능 상위권 학생들은 수능 등급 향상을 위하여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단원을 중점적으로 학습해야 할 단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한, 중, 미, 일의 전국단위 대학입학시험 수학과 출제체제 비교를 통한 수리 영역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Methods in Mathematics by Comparing Examinations in Mathematics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t a Nationwide Level in Korea, China, America, and Japan)

  • 조윤동;남진영;고호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1권4호
    • /
    • pp.547-565
    • /
    • 2009
  • 본고에서는 우리나라와 중, 미국, 일본에서 대학입학 전형자료로 쓰이는 국가 단위의 시험 과목 가운데 수학 과목의 시험 체제와 내용, 문항유형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서 대학입학 전형자료로 사용하기 위한 국가 단위의 대규모 시험에서 필수로 포함될 필요가 있는 내용, 그 내용을 적절하게 담아낼 수 있는 문항 유형, 마지막으로 이 전체를 유효적절하게 구성하여 효과적으로 시험을 치르게 하기 위한 시험체제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향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리영역의 출제 체제를 결정하는 데에 논의의 바탕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

대학수학능력시험 점수산정시스템의 품질 제고를 위한 연구 (A Study on the Quality Improvement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Scoring System)

  • 박영선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99-220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core data releas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to find out the problems with the current scoring system provided by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nd to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to solve these problems. Methods: We calculated the descriptive statistics of the standard scores using the frequency distribution table of the standard scores and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ndard scores by expressing the distribution as a graph. Also, we developed an index to evaluate whether each stanine level was stably assigned and calculated the indexes for each area/subject by using the data on the number of examinees for each level. Results: We found that the relationship of conversion from raw scores to integerized standard scores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raw scores, and identified the problem that the raw score information is not fairly reflected in the calculation of the percentile and level as the two raw scores are converted to one standard score. This problem can be solved by calculating the standard score to a decimal point. Conclusion: In this study, as a way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scores of the current CSAT, the standard score and percentile decimal notation, the specific regulations of the standard score and stanine level calculation method, and the expansion of the open range of the scores were suggested.

토의식 수업을 적용한 수준별 소집단 협력학습이 학력신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Debate Studies Through Small Group Activities in Ability Group to The Improvement of The Students′ Learning Ability.)

  • 김성국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4권1호
    • /
    • pp.91-101
    • /
    • 2001
  • Nowadays the number of students that is losing their interest as well as learning desire in mathematics is increasing because of lack of logical thought creative power and abstract expression that present-day mathematics requires by reason of discrepancy of extreme scholastic ability by speciality of mathematics. In these conditions, we reduce the number of learning depression by bringing about learning desire or learning interest on mathematics, and students learn effective learning methods to be voluntary learning of discovery themselves that studies basic concepts, principles, rules through logical thought of students to solve difference of scholastic ability, thus we assumed that debate studies through small group activities in ability group would be one of ways to improve learning power, so the results of our research are as follows; 1. Debate studies through small group activities were very effective because of reinforcing the achivement level of students. 2. By this learning method, an individual or cooperrative learning was fostered, and lively discussions were accomplished. And learning attitudes of students were changed by the extension of cooperative learning abilities through advices or by themselves. 3. A personal opinion is payed regard by accepting an individual idea in the process of making questions. Learners can correct wrong concepts in the process of correcting wrong answers. So if we apply above-mentioned studies with easy contents from the lower grades, the effectiveness would increase as learners go to the higher grad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various researches as follows;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riented coopperative debate studies is effective to find solutions to mathematical problems." If small group activities are applied in the educational situation to search the course of a desirable cooperation learning through small group activities to improve scholastic abilities for a discoverable problem-solving power. I think that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riented cooperative debate studies is one of the most desirable methods to increase the problem-solving ability.

  • PDF

기본학습요소를 활용한 수준별 유형화 학습이 수리탐구 영역의 문제해결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chieving problem-solving ability in mathematical searching area based on level type learning using basic learning elements)

  • 김태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3권1호
    • /
    • pp.131-148
    • /
    • 2000
  • Above all,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must be emphasized as a basic skill of mathematics, but it is neglected when we teach. In this study, learning task means [same meaning] [same form] [same technique], so I tried to extend mathematical scholastic ability of the students as an extensional problem solving that is a basic element of mathema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investigation of level type learning, using the basic learning elements to extend thinking ability. From the constructed hypothesis as follows and then implement it. I selected basic learning elements from an analyzed textbook and then task learning material was created for each level type learning. The problem solving ability will be extended through the level type learning of the small group, using the level type learning task material. The conclusions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level type learning in small group learning, using and making level type learning material, having basic learning elements in analysed text are. Basic learning content is understood clearly and deeply, so, fundamentally, it is effective in achieving the problem solving in mathematics. It is an effective method to achieve the meta-cognitive faculty because achieved the expected method of solving problems and resulted in the true learning of content.

