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Gracious Plants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4초

조선 청화백자에 표현된 사군자 문양을 이용한 직물디자인 개발 및 패션제품 제작 (The Development of Textile Designs and the Manufacture of Fashion Products by Using the Four Gracious Plants Expressed on Blue and White Porcelain in the Joseon Dynasty)

  • 정진순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42-251
    • /
    • 2009
  • Traditional patterns of Korea vary greatly and have excellent value in terms of artistic merit. Nevertheless because there are not enough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m, traditional patterns of Korea are not yet recognized in internationally aesthetic value.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designs modernizing traditional patterns of Korea is urgently needed. In this study, I chose Four gracious plants as the subject materials of textile design development. Before everything I examined data of Four gracious plants expressed on Blue and white porcelain. And I chose data that are suitable to express modern image among them. I set my face to develop the textile design of Korean images by adding modern scenes with them. Also, I were trying to make fashion products like muffler and tie by using techniques such as burn out, crayon dying and spray dyeing.

사군자를 소재로 한 네일아트 디자인 (Nail art design utilizing the Four Gracious Plants)

  • 김현아;양은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2호
    • /
    • pp.463-469
    • /
    • 2021
  • 한국의 미적가치는 한국적인 소재를 이용한 디자인의 활용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상승되고 있다. 한국적인 소재는 동양적인 사상을 내포하고 있으며 그 형태의 독특함으로 인해 디자인 개발의 소재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적인 소재를 이용한 네일 작품을 제작함으로써 네일아트 산업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차별성이 있는 네일아트 디자인의 기초자료를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네일아트 디자인 개발을 위해 네일아트와 사군자 특성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였고, 수묵화를 모티브로 한 사군자를 이용한 한국적이면서도 개성 있는 네일아트 디자인작품을 제작하였다. 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를 소재로 하여 그 의미와 이미지에 어울리는 색채, 질감, 형태의 디자인 요소를 적용하고 핸드페인팅기법과 오브제 기법을 이용하여 현대적인 디자인의 네 작품이 제작되었다. 본 연구는 네일아트와 사군자의 통합연구로 한국문화를 드러내는 창의적인 네일아트 디자인 개발의 토대를 마련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A Study of Kwon Kisoo's Paintings : focused on The 'Four Gracious Plants' and 'Dongguri'

  • Adjah, John;Hong, Mi-Hee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0호
    • /
    • pp.497-519
    • /
    • 2015
  • 권기수는 한국의 가장 촉망되는 화가 중 한사람이다. 그의 작품에는 많은 동양예술의 비유들과 철학이 담겨져 있다. 화가로서, 권기수는 그의 그림에 동양적 사상과 현대적 사상을 모두 채택하였다. 그의 주요 주제들은 '매화꽃, 국화, 난초 그리고 대나무'이다. 이 식물들은 한국에서 '사군자'라고 알려졌으나, 영어로 '네 개의 품위 있는 식물' 또는 '네 개의 온화한 식물' 번역되기도 한다. 또한 이 식물들은 네 개의 계절을 나타낸다. 그들은 각기 다른 환경에서 자라나고, 동양 미술에서 이 식물들의 품격과 지성은 매우 중요하게 여겨진다. 권기수 역시 그의 작품 속에 사군자를 소재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의 모든 작품에는 '동구리'라는 캐릭터가 나온다. 2002년에 빠른 붓 스트로크에 의해 고안된 동구리는 권기수의 작품에서 주요한 캐릭터이다. 동글동글하고 귀여운 인상의 동구리는 많은 사람들에게 칭찬과 사랑을 받는다. 동구리는 보통 '사군자' 가운데 살고 있다. 바위와 산과 같이 특색 있는 지역에 있는'사군자'는 동구리가 살고 있는 곳이다. 동구리는 또한 등산, 달리기, 앉기 등과 같이 다양한 동작을 취하고 있다. 이 모든 동작들이 이번 과제에서 해석되어온 은유를 묘사한다.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rean Patterns Expressed o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 from 1990 to 2005 -

  • Hyun, Sun-Hee;Bae, Soo-Jeong
    • 패션비즈니스
    • /
    • 제11권6호
    • /
    • pp.139-156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rean patterns appearing on fashion collections from 1990 to 2005. Traditional Korean patterns have been used as an important element to express a Korean image since the 1990s. Frequently used patterns included several kinds of geometric patterns, plant patterns(flower, peony, Four Gracious Plants), and Chinese character patterns. Specifically, since the 2000s, animal patterns such as tiger, Chinese phoenix, and giraffe which were not often used, plant patterns such as arabesque, peony, and flower, and a variety of Chinese character patterns appeared. For the expression techniques, while embroidery and printing was often used in the 1990s, they became varied into printing, beading, embroidery, gold and silver leaf, and hand painting after 2000 as a result of designers' active attempt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fashion design with its focus on traditional patterns were analyzed. First, Chinese character patterns and phoenix pattern which were mainly used for a court suit, and show the excellence and unique originality of Korean culture. Second, traditional Korean patterns directly and indirectly imply symbolistic significance of lucky sign and illustrate the use of various lucky sign patterns. Third, traditional Korean patterns such as arabesque or peony were expressed by colorful embroidery to add decorative beauty. Finally, traditional Korean patterns reflect a naturalistic worldview and are completed finished as the design.

