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Elderly with Dementia

검색결과 585건 처리시간 0.025초

치매노인의 집단미술치료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Art Therapy on the Dementia Elderly)

  • 이현심;김승용
    • 한국노년학
    • /
    • 제28권4호
    • /
    • pp.1279-1295
    • /
    • 2008
  • 본 연구는 치매노인들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인지기능의 하위영역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bigcirc}{\bigcirc}$노인종합노인복지관 내의 케어센터에 의뢰된 노인들 중 MMSE-K 총점이 19점 이하인 경증치매 여자노인 4명이었다. 연구기간은 2008년 1월15일부터 2008년 4월30일까지 1회기 60분씩 주 1회, 총 15회기를 실시하였고, 연구도구로는 MMSE-K(한국형 간이정신상태검사)와 Rosenberg의 Self-Esteem Scale(자아존중감 척도)을 사전, 사후에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사전 사후 검사한 결과의 단순 평균값 비교를 위한 기술통계와 Wilcoxon 비모수 통계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들의 인지기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이정신상태검사의 사전 사후 점수에 대하여 평균 16.75에서 19.75로 향상되었으며, Wilcoxon 비모수 통계를 이용한 검증결과 p값이 .046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하위영역별로 지남력, 기명력, 집중 및 계산, 언어기능, 이해 및 판단은 사전, 사후 검증에서 평균점수는 향상되었지만, 통계적 유의도는 없었으며, 기억회상은 사전 사후 검증에서 평균 0.70이 향상되었고, Wilcoxon 비모수 통계를 이용한 검증결과 p값이 .043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들의 자아존중감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elf-Esteem Scale 사전 사후 검증에서 평균 20.75에서 24.25로 향상되었으며, 통계결과 p값이 .048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입증되었다.

치매대상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의사소통행위 측정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융합 연구 (Converged Study on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Communication Behavioral Scale of nurses caring for people with dementia)

  • 강문희;이지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327-333
    • /
    • 2020
  • 본 연구는 집단비교법을 활용하여 치매대상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의사소통행위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대상자는 D시, U시 및 Y시 노인요양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n=67명)와 D시와 U시 일반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n=70명)이다. 본 도구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노인요양시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의사소통행위 점수가 일반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의 의사소통행위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t=2.49, p=.014) 검사-재검사 신뢰도검사를 위한 급내상관관계는 .813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치매대상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의사소통행위 측정도구는 다양한 논리적 분석을 통해 치매대상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의사소통행위 수준을 평가하기에 적절한 평가도구임이 확인되어 치매대상자 간호를 위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치매노인을 위한 운동프로그램이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xercise Programs on Gait Ability of Elderly Dementia Patients)

  • 이인실;이근희;김승준;김병조;배성수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3권3호
    • /
    • pp.551-559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ractice exercising and cycling on the gait abilities of dementia elderly patients. Forty forty elderly patients with dementia were participants.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s A, B, and C, Group A was a standard group which had been treated with electric treatment, hot pack, and exercise. The second group B had been treated with cycling added to the treatments of group A. Finally, treatments of group C were arranged by subtraction of exercise from those of group A. The test was a 'timed up and go test' used for measuring the rates of the gait ability through four months. The gait ability of each group was measured after each mont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1. After first month, the averages of changes in gait ability of group C, A and B were -1.69, -1.67, and -1.13 seconds respectively. That means that dementia control was achieved significantly in group A and B (p<0.05)whereas it was not in group C. 2. The averages after two months were -4.00 seconds for group C, -2.60 seconds for group A, and -1.56 seconds for B, respectively. All groups acquired significant effects in treating dementia (p<0.05). 3. After three months, -6.38, -3.00 and -2.31 seconds were average values of group C, A and B respectively. Same as results after two months,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in all groups (p<0.05). 4. After four months, the averages of changes in gait ability of three groups were -8.00. -3.93 and -3.00 seconds for group C, A and B respectively. In the all patients treated analysis, treatments showed significant results (p<0.05). 5. Compared with each other through four months. three groups testing the timed up and go test showed more efficient in maintaining gait ability, in order of group B. A, and C

  • PDF

국내 치매노인의 비약물적 중재에 대한 효과분석: 메타분석 (Analysis of Effect of Non-drug intervention on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Korea: Meta-Analysis)

