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Olympics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33초

Winter Olympics Mascots: Features and Attributes

  • Myeong Hee, SEONG;Dong Geun, LEE;Hyuk Jin, LEE
    • Journal of Sport and Applied Science
    • /
    • 제7권1호
    • /
    • pp.1-10
    • /
    • 2023
  • Purpose: This paper analyzed the features of Winter Olympics mascots in chronological order by examining the evolution of mascots and presented the attributes of the Winter Olympics mascots from Innsbruck 1976 to Beijing 2022.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paper conducted an exploratory study on the thinking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13 Winter Olympics Mascots through literature review. Results: First, the mascot is a fictional character, usually an artificial character that represents the locality of the host city, including animals, human figures, and local inhabitants. Second, Schneemann, Innsbruck 1976 was known as the first official Winter Olympics mascot. Third, 19 mascots out of a total of 24 mascots were created using animals. Conclusions: The six attributes of the Winter Olympics mascots were identified: friendliness, symbolic meaning, originality, diversity, value, and identity of a special location. Above all, Winter Olympics has a locality that includes areas covered with ice and snow. From this point of view, the Olympics mascot highlights the image of snow and ice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that includes it.

올림픽 문화프로그램의 구성과 특성 분석 - 1988 서울올림픽과 2018 평창동계올림픽을 중심으로 - (The Analysis of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 in Olympics Cultural Program: Focusing on the 1988 Seoul Olympics and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s)

  • 이지연;손정우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87-20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1988 서울올림픽과 2018 평창동계올림픽의 문화프로그램의 구성과 특성을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방법을 통해 역대 올림픽대회의 문화올림픽의 발전상과 개최국의 문화올림픽 사례를 고찰하였고, 1988 서울올림픽과 2018평창동계올림픽의 문화프로그램의 구성과 특성을 다양하게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92 바르셀로나올림픽에서는 문화프로그램 개념이 심화·발전되었으며, 2010 밴쿠버올림픽을 계기로 IOC는 문화올림픽 가이드를 발간하였고, 2012 런던올림픽을 통해 문화올림픽 가이드를 개정하였다. 둘째, 1988 서울올림픽과 2018 평창동계올림픽의 문화프로그램은 개최국과 개최도시 이미지 변화와 위상 및 국제적 교류 제고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셋째, 문화프로그램에서 1988 서울올림픽은 문화예술축전 속에 경축, 공연, 전시행사, 그리고 국제학술대회 등으로 구성되었고, 2018 평창동계올림픽은 공연, 전시, 축제, 인문 및 체험, 교육행사 등으로 구성되었다. 넷째, 1988 서울올림픽은 전통과 현대의 조화와 한국의 전통문화의 우수성 홍보 및 공감대 확산 그리고 각 지역의 다양한 문화예술의 특징을 골고루 갖춘 프로그램의 구성이 핵심요소였다. 또한 2018 평창동계올림픽은 문화올림픽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날마다 문화가 있는, 도민이 참여하는, 문화유산으로 남는 올림픽'을 전략적으로 추진하였다.

동계올림픽 통합 아이덴티티의 시각적 구성요소와 특성 연구 - 밴쿠버, 소치, 평창 동계올림픽 사례중심으로 (A Study of the Visual Compon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tegrated Identity of Winter Olympics - Focused on the Cases of the Vancouver, Sochi, and Pyeongchang Winter Olympics)

  • 이영화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155-162
    • /
    • 2018
  • 동계올림픽의 통합 아이덴티티 디자인 정립을 위해 영향을 미치는 시각적 구성요소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은 2010년 이후 열린 밴쿠버, 소치, 평창 동계올림픽으로 한정하였다. 1차 조사에서는 시각적 구성요소의 특징을 살펴보고, 2차 조사에서는 디자인의 특성인 일관성, 가변성, 확장성, 연계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동계올림픽의 통합 아이덴티티는 시각적 구성요소들의 통합적인 인식을 주는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사용에 따라 가변성을 보였다. 또한 서로간의 연계적인 이미지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다양한 변화 속에서도 적용매체에 따라 유연하게 활용되는 확장성은 엠블럼과 슬로건에서 미비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이 향후 올림픽 엠블럼 디자인 제작에 효과적인 통합 아이덴티티 전략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되기를 바란다.

An Investigation into the Correlation between a Country's Total Olympic Medal Count, GDP, and Freedom Index through History

  • Snowberger, Aaron Daniel;Lee, Choong Ho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95-498
    • /
    • 2021
  • In 2021, Tokyo held the delayed 2020 Olympics in the ongoing COVID-19 pandemic. As with any Olympics, the final medal count was of particular interest. Since 2004, South Korea has consistently ranked in the top ten most successful countries for four straight Summer Olympics. However, in 2021, it fell short of a top ten finish for the first time since 2004. There may be many factors that affect the final medal count in any Olympics, and this study compares and looks for correlations between some of these factors including final medal count, GDP, population, size of Olympic contingent, and Freedom Index. The study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South Korea and other countries which have seen a dramatic change in Freedom Index score since 1972, when the index was first published.