한국화 모티브를 활용한 어패럴용 텍스타일 CAD 디자인 (Textile Design with CAD for Apparel Employing Motives from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 김칠순;조용주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01-110
    • /
    • 2008
  • We believe distinguishable product development to be competitive against foreign products, and realize the need to expand domestic business worldwide. In order to be competitive, we should produce fashion items that meets global taste, and at the same time contain exclusive Korean culture and emotional beauty. This article examines and creates unique textile design with the touch of Korean art. Desigus have been proceeded under the following three themes: 'Strong Ego,' 'Gorgeous Days' and 'Song Eternal Seeking Love' using Primavision Computer-aided Design ("CAD"). We have put our interestes in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called Hangukhwa. Suitable design motives had been selected and modified from the four gracious plants (bamboos, peonies etc.), and paintings of birds and flowers. Primavision, a CAD software, had been used to manipulate those desigus, and to add instant changes in color, scale, and layout. We had modified Korean traditional motives to make modem image, and had arranged layouts which can be suitable for half-drop repeat and square repeat. The use of color is essential in pattern design. Thus, we explored coloring ways for each design to meet the trends, and the final mapping had been conducted in western style of dresses. We have tried to mix Korean image of textile designs with Western clothing style, expressing hybrid in the mapping process. With global movements, we need to develop products with Korean traditional exotic taste to attract foreign consumers. Therefore, we selected symbolic motives from Korean paintings to express deep spiritual significance. We developed textile design and processed mapping on selected western designer's dress, employing current trend colors and making crossover coordination. We realized Korean painting would be an excellent source for exclusive fabric design, and tried to create a modernized design which maintains Korean ethnical identities.

  • PDF

소나무(松)의 화예적(華藝的) 고찰(考察) -송(松)의 문인화(文人花)를 중심(中心)으로- (Flower Arrangement Study of Pine : Focusing on Pine Gracious Flower)

  • 김정민
    •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 /
    • 제42호
    • /
    • pp.63-96
    • /
    • 2020
  • 인간이 자연의 식물과 교감하는 화예는 역사적인 배경과 민족성에 따라 특징을 가지며 인간의 영감과 조형 능력으로 서로 다른 양상의 문화가 탄생 되었다. 한국의 화예는 사계절기후의 자연 속에서 발생한, 문명의 소산으로 자연합일사상(自然合一思想)에서 출발하여 우리민족의 심성에 흐르고 있는 자연주의적 본질의 삶과 철학을 시대의 문화에 맞게 자연식물(草木)로서 그 여유로운 미를 덕(德), 지(志), 기(氣)로 배양되어 빚어내었다. 문인화(文人花)는 역사적 전통인 동양철학의 바탕에 계승되어온 정신 이념이 고격의 인품과 시정성{詩情性)을 바탕으로 "외양(外樣)"보다는 식물이 지닌 특성과 취향을 기교의 표출됨이 없이 철리(哲理)의 미학적 함축성을 빚어낸 조형예술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정신문화의 화예 근간이 문인화(文人花)임을 규명하기 위하여 소나무(松)를 중심으로 문인화의 배경과 근원, 시정성, 상징성, 우의성, 그리고 문인화 작품에서 표현되는 화예의 조형성과, 화예 유전자 해독으로 미학적 특성을 파악함과 동시에 문헌의 기록을 도출하여 연대별로 정리 고찰하고, 한국화예의 정수(精髓)인 문인화론을 정립하고자 한다.

서화가 황씨 사형제의 작품세계 (Artworks of the Hwang Brothers, Writers and Painters)