  • 이나래;박윤지;장종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466-472
    • /
    • 2021
  • 본 연구는 치매노인에게 적용되고 있는 다양한 비약물적 중재 방법과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 치매의 임상적 증상에 따른 비약물적 중재의 효과성을 분석하여 치매노인을 치료하고 관리하는 전문가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RISS를 비롯한 5개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치매노인의 비약물적 중재에 대한 연구들을 검색한 후, 선정 및 배제기준에 따라 14편의 연구들을 분석하였다. 대상자 특성과 연구 특성으로 나누어 코딩을 진행하였고, 공통되는 증상별로 분류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공통되는 종속변수는 인지기능, 기억력, 일상생활수행능력, 삶의 질, 우울, 행동심리증상등 6개의 하위영역으로 분류되었으며, 메타분석 결과 인지기능에서는 홀니스 프로그램, 기억력에서는 제과제빵 활동, 일상생활수행능력에서는 복합중재 프로그램, 삶의 질에서는 클라이언트 중심적 인지자극치료, 우울과 행동심리증상에서는 리듬움직임 활동이 가장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보아 치매노인에게 적용되고 있는 비약물적 중재는 매우 다양하며 중재들이 나타내는 효과성에서도 서로 다른 차이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증상별로 중재에 대한 효과의 차이를 구별하여 적용한다면 보다 효율적인 중재가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Effect of Action Observation Training on Balance and Cognition on the Elderly with Dementia

  • Cheol-Jin Kang;Sung-Min Son;Se-Hee Park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36권2호
    • /
    • pp.61-66
    • /
    • 202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action observation training (AOT) on the balance and cogni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Methods: Twenty-four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12 participants each). The 5-week intervention involved 45 minutes sessions, three times a week. Both groups did 30 minutes of general physical exercises, followed by the experimental group watching a 5 minutes video featuring functional movements and imitating them for 10 minutes. The control group watched a scenic video and did functional training for 10 minutes, mimicking the experimental group. All participants were evaluated using the Timed Up and Go (TUG) test, Functional Reaching Test (FRT), Berg's Balance Scale (BBS), and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 paired t-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within-group change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between-group differenc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to p=0.05 for all variables.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within-group changes in the TUG test, FRT, BBS, and K-MMSE (p<0.05). The control group showed a significant change in FRT and K-MMSE (p<0.05).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egarding the change in the TUG test, BBS, and K-MMSE after the interventions (p<0.05).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AOT and repetition of actual movements, led to mo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balance and cognitive abiliti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at observed scenic landscapes.

알츠하이머 치매노인의 Apolipoprotein E 유전형에 따른 우울과 기억력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Memory According to Apolipoprotein E Genotype in Elderly with Alzheimer's Dementia)

  • 김광재;노동희;한승협;차윤준;감경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477-486
    • /
    • 2020
  • 본 연구는 알츠하이머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Apolipoprotein E (ApoE) ɛ4의 유무와 치매수준에 따른 우울과 기억력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임상치매척도(clinical dementia rating; CDR)가 0.5점에서 2점 사이인 65세 이상 노인 50명을 대상으로 임상치매척도, 노인용 서울언어학습검사, 레이 복합도형검사, 축약형 노인우울검사를 실시하였고 ApoE 유전자형은 구강상피세포를 채취하여 실시한 유전자 검사를 통해 확인하였다. 자료분석은 맨 휘트니 U 검정,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ApoE ɛ4가 없는 경우에 CDR 1점과 2점에서 우울과 언어적 즉시회상 기억력이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p<.05), ApoE ɛ4를 보유한 경우에는 CDR 1점에서 우울과 언어적 즉시회상, 언어적 지연회상 기억력에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p<.05). 우울과 언어적 즉시회상 기억력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ApoE ɛ4를 보유한 경우에는 우울과 언어적 지연회상 기억력에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알츠하이머 치매의 예방 및 중재로 시각적인 훈련보다 언어적 기억력훈련이 유용할 것이며 우울치료가 상호보완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한국판 보스톤 이름대기 검사의 단축형에 대한 노인 규준 연구 (Elderly normative study of the short form Korean-Boston Naming Test)

  • 박은희;최진영
    • 인지과학
    • /
    • 제11권2호
    • /
    • pp.59-68
    • /
    • 2000
  • 본 연구는 한국판 보스톤 이름대기 검사(Korean-Boston Naming Test: K-BNT)의 실험적 단축형을 개발하여 그 규준을 제시하고 검사의 임상적 유용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서울-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만 55∼84세의 건강한 장노년 인구를 대상으로 수행 자료가 수집되었다. 검사 수행에 미치는 인구 통계학적 변인들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교육과 연령이 유의미한 요인으로 확인되어 그에 따라 규준이 개발되었다. 두 개의 연령 수준(만 55∼64세, 만 65∼84세)과 각 연령에 따라 다시 두 개의 학력 수준(6년 이하, 7년 이상)으로 구분되어 총 4개의 하위 규준이 만들어졌다. 검사에 대한 정상 노인의 수행을 알츠하이머형 치매(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 DAT) 환자들의 수행과 비교했을 때 두 집단간 유의미한 수행 차이를 보여주었다(F(1, 158)= 23,216, p < .0001). K-BNT의 실험적 단축형의 노인 규준 자료는 임상 장면에서 치매 및 여러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들의 이름대기 능력을 신속하게 판별하는데 기여하리라 기대된다.