  • PDF

고등학교 수리영역 시험의 난이도 예측 요인 분석 (Factors of Predicting Difficulty of Mathematics Test Items i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 고호경;이현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113-127
    • /
    • 2007
  • 본 고는 5년 간의 고등학교 연합학력평가자료 분석을 통하여 수리영역의 난이도 예측요인을 분석하였다. 난이도 예측을 위한 통계적 모형을 산출하기 위하여 먼저 문항분석을 통해 수리영역의 난이도 예측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주요 변인들을 '내용영역', '행동영역', '문항의 형식' 등의 범주에 따라 추출하였다. 추출된 독립 변인들에 대하여 단계선택방법을 사용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정답률 예측에 유의미한 변수들을 선택하였으며, 교차 타당도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선택된 예측 모형이 독립적으로 수집된 자료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설명력을 보이는지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수능시험 출제나 현장에서 수리영역의 평가문항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사전 정답률을 예측하는데 있어 고려해야 할 요인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정답률 예측에 필요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 PDF

대학 기초수학 교과목에 대한 수준별 학습지도 방안 (Effective Management Strategies of University Basic Mathematics by Ability Grouping)

  • 표용수;박준식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1권1호
    • /
    • pp.87-103
    • /
    • 2011
  • P대학에서는 자연계열 신입생을 대상으로 수학 진단평가를 실시하여, 일정 점수를 취득하지 못한 학생들과 미응시자를 대상으로 수학 기초학력 부진학생들의 문제해결력 향상과 학력증진을 위해 개설한 기초수학 및 연습 교과목을 필히 수강하도록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초수학 및 연습 수강학생을 25개의 수준별 학급으로 편성하여 운영한 결과를 토대로 해당 교과목의 효율적 학습지도 방안과 수준별 학급 운영에 대한 유의점 및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 PDF

일본 대학입시센터시험 이과 문항 분석 (Analysis of Science Items of the Japanese National Center Test for University Admissions)

  • 김현경;김동영;최혁준;구자옥;동효관;신일용;이양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52-471
    • /
    • 2010
  • 수능이 1994학년도에 처음 시행된 이후 17년 동안 시행되어 오면서 기출을 피하면서 사고력을 측정하는 참신한 문항을 출제하는 것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그러므로 수학능력 측정을 위한 양호한 문항의 개발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수능 문항 개발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수능과 같은 국가 수준의 선다형 대입 관련 시험 분석의 일환으로 일본 센터시험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센터시험의 체제와 이과 출제 과목 및 응시과목의 수나 응시자 현황을 파악하고, 2009년 1월에 시행한 '이과' 시험의 검사지 구성, 문항 유형, 특이 사항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센터시험 문항을 수능과 관련하여 내용 요소 및 행동영역에 따라 분석하였고, 아울러 우리나라 수험생의 관점에서 예상 정답률을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센터시험 문항은 고급 사고력보다는 지식 측정 또는 낮은 사고력을 주로 측정하고 있다. 또한 문항 당 배당되는 시간이 수능보다 길며 문항 수가 고정되지 않았고, 배점과 답지 수도 다양하다. 그리고 실생활 소재를 많이 사용하면서 문장 표현을 엄격하게 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센터시험에서 원점수를 사용하는 것으로 보아 선택 과목 간 유 불리 문제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문과나 이과의 계열 구분 없이 대부분의 학과에서 선택 과목으로 과학과목 성적을 요구하고 있다.

공과대학 신입생들의 수학에 대한 인식변화에 따른 대학수학 교육방향 연구 (A Study on Desirable Management of College Mathematics through the Change of Mathematics Recognition in Engineering Freshmen)

  • 이정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9권3호
    • /
    • pp.513-53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중위권 공과대학 신입생들의 수학에 대한 인식변화에 따른 대학수학의 교육방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A대학교 공과대학 2011년과 2015년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수학기초학력평가와 수학에 대한 인식 및 대학수학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고, 수학에 대한 인식변화를 고등학교 계열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영역 응시유형별, 수학기초학력평가 성적별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A대학교 공과대학 신입생들은 수학기초학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고, 2015년 신입생들은 2011년에 비해 자신이 느끼는 수학실력 수준이 향상되었고 대학수학 수업에서 더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한편 2011년과 2015년 신입생 대부분이 대학수학은 전공을 위한 기초과목으로 인식하였고, 수업은 고등학교 중급 수준에서 시작하는 것과 교수가 이론설명 및 문제풀이도 해주는 수업방식을 선호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대학수학 수업을 위해서는 교수 학습에서 수학기초학력의 향상에 초점을 두고 학생들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학습태도를 강조해야 함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