  • 송희경
    • 동양고전연구
    • /
    • 제33호
    • /
    • pp.437-470
    • /
    • 2008
  • 우석 황종하(우석(友石), 인왕산인(仁王山人) 황종하(黃宗河) 1887-1952), 우청 황성하(又淸, 黃成河, 1891-1965), 국인 황경하(菊人, 黃敬河, 1895-?), 미산 황용하(美山 黃庸河, 1899-?)는 네 살 터울의 형제들이며 모두 서화가로 이름을 남겼던 인물들이다. 이들은 특별한 교육기관에 몸담지 않고 중국에서 유입된 화보나 선배 대가들의 작품을 보며 독학으로 그림 공부를 하였지만 각자 선호하는 기법과 잘 그리는 소재가 달랐다. 즉 황종하는 호랑이 그림을, 황성하는 지두화를, 황경하는 인삼도를, 황용하는 사군자화를 잘 그린 것이다. 각종 전람회나 전시회에 참여하는 태도에는 차이가 있었지만, 그들은 사형제전을 함께 개최하거나 합작도를 자주 제작하면서 형제간의 우의를 쌓아 나갔다. 특히 1922년에 그들의 고향인 개성에서 창립한 ${\ll}$송도서화연구회${\gg}$는 후배를 양성하는 교육기관이자 스스로의 작품을 소개할 수 있는 문화의 장으로 그 역할을 다하였다. 이렇듯 황씨 사형제는 서로의 생각과 취미를 공유할 수 있었던 친구들이였고, 동시에 각자 개성 있는 작품세계를 펼쳤던 예술가였다. 그리고 구한말에 태어나 역사의 격변시기를 경험하면서도 전통 한국화의 맥을 지켜왔고, 타계할 때까지 평생 지필묵을 고집하면서 글을 짓고 그림을 그리며 화제를 썼던 작가들이었다.

조선시대(朝鮮時代) 유교사상(儒敎思想)과 의예복연구(儀禮服硏究) - 남자(男子) 포(袍)를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ceremonial costume and Confucianism is Chosun Dynasty - Focusing on Men's Po -)

  • 이선재
    • 복식
    • /
    • 제16권
    • /
    • pp.221-229
    • /
    • 1991
  • This thesis aims at reviewing the wearing aspect and formation of Chosun ceremonial dresses for meal and finding out the thought reflected by them from the standpoint that dresses themselves should be taken as one of the phenomena in culture. That is men's ceremonial costumes and confucian costumes of the royal family and the gentry family in Chosun is reviewed focused on the formation and the wearing aspect of Po, Which is a kind of them. And in the context of the phase of the times. I also considered the thoughts reflected on the clothes such as confucianism, Ying & Yang Theory, and the symbol and the thoughts of patterns in relation to the clothes. Confucian influence was the main force for the Chosun prohibitions for clothes. The major reasons for the prohibitions for clothes were as follows. First, they reflected confucian Chung myoung chooui(the principle that everything should be where it belongs). That is the prohibitions for clothes were used in the means to maintain feudalistic social order. influenced by social rank system. Second, they reflected confucian ethics in the means to recover social disciplines with the maintenance of traditional customs. This shows well in the restriction of luxurious items in dressing included the prohibitions for clothes. Third, they reflected Chosun's toadysm toward China. With the influx of Chinese style of dressing then government even changed the style of uniforms for public officials into that of Chinese resulting in dual styles of dressing. Ying & Yan Theory greatly affected the colors of Korean clothes and reflected toadysm toward China. too. The theory was embodied by prohibition of such colors for clothes as white, gray, and jade green. I reviewed the twelve patterns on Myunpok, Ten-Longivity patterns and Four-Gracious plants patterns in order to analyze the symbolism and thoughts of patterns for clothes. Nansam, Dopo, and Shimui worn by confucian scholars ensures that those clothes bears confucianism and philosopical factors. As shimui was worn by many people it appears in Chosun scholars' studies and a Chinese book called "Yeki". I reviewed the origin, procession, and ornaments of four ceremonial clothes and tried to find out the confucianism in them. First, In Kwanrei (the coming-of-age ceremony) remained ancestor worship and respect for manners. The clothes for this ceremony granted the rights and responsibilities of and adult to the wearer. The royal Kwanreipok had different dresses for each rank. As Samgapok, the crown prince wore Iksunkwan and Konryongpo for the first ritual, Wonryukwan and Kangsapo for the second, and Myunrukwan and Konpok for the third. The rank of the King's grandson was lower than the crown prince's. This example shows that Chosun people respected manners and thought the basic confucianism "God and people are equal." at the Royal court. Second, as Honreipok(wedding gown), the crown prince wore Myunrukwan and Konpok for Daereipok, Wonyukwan and Kangsapo for Napjing and Tongwoo, and Iksunkwan and Konryongpo for Chekbinui. But common people were allowed to wear an official outfit only for wedding in the means of congratulation on the most important day of their life. Wedding gowns which reflected Ying and Yang Theory emphasized the thought that union of a man and a wife is the most important event in life. Third, Sangrei(funeral) was the last ritual of a human being to send off the deceased. The mourning dresses expressed lamentation of the people left behind. Five-Dress-System for each the relative degree of familarity showed the solemnity and formality, which represented the formality of confucianism and ancestor worship. I reviewed the mourning dresses by dividing them into royal, Yangban's, and commons. They were featured by the fact that there was only one style for every walk of life. It is construed that anyone in mourning can wear the same clothes since he feels the same way regardless of his social rank. Fourth, Chereipok(sacrificial rite dresses) had different styles for each social rank. The King wore Myunpok(Kuryumyun and Kujangpok) were recorded to be worn first in the fourth year of King Taecho's ruling. The crown prince wore Palryumyun and Chiljangpok for sacrificial rite dress which was finally settled when King Sejong was in power. Common people wore Dopo, Shimui for the rite dress in the beginning of the Chosun Era and wore Dopo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n conclusion, confucianism played the main role in ceremonial dress system of Chosun and that was because it emphasized the ethics of action in life, which was different from other religions. It is true that cause-oriented thoughts and Chung myoung chooui in confucianism drove all ceremonies to extreme manners, discriminating the people who belonged to the lower social rank, and resulting in extremly luxurious life style. However, they also created a unique trend and clothes culture in the Chosun Era. I wish that this thesis provieds important information and direction for furthur studies in the future.

