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Structure of World History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25초

녹화분야(綠化分野)로부터 본 수림(樹林)의 조성(造成)과 보전(保全) - 일본(日本)에 있어서 환경림(環境林)의 역사(歷史)와 그 필요성(必要性) - (Creation and Maintenance of Woodland in the Revegetation Technology - History of Environmental Woodland and its Importance in Japan -)

  • 시바타 쇼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19-132
    • /
    • 1998
  • In recent Japan, the demand for woodland creation on revegetation sites is increasing. In the forests and woodlands, we can find many functions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in addition of biomaterial production, and all of these existences with such functions are defined as environmental woodlands. Many woodlands has been created from old times for the purpose of forest conservation and flood control, and most of these technology are handed down to present time. After Edo era (from the beginning of Meiji era, 1867), some valuable examples of woodlands were created, like Meiji shrine woodland in Tokyo. After the World War II, a lot of technology for woodland revegetation, such as ecological tree planting, have been developed. At present, many revegetation sites are aiming at woodland creation, like on man-made slope, etc.. In the great change of social structure, revegetation technology is also required to keep in close relationships to the restoration of devastated existing forests and woodlands, and to provide many technology for the restoration of secondary woodland, preservation of soil, mitigation, reclamation, etc.. Now in Japan, the improvement of environment including all the member of biosphere is demanded on a large scale. Therefore, revegetation technology should also try to make an activity taking a broad view of the restoration of natural vegetation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and new woodland creation.

  • PDF

과학기술의 20세기 회고(回顧)와 21 세기의 전망(I) (On the Reflection of $20^{th}$ and Observation $21^{st}$ at Science & Technology(I))

  • 최영박
    • 기술사
    • /
    • 제34권2호
    • /
    • pp.57-61
    • /
    • 2001
  • There has never been a point in tine as the $20^{th}$ century where mankind has faced various Issues. During the past century, the human race has come to believe that the law of nature can be substituted by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Scientists have worked on the atomic bomb and mainpulated the structure of the DNA. The $20^{th}$ century is a special landmark In human history. The various privileges that we are entitled to now are all the products of this century. The world population has Increased from 600 million In the 18u century to 900 million In the 19a century. This was larger due to the adva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during the 20u century. At this speed, it is anticipated that It will reach 30 billion by the end of the century. From a political perspective. there was turmoil. From an economic perspective, there were quantum leaps. The significant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has enhanced the quality of human life. The $21^{st}$ century now awaits us. Things like memory cells and brain transplants may be realized and nuclear fusion may happen In the near future.

  • PDF

요하네스 베르메르 회화에 나타난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patial Characteristics in the Paintings of Johannes Vermeer)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22-29
    • /
    • 2008
  • Johannes Vermeer is one of the masters in the 17th century Dutch Genre Painting. Genre Painting represented the mundane everyday life and humble domestic spaces of the time. It was so unique in the history of western art. Most common subjects of the medieval art had been myths, historical heroes, and the christianity up to that time. However, Dutch Genre Painting that was originated from the 16th century Flandre art has fundamentally changed perception of art. Genre Painting was related to the prosperous development of civil society and early capitalism in the Netherlands of the time. In the paintings of Vermeer, there are unique spati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aims to 'spatially' analyze the representation of everyday space perceived by the painter himself. Three analytical elements were chosen: light, space, and geometry. These elements have crucial roles to construct a space together within which Vermeer tried to express his discoveries as well as perception of the world. Four paintings were selected to be further analyzed in detail: $\ulcorner$A Maid Asleep$\lrcorner$ (1656-57), $\ulcorner$The Little Street$\lrcorner$ (1658-60), $\ulcorner$The Music Lesson$\lrcorner$ (1662-1665), and $\ulcorner$Young Woman with a Water Pitcher$\lrcorner$ (1662).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are distinct spatial aspects in his paintings: Structure of Frontal Layers, Diffusion of Light, and Subtle Geometrical Tension. It is hoped that this sort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could enrich the related studies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 interior design, and could help to rediscover the everyday world that we live in here and now.

