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Analysis of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 in Olympics Cultural Program: Focusing on the 1988 Seoul Olympics and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s

올림픽 문화프로그램의 구성과 특성 분석 - 1988 서울올림픽과 2018 평창동계올림픽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21.05.21
  • Accepted : 2021.06.25
  • Published : 2021.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mpositions and characteristics in cultural programs of the 1988 Seoul Olympics and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s. A research method was considered the developmental aspects of Cultural Olympics in all-time Olympic Games and the cases of Cultural Olympics in a host country through a documentary research method. The compositions and characteristics in cultural programs of the 1988 Seoul Olympics and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s were diversely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concept of a cultural program was deepened and developed at the 1992 Barcelona Olympics. In the wake of the 2010 Vancouver Olympics, IOC published the Cultural Olympic Guide. Through the 2012 London Olympics, the Cultural Olympic Guide was revised. Second, the cultural programs of the 1988 Seoul Olympics and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s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image change & status and of the international exchange strengthening in a host country and a holding city. Third, in terms of cultural programs, the 1988 Seoul Olympics comprised the celebrations, performances & exhibitions amid the Culture and Arts Festival, and the International Academic Conference.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s were composed of performances, exhibitions, festivals, humanities & experience, and educational events. Fourth, the 1988 Seoul Olympics included the key element of forming a program that equally has the characteristics with the harmony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ty, with the promotion of the excellence 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 the spread in a bond of sympathy, and with various cultures and arts in each region. Also,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s pushed ahead with the strategy dubbed 'The Olympics in which there is culture day after day, in which provincial residents participate, and in which the cultural heritage is left' in order to systematically expedite the cultural Olympics.

본 연구의 목적은 1988 서울올림픽과 2018 평창동계올림픽의 문화프로그램의 구성과 특성을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방법을 통해 역대 올림픽대회의 문화올림픽의 발전상과 개최국의 문화올림픽 사례를 고찰하였고, 1988 서울올림픽과 2018평창동계올림픽의 문화프로그램의 구성과 특성을 다양하게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92 바르셀로나올림픽에서는 문화프로그램 개념이 심화·발전되었으며, 2010 밴쿠버올림픽을 계기로 IOC는 문화올림픽 가이드를 발간하였고, 2012 런던올림픽을 통해 문화올림픽 가이드를 개정하였다. 둘째, 1988 서울올림픽과 2018 평창동계올림픽의 문화프로그램은 개최국과 개최도시 이미지 변화와 위상 및 국제적 교류 제고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셋째, 문화프로그램에서 1988 서울올림픽은 문화예술축전 속에 경축, 공연, 전시행사, 그리고 국제학술대회 등으로 구성되었고, 2018 평창동계올림픽은 공연, 전시, 축제, 인문 및 체험, 교육행사 등으로 구성되었다. 넷째, 1988 서울올림픽은 전통과 현대의 조화와 한국의 전통문화의 우수성 홍보 및 공감대 확산 그리고 각 지역의 다양한 문화예술의 특징을 골고루 갖춘 프로그램의 구성이 핵심요소였다. 또한 2018 평창동계올림픽은 문화올림픽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날마다 문화가 있는, 도민이 참여하는, 문화유산으로 남는 올림픽'을 전략적으로 추진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재화(2017). 메가 스포츠 이벤트에 대한 인식과 참여의도의 관계: 평창 동계올림픽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황용필(2012). 스포츠 메가 이벤트의 그랜드슬램 달성이후 한국 스포츠외교의 방향과 과제. 체육과학연구, 23(4): 959-972.
  3. 류정아, 심원섭, 김미숙(2012). 2018 평창 동계 올림픽 계기 문화관광 기본구상. 한국문화관광연구원.
  4. 표원섭 김낙형(2018).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연출의 표현 특성.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2(8): 181-192.
  5. 변연하, 김동선, 김흥태(2011). 2018평창동계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현안과 과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5(4): 129-137.
  6. 홍완식(2008). 스포츠컬쳐노믹스: 스포츠문화력과 경제산업의 발전. 한국페어플레이위원회.(재)한국사회체육문화재단. 39-42.
  7. 아시아경제. 평창동계올림픽 효과로 1분기 GDP 성장률 0.2%P 상승. http://www.asiae.co.kr/news/ 2021.05.15.
  8. 한국산업연구원(2008).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개최 타당성 조사 보고서.
  9. 2018평창동계올림픽유치위원회(2011). 2018 평창동계올림픽 유치성공 종합백서.
  10. 김지윤(2019). 올림픽 개막식 예술프로그램의 구성과 안무의 특성: 1980-2016 하계올림픽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김지윤, 나영일(2017). 올림픽 개막식의 구성과 예술프로그램의 변천과정. 한국체육학회지. 56(2): 15-27.
  12. 신현군(2014). 올림픽가치교육(OVEP)의 철학적 및 교육적 가치와 실제. 한국스포츠학회지, 12(1): 83-96.
