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astronomical learning program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5초

과학기반 STEAM 천문학습 프로그램이 공간지각능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Space Perception Ability and Scientific Attitudes through the Science-Based STEAM Astronomical Learning Program)

  • 이용섭;김순식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97-306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cience-based STEAM astronomical learning program on space perception ability and scientific attitudes. For this study the 5 grade, 2 class was divided into a research group and a comparative group. The class was pre-tested in order to ensure the same standard. Space perception ability test and scientific attitudes test was used to find the effect of the science-based steam astronomical learning program.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spsswin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cience-based STEAM astronomical learning program was a positive effects on space perception ability of elementary students. Second, the science-based STEAM astronomical learning program was a positive effects on scientific attitudes of elementary students. According to this research, the science-based STEAM astronomical learning program was verified to improve space perception ability and scientific attitudes on the elementary students.

IIM을 적용한 천문학습 프로그램 개발.적용이 초등과학영재 학생의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Astronomical Learning Program Using IIM on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s in the Elementary Scientific Gifted)

  • 신명렬;이용섭
    • 영재교육연구
    • /
    • 제21권2호
    • /
    • pp.337-356
    • /
    • 2011
  • 본 연구는 IIM을 적용한 천문학습 프로그램 개발 적용이 초등과학영재학생의 과학탐구능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IIM이란 독자적 탐구방법으로 학생들 스스로 탐구하고 연구하는 수업형태로 7단계의 학습단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의 실행을 위해서 초등학교 과학교과 5학년 천문영역의 내용을 바탕으로 IIM의 탐구단계를 적용하여 총 7차시(6주간)로 천문학습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주제 선정하기(1차시), 목표 설정하기(2차시), 자료 조사하기(3차시), 탐구 활동하기(4차시), 목표 평가하기(5차시), 보고서 작성하기(6차시), 발표하기(7차시) 등으로 구성하여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연구반은 울산광역시 소재 G 초등학교 과학영재반(초등 3학년) 20명을 선정하였다. 검사도구는 과학탐구능력 검사와 과학적 태도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통계해석 프로그램은 SPSS WIN 18.0을 사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IIM을 적용한 천문학습 프로그램은 초등과학영재학생의 과학탐구능력(F=4.920, p=.021)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고, 초등과학영재학생의 과학적 태도(F=11.224, p=.001)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IIM을 적용한 천문학습 프로그램은 초등과학영재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신장과 과학적 태도 함양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나아가 과학영재원이나 과학영재학급 교육과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SGIM을 적용한 천문학습 프로그램이 초등과학영재의 메타인지와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Astronomical Learning Program using SGIM on Metacognition and Science Process Skills in the Elementary Scientific Gifted)

  • 신명렬;이용섭
    • 영재교육연구
    • /
    • 제21권3호
    • /
    • pp.719-739
    • /
    • 2011
  • 본 연구는 SGIM(Small Group Inquiry Method: 소집단 탐구기법)을 적용한 천문학습 프로그램이 초등과학영재의 메타인지 및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SGIM을 적용한 천문학습 프로그램은 총 9차시(6주간)로 구성하였으며, 탐구절차에 따라 계획단계(3차시), 탐구수행(4차시), 결과발표(2차시) 등으로 운영하였다. SGIM을 적용한 천문학습 프로그램이 초등과학영재의 메타인지 및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연구대상은 울산광역시 소재 M초등학교 초등과학영재학급(초등 3학년) 20명을 선정하였다. 측정도구는 메타인지 및 과학탐구능력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연구의 결과 분석은 t검증과 ANOVA 검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SGIM을 적용한 천문학습 프로그램은 초등과학영재의 메타인지(t=3.371, p=.003)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고, 초등과학영재의 과학탐구능력(t=2.371, p=.028)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SGIM을 적용한 천문학습 프로그램은 초등과학영재들의 과학탐구능력 신장과 메타인지 함양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초등학교의 지역영재학급이나 공동영재학급에서 운영할 수 있는 초등과학영재 프로그램으로써 지구과학 영역의 수업에 좋은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현장학습을 위한 천체관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stronomical Observation Program for Field Trip)