Long Song Type Classification based on Lyrics

  • Namjil, Bayarsaikhan;Ganbaatar, Nandinbilig;Batsuuri, Suvdaa
    •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 /
    • 제9권2호
    • /
    • pp.113-120
    • /
    • 2022
  • Mongolian folk songs are inspired by Mongolian labor songs and are classified into long and short songs. Mongolian long songs have ancient origins, are rich in legends, and are a great source of folklore. So it was inscribed by UNESCO in 2008. Mongolian written literature is formed under the direct influence of oral literature. Mongolian long song has 3 classes: ayzam, suman, and besreg by their lyrics and structure. In ayzam long song, the world perfectly embodies the philosophical nature of world phenomena and the nature of human life. Suman long song has a wide range of topics such as the common way of life, respect for ancestors, respect for fathers, respect for mountains and water, livestock and animal husbandry, as well as the history of Mongolia. Besreg long songs are dominated by commanded and trained characters. In this paper, we proposed a method to classify their 3 types of long songs using machine learning, based on their lyrics structures without semantic information. We collected lyrics of over 80 long songs and extracted 11 features from every single song. The features are the name of a song, number of the verse, number of lines, number of words, general value, double value, elapsed time of verse, elapsed time of 5 words, and the longest elapsed time of 1 word, full text, and type label. In experimental results, our proposed features show on average 78% recognition rates in function type machine learning methods, to classify the ayzam, suman, and besreg classes.

일본 항공기산업의 개요와 동향 (Summary of Japanese Aircraft Industry since 1990's)

  • 최우영
    •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 /
    • 제8권2호
    • /
    • pp.3-14
    • /
    • 2010
  • 본 논문은 일본 항공기산업의 간략한 역사와 구조, 그리고 최근의 변화에 대해 조사한 결과이다. 비록 일본이 항공기산업과 기계공업에서 높은 기술력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1990년대 이후 일본 항공기 산업은 많은 난관과 문제에 봉착하였다.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일본은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산업과 정책 결정기관, 그리고 연구기관의 구조 조정을 실시하였고, 동시에 MRJ 사업을 비롯한 몇몇 새로운 프로젝트를 개시하였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와 영향은 앞으로의 세계 항공시장의 동향을 분석하고 예상하는데 중요할 것이라 생각되며, 이를 본고를 통해 살펴보도록 한다.

  • PDF

중세 판타지 게임의 세계관 연구 (The World View of the Middle Ages Fantasy Game)

  • 서성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114-124
    • /
    • 2009
  • 우리나라 온라인게임 중 약 73%가 중세배경의 세계관을 갖고 있다. 역사에서 암흑과 야만의 시기로 종종 점하되었던 중세 천년이 디지털 가상세계에서 새롭게 부활하고 있는 것이다. 첨단 테크놀로지로 시현되는 온라인게임에서 '중세'라는 전근대적인 세계가 빈번하게 등장하는 현상은 역설적 이며 의미심장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반해 온라인게임에서 중세 세계관이 등장하게 된 배경과 구현양상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에 중세 판타지 게임의 등장은 현대인들의 전근대에 대한 탈출과 동경 때문이며, 이러한 중세 판타지 세계관은 게임 스토리텔링의 기반 서사와 퀘스트 스토리, 캐릭터 설정 등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자연과 초자연의 공존이라는 이중 구조는 중세 판타지 게임의 기반 서사를 설정하는데 중요한 축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목표설정-모험과 투쟁-목표달성"이라는 3단계의 추구서사(quest narrative)를 가진 중세 로망스문학은 중세 판타지 게임에 이르러 퀘스트 스토리에 반영되고 있다. 봉건제로 대표되는 중세의 엄격한 피라미드적 위계질서는 캐릭터 디자인에 의미 있는 메타포를 형성하고 있으며, 플레이어들은 이러한 수직적 구조 속에서 동시에 수평적 연대의식을 통해 온라인게임의 커퓨니티를 구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해원상생사상의 평화적 가치와 현대적 의의 (The Value of Peace and the Modern Significance of Haewon Sangsaeng)