  13.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2020). OLYMPIC CHARTER. 대한체육회, 올림픽헌장 번역본(2020.7).
  14. The Olympic Museum Educational and Cultural Services.(2013). The modern Olympic Games 3rd edition. IOC, The Olympic Museum.
  15. 김지윤(2019). 올림픽 개막식 예술프로그램의 구성과 안무의 특성: 1980-2016 하계올림픽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문화체육관광부(2016). 중점관리 대상 사업: 2016리우올림픽 참가. 국제체육과, 정보공개. https://www.mcst.go.kr/.
  17. 조수연(2010). 메가 스포츠이벤트 자원봉사자 모집체계 사례 비교 연구. 여가관광연구, 16: 80-96.
  18. 조배행(2000). 스포츠 이벤트 관광연구의 최근 동향. 산업연구, 2(1): 293-306.
  19. 김경용, 박용범(1998). 지방자치단체의 지역사회 개발을 위한 스포츠 이벤트의 활용 전략. 한국체육학회지, 37(1): 247-261.
  20. 공태명, 황재연(2017). 메가 스포츠이벤트에 대한 안전인식이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을 중심으로. 한국경찰학회보, 19(6): 4-31.
  21. 백정민(2017). 한국 메가 스포츠이벤트 레거시에 대한 시론적 접근. 한국스포츠학회지, 15(2): 487-494.
  22. 마채리(2009). 스포츠 메가이벤트와 SOC 의식 변화 및 스포츠문화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염두승, 윤상문, 석혁기(2018).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한 체험 중심 여가 공간 활용 방안: 평창동계올림픽 시설과 지역 여가 공간의 연계를 중심으로. 한국스포츠학회지, 16(1): 107-114.
  24. Gibson, H. J.(1999). Sports tourism : The rule of the game. Park & Recreation, 34(36): 36-45.
  25. Krohn, F.(1998). Psychologcial and sociological influence on attendance at small college sporting events. College Student Journal, 32(2): 241-256.
  26. Getz, D.(1998). Trends, Strategies, and Issues in Sport-event Tourism. Sports Marketing Quarterly, 7(2): 218-224.
  27. Nogwa, H., Yamaguchi, Y., & Hagi, Y.(1996). An empirical research study on Japanness sport tourism in sport-for-all events. Journal of Travel Research, 35(2): 46-54. https://doi.org/10.1177/004728759603500208
  28. Garcia, B.(2001). Enhancing sport marketing through cultural and arts programs: Lessons from the Sydney 2000 Olympic Arts Festivals. Sport Management Review, 4(2): 193-219. https://doi.org/10.1016/S1441-3523(01)70075-7
  29. Garcia, B.(2002). The concept of Olympic Cultural Programmes: Origins, evolution and projection. University lectures on the Olympics. Barcelona: International Chair in Olympism (IOC-UAB).
  30. Garcia, B.(2008). One hundred years of cultural programming within the Olympic Games (1912-2012): Origins, evolution and projec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Cultural Policy, 14(4): 361-376. https://doi.org/10.1080/10286630802445849
  31. 박성민(2018). 2018 강릉 문화올림픽 효과를 지속하기 위한 지역문화공간의 역할 확장 연구: 강릉아트센터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문화체육관광부, 강원도, 강릉시, 평창군, 정선군(2015). 2018평창동계올림픽의 문화올림픽 실현 기본계획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33. 유경숙(2014). 2014 소치 동계올림픽의 문화프로그램 분석 및 특징. 인문콘텐츠, 33: 187-211.
  34. 민현주(2007). 올림픽을 통한 스포츠와 무용예술의 상호작용. 대한무용학회논문집, 50: 29-44.
  35. Urry, J.(1992). The tourist gaze revisited.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36(2): 172-186. https://doi.org/10.1177/0002764292036002005
  36. Lankford, S. V. & Howard, D. R.(1994). Developing a tourism impact attitude scale. Annals of Tourism Research, 21: 35-43.
  37. Uysal, M., Gahan, L., & Martin, B.(1993). An examination of event motivations. Festival Management and Event Tourism, 1(1): 5-10.
  38. IOC.(2013). The Observer Programme Sochi 2014. Guide on the Cultural Olympiad, 25.
  39. 문화체육관광부, 강원도, 강릉시, 정선군, 평창군(2015). 2018평창동계올림픽의 문화올림픽 실현 기본계획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40. Garcia, B.(2002). The Concept of Olympic cultural programmes: origins, evolutions and projections. university lecture on the Olympics. [online article].
  41. Hanna, M.(1999). Reconciliation in Olympism: the Sydney 2000 Olympic Games and Australia's indigenous people. Sydney: Walla Walla Press,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42. Good, D.(1998). The Olympic Games' Cultural Olympiad: identity and management(MA Thesis). Washington: The American University, 31.
  43. Guevara, T.(1992). Analisis comparativo del programa cultural olimpico desde Mexico''68 hasta Barcelona''92, como base para su realizacion en Puerto Rico''2004. Barcelona. Centre d''Estudis Olimpics I de l''Esport.