  • 김상달;박종철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2-62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learning content for astronomical observation that could perform astronomical programs regardless of weather conditions as a case for the present conditions of astronomical observation and the methods of new education for astronomical observation, and to suggest the methods of synchronized multiple astronomical observation and actual cases using the Internet network.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ethod of galaxy-oriented astronomical education helped those attempting to approach astronomy academically for the first time grasp useful concepts as to the astronomical space, and let them look at the space in an objective sense, which was effective in forming cosmic structure and concepts. Second, the administration curriculum of astronomical observation team was related to data that systematically contained annual astronomical education concerning the operation of astronomical observation teams; thus, they could be suggested as beneficial teaching materials to the teachers who wanted to organize a school club meeting. Third, it has been noted that the level of students' satisfaction in p2d program and MSO program was very high, and they turned out to be effective learning methods that could be implemented even in times of rain when it would not be possible to conduct astronomical observation activities.

  • PDF

과학영재 학생을 위한 RSM 기반 천체관측 프로그램이 천문학적 공간개념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RSM-Based Astronomical Observation Program on Astronomical Spatial Concept and Self-Directed Learning for the Scientific Gifted Students)

  • 신명렬;이용섭
    • 영재교육연구
    • /
    • 제21권4호
    • /
    • pp.993-1009
    • /
    • 2011
  • 본 연구는 과학영재를 위한 울산과학관을 활용한 RSM(Regional Science Educational Resource Map; 지역 과학교육 자원지도) 기반 천체관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과학영재를 대상으로 체험학습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계획되었다. 이를 위하여 울산과학관에 설치되어 있는 천체투영실, 별보미 천체관측실 및 주관측실 등의 첨단 시설 및 기자재를 활용하여 RSM 기반 천체관측 프로그램(10차시)을 개발하였고, 이를 과학영재학생을 대상으로 운영한 후 이들의 천문학적 공간개념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RSM 기반 천체관측 프로그램은 준비단계(2차시), 관측단계(6차시), 정리단계(2 차시) 등 3단계로 구성하였으며, 관측단계에서는 천체투영실을 활용한 3D 시뮬레이션 별자리 관측(2차시), 밤 하늘의 별자리 안시 관측(2차시), 천체망원경을 활용한 망원경 관측(2차시) 등으로 구성하여 지역 과학교육 자원을 많이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RSM 기반 천체관측 프로그램이 과학영재의 천문학적 공간개념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연구 대상은 울산과학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우주과학 영재교실(초 5학년) 20명을 선정하였다. 검사도구는 천문학적 공간개념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연구의 결과 분석은 종속표본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울산과학관을 활용한 천체관측 프로그램은 과학영재의 천문학적 공간개념(t=3.371, p=.003) 형성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고(p<.05), 과학 영재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t=2.371, p=.028)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p<.05). 본 연구를 통해 RSM 기반 천체관측 프로그램은 과학영재들의 천문학적 공간개념 형성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신장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특히 각 지역의 초, 중등 영재학급의 심화학습의 기회로써 RSM 기반 천체관측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PBL 기반 천체관측 프로그램이 초등과학영재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PBL-based Astronomical Observation Program on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s in Elementary Science-Gifted Students)

  • 신명렬;이용섭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0-3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PBL-based astronomical observation on the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s in elementary science-gifted students. To verify research problem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orth-grade students selected from one classes of an elementary science-gifted class in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the research group is composed of twenty students who were participated in PBL-based astronomical observation program. During four weeks, the PBL-based astronomical observation program instruction was executed in the reasearch group. Post-test showed following results: First, the research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cience process skill. We look into detailly this, the research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basis science skill. The sub-factor 'expectation' of the science process skill effects a significant improvement. Second, the research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cientific attitudes. In conclusion, PBL-based astronomical observation program was more effective on science process skill and scientific attitudes. However, since the study has a limit on an object of the study and the applied program, the additional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with an extended comparative group and program.

천문학적 사고를 반영한 천문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과학관 천체 투영관 수업 사례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Astronomy Education Program Reflecting Astronomical Thinking: A Case of Planetarium Class at Science Museum)