  • PDF

근·현대 나전도안과 공예품의 수급(需給)형태 - 중요무형문화재 제10호 나전장 송방웅 소장 나전도안을 중심으로 - (Patterns of Mother-of-Pearl Craftwork Sketches and the Way of Supply and Demand of the Works in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 이연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3권3호
    • /
    • pp.334-365
    • /
    • 2010
  • 나전도안은 작품을 완성하는 데 필요한 모든 공정이 들어있는 것으로 기물의 종류와 형태, 크기, 장석과 나전 문양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또 일부는 제작시기와 제작자를 비롯하여 작품 제작을 주문한 수요자에 대한 정보가 남아 있다. 본고에서는 송방웅(중요무형문화재 제10호 나전장) 소장 나전도안 도안 1,700여 점을 중심으로 일제강점기부터 현재에 이르는 기간 동안 시대별로 유행했던 문양과 기물, 그리고 수요자와 수급형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도안의 대표적인 문양으로는 화조, 사군자, 문화재, 풍속인물, 수복자, 산수 등이 있다. 문양도안은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데 근대를 대표하는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에 의해 작품제작과 수급이 통제되었던 배경과 맞물려 일본의 취향을 따른 문양 도안이 많다. 수요층도 일본인을 중심으로 일본과 친분이 있는 계층이 주를 이루었던 것으로 보인다. 도안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도 시대적인 정황과 관계된 것으로 보이는데, 송주안이 일본에 거주하였던 시기와 남아있는 도안 중 가장 이른 것의 시대가 일치하는 것으로 보아 일찍이 공예 도안연구가 활성화되었던 일본의 영향을 받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일본과는 소재, 제작방식, 수급체제가 달랐던 만큼 일본과 한국의 도안에는 큰 차이가 있다. 해방 이후 현대로 접어든 1950년대에는 6.25 전쟁 이후 미군이 새로운 수요층으로 출현하여 이들이 선호하였던 소품을 장식하기 위한 한국적인 문양도안이 주를 이루게 된다.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까지는 외국산 자개가 수입되고 사용량이 증가하면서 도안의 크기와 내용, 종류가 다양해지며 조각법, 부식법 등의 새로운 기법도 등장하게 된다. 1970년대에는 경제성장과 맞물려 나전공예품에 대한 관심과 인기가 높았기 때문에 수요층이 다양하였다. 나전공예품은 전적으로 주문에 의해 생산되었는데, 수요층은 각종 단체와 가구 중개상, 그리고 개인으로 분류된다. 이 시기의 수요층 가운데 주목되는 것은 도안에 '부산 좌천동'과 '점촌'으로 표기된 가구 중개상과 개인 수요자인 '진범모친'이다. 부산 좌천동은 1970년대 자개골목으로 유명했던 곳으로 이곳의 상인들은 통영으로부터 다양한 종류의 나전공예품을 납품받아 재판매하였으며, 점촌은 문경의 탄광촌으로 이곳의 "김씨"가 광부들을 상대하던 접대부를 상대로 통영에서 만들어진 나전공예품을 조달하였다. 진범모친은 나전공예품을 소유하기 위해 개인들이 모여 만든 계의 대표로서 부산 대신동에 살았으며 통영에 삼층장을 비롯한 각종 나전공예품을 주문하였다. 1980년대에는 아파트 문화의 정착으로 붙박이장과 거실장, 주방기구, 소파 등 새로운 양식의 가구가 사용되면서 자개장의 입지가 크게 좁아졌다. 한때 통영에서는 끊음질이 크게 유행하여 나전공예품 제작이 활성화되는 듯하였으나 1980년대 말 이후, 사회 전반적으로 나전공예에 대한 선호도가 떨어져 수요자가 감소하였고, 이에 따라 나전 작품의 제작도 자연스럽게 줄어들게 되었다. 현재는 몇몇 장인들에 의해 명맥만이 유지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