  44. 문화체육관광부, 강원도, 강릉시, 정선군, 평창군(2015). 2018평창동계올림픽의 문화올림픽 실현 기본계획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45. 문화체육관광부, 강원도, 강릉시, 정선군, 평창군(2015). 2018평창동계올림픽의 문화올림픽 실현 기본계획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46. Kennell J. & MacLeod N.(2009). A grey literature review of the Cultural Olympiad. Cultural Trends, 18(1): 83-88. https://doi.org/10.1080/09548960802651294
  47. 문화체육관광부, 강원도, 강릉시, 정선군, 평창군(2015). 2018평창동계올림픽의 문화올림픽 실현 기본계획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48. 문화체육관광부, 강원도, 강릉시, 정선군, 평창군(2015). 2018평창동계올림픽의 문화올림픽 실현 기본계획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49. Guevara, T.(1992). Analisis comparativo del programa cultural olimpico desde Mexico''68 hasta Barcelona''92, como base para su realizacion en Puerto Rico''2004. Barcelona. Centre d''Estudis Olimpics I de l''Esport.
  50. 문화체육관광부(2019). 2017 체육백서.
  51. 강원도(2020).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동계패럴림픽대회 백서.
  52. 다음백과. 서울올림픽대회. https://100.daum.net/encyclopedia/ 2021. 05.13.
  53. 국민체육진흥공단(2000). 서울올림픽사(제3권). 올림픽의 성과(2).
  54. 2018평창동계 및 패러림픽대회조직위원회(2018). PyeongChang2018 공식보고서 제1권(대회유치).
  55. 문화체육관광부(2020). 2018 체육백서. 431.
  56. 국민체육진흥공단. 공단 소개. https://www.kspo.or.kr/kspo/ 2021.05.15.
  57. 2018평창기념재단. 기념재단 소개. https://legacy2018.org/ 2021.05.15.
  58. 서울올림픽대회조직위원회(1989). 제24회 서울올림픽대회 공식보고서. 제1권, 대회준비 및 운영.
  59. 서울올림픽조직위원회(1989). 제24회 서울올림픽대회 공식보고서. 제1권, 대회준비 및 운영.
  60. 국민체육진흥공단(2000). 서울올림픽사(제3권). 올림픽의 성과(2).
  61. 서울올림픽대회조직위원회(1989). 제24회 서울올림픽대회 공식보고서. 제1권, 대회준비 및 운영.
  62. 다음백과. 서울올림픽대회. https://100.daum.net/encyclopedia/ 2021.04.20.
  63. 서울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1989). 제24회 서울올림픽대회 공식보고서. 서울: 서울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64. 곽영만(2019). 메가 스포츠 이벤트와 한국의 문화정체성.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5. 체신부(1989). 서울올림픽경기대회백서: 통신, 전산부문.
  66. 국민체육진흥공단(2000). 서울올림픽사(제3권). 올림픽의 성과(2).
  67. 김종기, 이상우, 유극천, 구광모, 홍종덕(1989). 서울올림픽의 의의와 성과. 한국개발연구원.
  68. 2018평창동계 및 패러림픽대회조직위원회(2018). PyeongChang2018 공식보고서 제3권(대회준비 및 운영).
  69. 2018평창동계 및 패러림픽대회조직위원회(2018). PyeongChang2018 공식보고서 제2권(대회진행 및 결과).
  70. 강원도(2018). 올림픽 기간, 평창.강릉.정선, 올림픽 개최지 관중 등 관광객 5백만명 찾았다. 관광마케팅과 보도자료.
  71. 강원도(2020).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동계패럴림픽대회 백서.
  72. 2018평창동계 및 패러림픽대회조직위원회(2018). PyeongChang2018 공식보고서 제3권(대회준비 및 운영).
  73. 강원도(2020).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동계패럴림픽대회 백서.
  74. 강원도(2018). 올림픽 기간, 평창.강릉.정선, 올림픽 개최지 관중 등 관광객 5백만 명 찾았다. 관광마케팅과 보도자료.
  75. 강원도(2020).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동계패럴림픽대회 백서.
  76.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조직위원회(2018).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결산: 기획특집. 보도 참고자료.
  77. 강원도(2020).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동계패럴림픽대회 백서.
  78. 김진동, 김진각(2019). 내용분석을 통한 2018평창문화올림픽의 의미와 시사점 고찰. 관광연구저널, 33(9): 127-144.
  79. 박지은(2018). 30년 만에 열린 대회 압도적 지지... 운영점수 '합격점'. 강원도민일보, 2018.2.27.
  80. 문화체육관광부(2018). 한눈에 보는 2018 평창'문화올림픽'. 보도자료, 1. 22.
  81. 강원도(2020).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동계패럴림픽대회 백서.
  82. 박명희(2020). 도쿄올림픽 연기의 주요 쟁점과 한.일 의회외교의 과제. 국회입법조사처, 의회외교 동향과 분석, 제45호, 2-4, 2020년 4월 2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