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Influence on High School Mathematics Learning Content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 Focused on Mathematics Top-Ranked Students in High School Liberal Arts Course -  

Park, Yeongyong (Mokpo National University)
Park, Yunjeong (Graduate School, Mokpo National University)
Lee, Heonsoo (Mokpo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v.19, no.2, 2016 , pp. 177-19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influence of mathematics teaching-learning for high level math problems of A-type of mathematics section o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To analyze the influence, we compare and analyze units and field of questions set at examinations based on the rate of wrong answers in A-type mathematics test of the CSAT from 2012 to 2016. Also, we study the recognition of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about units and fields on math which need to allow more time to improve grade for A-type of mathematics section on the CSAT. We found following facts. First, high level math problems determining rank of high rank students on the CSAT was taken mostly from the unit related a exponential function and a logarithmic function. Second, these problems need more time for a calculation rather than an ability for students to deepen thei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and quality of education. Third, high rank students spend a lot of time to study more important units and fields of mathematics on the CSAT such as a exponential function and a logarithmic function, and teachers spend a lot of time to teach them.
Keywords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mathematics; rate of wrong answers; mathematics teaching-learni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조윤동, 남진영, 고호경 (2009). 한, 중, 미, 일의 전국단위 대학입학시험 수학과 출제체제 비교를 통한 수리 영역 개선 방안 연구. 학교수학, 11(4), 547-565.
2 최경호 (2010).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통계단원 문제에 대한 문항반응분석-전북지역 예비 수험생을 대상으로 한 탐색연구-. 한국통계학회논문집, 17(3), 327-335.
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 매뉴얼-수리영역.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4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201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문제지 수리 영역(나형).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5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201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문제지 수리 영역(나형).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6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201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문제지 수학영역(A형).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7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201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문제지 수학영역(A형).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8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8. 19). 2015학년도 수능 성적 분석 결과 발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9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문제지 수학영역(A형).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0 한국교육방송공사(EBSi).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대학수학능력시험 풀서비스. (http://www.ebsi.co.kr/ebs/xip/xipa/retrieveSCVMainInfo.ebs?irecord=201111103.
11 한국교육방송공사(EBSi). 2013 대학수학능력시험 풀서비스. http://www.ebsi.co.kr/ebs/xip/xipa/retrieveSCVMainInfo.ebs?irecord=201211083.
12 한국교육방송공사(EBSi). 2014 대학수학능력시험 풀서비스. http://www.ebsi.co.kr/ebs/xip/xipa/retrieveSCVMainInfo.ebs?irecord=201311073.
13 한국교육방송공사(EBSi). 2015 대학수학능력시험 풀서비스. http://www.ebsi.co.kr/ebs/xip/xipa/retrieveSCVMainInfo.ebs?irecord=201411133.
14 한국교육방송공사(EBSi).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풀서비스. (http://www.ebsi.co.kr/ebs/xip/xipa/retrieveSCVMainInfo.ebs?irecord=201511123).
15 서보억, 남진영 (2010). 한국과 일본 대학입학시험의 수학문항에 대한 비교 분석. 수학교육, 49(4), 395-410.
16 고호경 (2008). 문헌분석을 통한 대학 수학능력시험 수리영역의 개정 방향 탐색.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1(3), 467-481.
17 남진영 (2011).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리 영역 출제 체제에 관한 고찰. 학교수학, 13(1), 89-105.
18 박문환 (2004). 대학수학능력시험 난이도 관련 변인 탐색. 수학교육학연구, 14(1), 71-88.
19 양길석 (2010).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변천 과정과 쟁점 분석. 교육평가연구, 23(4), 765-791.
20 이상하, 이봉주, 손홍찬 (2007).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리 영역 문항 난이도 예측을 위한 회귀모형 추정. 수학교육, 46(4), 407-421.
21 이진호 (2009). 수학과 개정교육과정과 대학수학능력시험 체제 개편에 관한 고찰. 한국수학사학회지, 22(1), 111-123.
22 전영주 (2013).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수리) 영역 변천사. 한국수학사학회지, 26(2-3), 177-195.
23 조성민, 김재홍, 양성현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2017학년도 수능 수학 영력에 대한 의견조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8(2), 169-186.
24 조성민, 김재홍, 최지선, 최인선 (2014).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 영역의 내용 영역에 대한 고찰. 수학교육논문집, 28(2), 195-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