  • 배규한
    • 대순사상논총
    • /
    • 제40집
    • /
    • pp.1-38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강증산(姜甑山, 1871~1909) 성사(聖師)의 해원상생(解冤相生)사상에 관한 평화적 가치를 모색하고, 그 현대적 의의를 조명하는 것이다. 증산은 구한말인 1871년 탄강하여 1909년 화천할 때까지 광구천하의 인류대망을 실현하기 위해 천지인 삼계를 근원적으로 혁신하는 천지공사(天地公事, 1901~1909)를 실행한 역사적 대종교가로 관련 종교계와 학계에서는 평가하고 있다. 증산의 주장은 크게 두 가지로 집약할 수 있다. 하나는 낡은 질서의 청산과 새로운 세상의 도래를 예시하는 '후천개벽사상'이고, 다른 하나는 인류 구제와 세계평화의 근본원리인 '해원상생사상'이다. 여기에서 '개벽'은 "적극적 평화에 대한 종교적인 표현"과 다름 아니고, '해원상생'은 "전세계의 평화이며 전인류의 화평" 원리이다. 특히, 해원상생은 대순진리회의 종지로서 대순사상의 근간을 이루는 주요사상이며, 증산의 천지공사를 관류하는 요체라 할 수 있다. 오늘날 해원상생은 공존과 상생, 평화를 말하는 담론뿐만 아니라 학술의 장에서도 다양하게 논의되거나 인용되고 있다. 해원상생은 구체적으로 세계갈등, 지역갈등, 문화갈등, 이념갈등, 빈부갈등, 세대갈등, 인종갈등, 종교갈등 등과 같은 세계사적 갈등구조에서부터 현대사회에 노정된 다양한 상극적 구조와 부조화 영역에서 학술적으로 심도있게 논의되고 있다. 이와 관련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주로 인간, 신명, 후천선경, 이상사회, 세계평화 등의 주요한 가치에 천착하고 있으며, 실천윤리, 실천철학, 실천원리, 관계의 조화, 윤리적 이상, 새로운 질서원리, 항구적 평화 등으로 조명되고 있다. 특히 해원상생의 윤리·철학·질서·원리로서의 의의는 인간과 세계에 대한 사랑·공존·조화·평화 등의 의미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인간·신명·후천선경·이상사회·세계평화 등에서 그 가치가 발현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그간의 연구를 토대로 증산의 해원상생사상의 계승과 정립에 관한 사상적 연맥을 살펴보고 그 평화적 가치를 검토해봄으로써, 오늘날 해원상생의 원리와 사상이 세계와 인류에 던지는 그 현대적 의의를 모색해보고자 한다.

트위터에 나타난 국제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의 하위집단 분석 (Subgroup Analysis of Global Communication Network on Twitter)

  • 서일정;조재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671-679
    • /
    • 2016
  • 본 연구는 국제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국가들의 하위집단을 분석하여 국제 커뮤니케이션 현상에 대한 실증적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 세계 트위터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 데이터를 수집하여 국제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를 구성하였으며, 국제연합과 세계경제포럼에서 사용하는 국가의 지리적, 경제적 속성을 추가하였다. 국제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에서 국가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중심성 분석과 핵심-주변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하위집단의 커뮤니케이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하여 하위집단 내와 하위집단 간의 응집력을 분석하였다. 또한 국제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에 내재되어 있는 하위집단을 발견하기 위하여 군집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국제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에는 핵심 국가들이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핵심-주변 구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적 수준에 따른 국제 커뮤니케이션의 위계 구조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군집 분석을 통해 경제, 지리, 역사, 문화, 종교 등 다양한 내용의 동질감을 갖는 하위집단을 발견하였다.