  • PDF

지적장애인을 위한 물리치료 선별검사와 관리: 스페셜올림픽 FUNfitness 중심으로 (Physical Therapy Screening and Management for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Focus on the Special Olympics FUNfitness)

  • 이창렬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75-89
    • /
    • 2024
  • PURPOSE: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FUNfitness program, conducted by physical therapists as part of the Special Olympics Athlete Health Promotion Program,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health management of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ETHODS: This study collected and organized materials related to the Special Olympics Athlete Health Promotion Program, as well as training manuals for FUNfitness. Additionally, it referenced activity reports of the FUNfitness program developed through the collaboration between the American Physical Therapy Association and the Special Olympic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 the definition and composition of the Special Olympics Athlete Health Promotion Program, its objectives, the definition and design objectives of the FUNfitness program, the composition and evaluation procedures of the testing and assessment items, and recommendations for referral for additional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s following FUNfitness education. CONCLUSION: This article describes the importance of physical therapists understanding physical therapy screening and management for the health care of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emphasizing the need for their continuous interest in promoting the health of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평창동계올림픽 사후관리를 위한 기록화전략 제안 (A Recording Strategy Proposal for the Post-Management of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 최호준;양월운;최태석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05-22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2018년 2월 개최된 평창동계올림픽 사후관리를 위한 기록화전략을 제안하는 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평창동계올림픽 사후관리 기록의 가치와 기록의 유형을 파악하고 국내와 국외에서 진행된 메가 스포츠이벤트 사후관리 사례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평창동계올림픽 사후관리를 위한 기록화전략으로서 3가지를 제안할 수 있다. 첫째, 기록화 대상과 주체, 주제별, 계층별 범위를 명확하게 설정한 후 사후관리를 실시해야 한다. 둘째, 제한적인 문헌기록의 보완을 위해 구술기록을 통한 사후관리를 실시한다. 셋째, 홈페이지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서비스시스템을 구축하여 사후관리에 활용해야 한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평창동계올림픽기념관 건립과 국내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사후관리를 위한 기록화 전략 마련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2018평창동계올림픽 시설 사후활용에 대한 경제적 가치: 정선군 알파인 경기장을 사례로 (The Economic Value for the Post-use of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Facilities: Case of Alpine Stadium in Jeongseon)

  • 송운강;이혜진;양희원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1권2호
    • /
    • pp.235-244
    • /
    • 2020
  • Purpose - This study estimated the value of the post-use of Alpine stadium in Jeongseon as a tourist attraction, which is one of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facilities, and identified determinant factors on the willingness to pay (WTP). Design/methodology/approach - A dichotomous-choice model of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that is known for an effective tool was used to calculate the value.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650 visitors to major tourist destinations in Jeongseon and 629 copies of the valid samples were analyzed. Findings - The results shows that determinate factors on the WTP are; suggestion cost, need (application of Ecotourism Program to the Restoration Process), agree(agree to Ecotourism Program in the Restoration Process) and age. Also, the WTP on the facility is 16,296 won per person.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This study estimates the value of the post-utilization of Alpine Stadium of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facilities, which have been experiencing conflict in recent years. For this reason, the findings of the paper will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for tourism development and management policies of the region.

2018 평창동계올림픽 대종의 제작과 음향 평가 (Manufacturing and Sound Estimation of the Great Bell of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 김석현;변준호
    • 산업기술연구
    • /
    • 제38권1호
    • /
    • pp.1-7
    • /
    • 2018
  • This paper introduces the design, casting, and sound evaluation results of the Great Bell of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The Olympic Bell was manufactured to announce the opening of the successful Winter Olympics in the world with a grand sound. The bell was designed to the dynamic shape to give a grand and harmonious sound in consideration of the global sports festival. In this study, the performance of the beat making the sound magnificent and the harmony of the bell sound were quantitatively evaluated using acoustical factors. Beat maps were investigated to understand the directivity of the beating sound.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present the production technique of a traditional Korean bell that has a dynamic shape and a grand and harmonious sound.

2032 남북공동올림픽 추진방안 연구 (A Study on the Promotion Plan of the 2032 South-North Korea Joint Olympics)

  • 이동희;김흥태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353-379
    • /
    • 2020
  • 2032년 남북공동올림픽 개최 추진은 한반도의 새로운 남북관계 개선과 함께 새로운 남북공동 번영의 한반도 시대를 청사진으로 천명하며 문제인 정부에 의해 주도적으로 제안되고 추진되고 있는 정책 사안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32년 남북공동올림픽 개최와 관련한 상징적 및 현실적 의제 제시를 통한 추진방안 논의를 목적으로 문헌연구 방법에 의해 전개하였다. 이와 관련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평양 축구교류전'인 가칭 '신경평전'의 추진을 제안한다. 둘째, 가칭 '국제평화컵 역전경주(마라톤)대회'의 추진을 제안한다. 셋째, 가칭 '코리아 평화컵 국제 남녀복식 및 혼합복식 탁구선수권대회'의 추진을 제안한다. 넷째, 가칭 '코리아(한반도) 스포츠 과학 포럼' 추진을 제안한다. 다섯째, 2032년 남북공동올림픽 개최와 관련하여 북한 공동개최 종목으로 약 16-17개 종목의 선정방안을 제안한다. 여섯째, 2032년 하계올림픽 개최지 결정 관련 예상 사나리오로 2022년부터 2023년 내 결정된다는 1차 예상을 전망한다. 일곱째, 민·관·학으로 구성된 전문가 중심의 특별위원회인 가칭 '남북사회회 문화교류협력위원회' 또는 가칭 '남북체육교류협력 추진특별위원회'의 설치 방안 추진을 제안한다. 여덟째, 가칭 '남북체육교류협력활성화 5개년 계획' 또는 가칭 '남북교류협력5개년계획'의 추진을 제안한다. 아홉째, 가칭 '남한 k-1리그 북한 선수 정원 외 등록선수 제도' 시범운영 방안 추진을 제안한다. 열번째, '선이후난(先易後難) 및 선제적 제의 원칙' 천명이 요청된다. 열한 번째, 북한 체육 및 교류협력 관련 전문가 풀 구성 및 양성 방안 추진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남북 당사자 간 가칭 '남북체육교류협정(약)서' 채결과 남한 내부적으로 가칭 '남북체육교류 협력지원법' 제정을 추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