  • 최준태;이기영;박재용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86-106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천문학적 사고를 반영한 과학관 천문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프로그램이 고등학생들의 천문학적 사고 능력의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문헌 연구를 통해 천문학적 사고의 구성 요소를 선정한 후 사고력 학습 발달 모형을 응용하여 시연과 관찰, 문제 제시와 사고 활동, 지원과 모둠 토의, 시연과 평가의 네 단계로 구성된 천문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사후 검사에 대해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을 이용한 교수 학습 활동의 사전과 사후에 학생들의 수준 변화를 살펴 보았다. 연구 결과, 천문학적 사고를 반영한 과학관 천문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천문학적 사고를 증진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이 프로그램은 천문 영역의 공간적 사고와 관련하여 관측된 천문 현상을 우주에서 보는 관점에서 재구성하여 모델링하는 능력을 신장시키는 데 효과가 있었고, 시스템 사고와 관련하여 천문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시스템을 조직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었다. 이 연구는 학생들의 천문학적 사고를 발달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교수 학습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천문 STEAM 프로그램에서 코티칭의 활용이 초등과학 영재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stronomical STEAM Program Using Co-teaching on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 손준호;김종희;김영곤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5권7호
    • /
    • pp.572-584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코티칭을 활용한 천문 STEAM 프로그램이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해 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천문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과학 영재학생들에게 적용하였다. 초등과학 영재학생들 5-6학년 36명 중 실험집단은 16명, 비교집단은 2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티칭을 활용한 천문 STEAM 프로그램은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이 프로그램은 학습기회의 개방성 영역과 문제 해결 기술 영역의 향상에 보다 효과적이었다. 셋째, 학생들은 코티칭이 많은 피드백과 깊이 있는 설명을 제공하는 것에 만족했고, 교사들은 코티칭이 STEAM 수업에서의 전문지식 부족과 평가 및 수업자료준비의 어려움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STEAM 수업에서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의 코티칭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했다.

NEWLY DISCOVERED z ~ 5 QUASARS BASED ON DEEP LEARNING AND BAYESIAN INFORMATION CRITERION

  • Shin, Suhyun;Im, Myungshin;Kim, Yongjung;Jiang, Linhua
    • 천문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131-138
    • /
    • 2022
  • We report the discovery of four quasars with M1450 ≳ -25.0 mag at z ~ 5 and supermassive black hole mass measurement for one of the quasars. They were selected as promising high-redshift quasar candidates via deep learning and Bayesian information criterion, which are expected to be effective in discriminating quasars from the late-type stars and high-redshift galaxies. The candidates were observed by the Double Spectrograph on the Palomar 200-inch Hale Telescope. They show clear Lyα breaks at about 7000-8000 Å, indicating they are quasars at 4.7 < z < 5.6. For HSC J233107-001014, we measure the mass of its supermassive black hole (SMBH) using its C IV λ1549 emission line. The SMBH mass and Eddington ratio of the quasar are found to be ~108 M and ~0.6, respectively. This suggests that this quasar possibly harbors a fast growing SMBH near the Eddington limit despite its faintness (LBol < 1046 erg s-1). Our 100% quasar identification rate supports high efficiency of our deep learning and Bayesian information criterion selection method, which can be applied to future surveys to increase high-redshift quasar sample.

고등학교 과학동아리 천체 관측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소형 망원경을 활용한 산개성단의 거리 탐구 - (The Development of an Astronomical Observing Education Program for High School Science Club Activities - Inquiring Distances of Open Clusters Using Small Telescopes -)

  • 최동열;윤마병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00-31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육에서 쉽게 다룰 수 있는 소형 망원경과 DSLR 카메라를 활용하여 산 개성단을 관측하고, 이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천문학자들과 같은 연구 방법으로 산개성단까지의 거리를 탐구할 수 있는 천체 관측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2015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 교육에 적합한 과학 동아리 활동 수업 자료와 교사용-학생용 학습 콘텐츠를 개발했다. 지구과학 교육과 천문학 분야의 전문가(교사) 6명이 패널로 참가하였고, 패널들 간의 상호간 신뢰도를 구축한 후, 프로그램의 타당도를 검증했다. 총 10차시 수업자료로 개발된 프로그램은 내용타당도(CVI. .89)와 현장 적합성 정도(리커트 5점 척도, 4.17) 검사에서 매우 만족스러운 검증 결과를 받았다. 프로그램에 대한 패널들의 의견 반영과 델파이 분석으로 개발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수정-개선하여 완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고등학교 천체 동아리 학생들(N=9)을 대상으로 시범적 예비수업에 적용한 결과,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가 4.48로 매우 높았다. 본 연구의 천체 관측 교육 프로그램을 천체 탐구의 융합교육 활동으로 활용한다면 학생들의 우주와 천체에 대한 관심과 호기심, 탐구 능력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