대만의 티베트사(史) 연구 동향과 쟁점 (Trends and Issues of Tibetan History in Taiwan)

  • 심혁주
    • 동북아역사논총
    • /
    • 제60호
    • /
    • pp.196-227
    • /
    • 2018
  • 본 연구의 논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근대이후 전반적인 대만의 티베트 연구상황과 변천동향을 검토하고 그 속에서 대만의 티베트사 연구의 발전과 흐름을 파악하고자 했다. 두 번째, 위의 내용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대만의 주요 티베트 연구기관과 학자들, 그리고 그 연구경향을 분석하여 그 동향과 궤적을 추적하였다. 세 번째, 대만의 티베트 연구동향은 포괄적으로 우리에게 대만 학자들의 연구방법과 경향 그리고 변천의 흐름을 분석하는 데 유효한 지표가 될 수도 있다. 특징과 변천의 흐름이 있다면 본문을 통하여 그 이유를 탐색할 수 있을 것이다. 네 번째, 본 연구가 가지는 의미 중의 하나는 중앙 대 지방, 한족 대 소수민족, 소유와 배분의 학술적 사유를 가지는 구조 속에서 로컬리티(locality)에 관한 이해를 촉발할 수 있다는 점이다. 즉 같은 티베트 연구를 진행해도 중국은 기득권자의 입장인 반면, 대만은 이와 같은 시선과 태도에서 벗어난 수평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대만은 국가나 중앙의 입장에서 티베트를 바라보는 수직적 구조가 아니라는 점인데, 이런 학술적 풍토가 우리에게 어떤 학문적 방향의 시사점을 줄 수 있다면 국내 학계의 중국 소수민족 문제를 좀 더 구체적인 학문연구의 독립적 대상으로 바라볼 수 있는 방향점을 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루이즈 부르주아의 작품 의 내러티브 분석 (A Study on Narrative in Louise Bourgeois' "You Better Grow Up")

  • 오상일
    • 조형예술학연구
    • /
    • 제9권
    • /
    • pp.49-87
    • /
    • 2006
  • Narrative has broad domains. So it is related to the everything man faces in his daily life and also performed in various modes. Narrative is revealed through all media including a character, which is also applied to plastic art. And narrative objects formed beyond the differences in media aid forms of expression are commonly based on a language. The study on such objects which created a new conceit of narratology can be said to be a spiritual trend by which to understand the world and man from the viewpoint of a 'story'. Plastic art took high interest in narrative in the same period as the rise of postmodernist art in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which was also applied to sculpture. The researcher, therefore, investigated through the history of sculpture in the 20th century the process in which narrative was denied under the value system of modernism and reappeared with the quickening of postmodernism. And as a result this period could be briefly characterized by 'return to figure' and 'reappearance of narrative'. The is, such flow means that late sculpture converted its center of interest from simple geometric abstract forms to irregular, figurative images. The researcher chose as the subject of his study the work of Louise Bourgeois, who was judged to have performed narrative positively and successfully among a great number of performed narrative positively and successfully among a great number of postmodernist sculptors who adopted it as their own strategy of expression. As the central artist of postmodrnist sculpture, She expressed human desire and condition as sexuality through the introspection of her own personal experience in contrast to the character of pop art sensitive to external world. The researcher borrowed narrative semiotics as a method of analyzing more elaborately the problem about the generation of narrative shown in her works. For it, he selected as the sample work for analysis Bourgeois's , which were judged to contain narrative most abundantly and as the metaphor of a gaze and recollection presented a new woman self that sublimed love, hatred, and loneliness. The narrative in her works are characterized by introspection questioning one's own trauma. It has independent domain and characteristics and clearly reveals narrative and content-centered characteristics, which are commonly discovered in postmodernist sculpture. The researcher could more concretely and definitely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through figurative images by analyzing the sample work. The researcher wanted to call your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sculpture in the late 20th century contained narrative commonly and uniformly despite being characterized by various expressions and modes. And the focused on highlighting the fact that the narrative was more effectively revealed through figurative images of human body and simultaneously analyzing the formalizing process and structure for narrative. Besides he wanted to argue that the position of narrative defining the characteristics of sculpture should be valued more justly. Also, such acceptance of narrative, which is discovered in the sculpture, will have to be understood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iod reflecting the cultural aspect of the present tim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