  • PDF

농촌지역 노인에 대한 보건의료서비스 개발을 위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Health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 Focus on Rural Community -)

  • 현인숙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57-72
    • /
    • 1997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 1) To understand self-care ability, living habits, utilization patterns of medical facililties for the elderly in Puk-Cheju county which has the highest percent age of senior citizens among Cheju rural community: 2) To identify factors which influence living quality and long life for the eldely 3) To develop health care service with a view to guaranteering living quality The eldely population of Puk-Cheju county was $10.8\%$ in 1995. It will be increasing and is projeted $23.0\%$ by 2030. The result indicated that utilizations rate by out-patient were 5.89 claims and utilizations rate by in-patient were 0.17 claims per person. The highest disease among respondents were disease of musculoskeletal system and connective tissue. A total of 310 elderlys were responded to analyze self-care ability and health behavior. The most important factors of long life were to have peaceful mind$(50.0\%)$. The common disease of acute and chronic disease was musculoskeletal system disease. $66.8\%$ of respondents went to hospital and local clinic when they got sick. The most needed health care service was home visiting service among public health center, representing $31.4\%$. The repondent's self-care ability and self-efficacy were relatively superiority. A total of 92 elderlys were conducted the intelligence test for the rate of dementia and their average age was 74.3. The result of Minimental State Scale indicated that 25% of respondents were suspected to be dementia. The followings are recommendations based on the survey result. 1) Concidering every conditions of self-care ability and health status for elderly. It is important to embody appopriate health care service. 2) Considering concrete metho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health service, which match health status and self-care ability, and various planning for sepecial facilities for the elderly. 3) It is desiable to make actual programs for the elderly in each community level. 4) It must be develop the better use of volunteers and programs for prevention of dementia. Finally, Concerning the orgarnization of public health center, community health center need to be reorganized for health service for the elderly. It is important to develop and operate health promotion for the elderly, and it is necessary to form the foundation for the support of facilities equipments. This contribute to promote health status for the rural elderly.

  • PDF

농촌 노인의 사회적 고립이 치매에 미치는 영향 : 전기노인과 후기노인 비교 분석 (The Effect of Social Isolation on Dementia in rural elderly: Comparison Between Young-old and Old-old Group)

  • 이상철
    • 사회복지연구
    • /
    • 제48권2호
    • /
    • pp.143-171
    • /
    • 2017
  • 다차원적인 사회적 고립은 신체적 정신적 건강 및 조기사망률과 밀접한 관계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농촌 노인의 연령집단별 건강의 이슈 중 급속한 고령화로 인해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치매 발병과 객관적 주관적 사회적 고립의 상대적 영향력을 나타내는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를 이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자료는 다차원적인 사회적 고립 개념의 특성과 치매발병의 다양한 위험요인들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는 KSHAP 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N=814). 분석결과, 선행연구에서 지적되어 온 다양한 치매발병 위험요인(심리사회적 병리적 건강행동 스트레스 및 인구사회적 변수 등)을 통제한 상태에서 전기노인의 경우 치매 발병에 객관적 사회적 고립의 주효과가 유의미한 영향이 존재한 반면, 후기노인의 경우 주관적 사회적 고립의 주효과가 치매 발병 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리하자면 치매발병과 관련한 객관적 주관적 사회적 고립의 상대적인 영향력은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한편 치매발병에 대한 객관적 주관적 사회적 고립의 상호작용효과는 전기노인과 후기노인 모두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농촌 노인 대상 객관적 주관적 사회적 고립 완화를 통한 치매 예방 및 최근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치매친화지역사회(dementia-friendly communities) 조성과 관련한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기존 건축물을 용도변경한 노인의료복지시설의 화재 인명피해 예방과 피난 대책 -광주·전남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Prevention of Human injury and Countermeasure of evacuation about Fire of Nursing Homes by Conversion of existing buildings - Focused on rural areas in Gwangju and Jeonnam -)

  • 김현태;김원진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27-36
    • /
    • 2018
  • At present, the elderly population in Korea is 14% of the total population and then We has entered an the society of advanced age. Along with this,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and palsy are also increasing. The demand for elderly nursing homes for elderly people with severe diseases such as dementia and stroke is also increasing, and the existing buildings are being secured by Conversion of existing buildings. However, it is difficult to evacuate and fire due to the out of date of buildings by Conversion of existing buildings. For example, there is a fire in the Indukukwon, Pohang City and Hyosung Geriatric Hospital, Jangseong in Korea, which have changed the use of existing buildings. Many elderly people died in a night fire. It was because of the sandwich panel walls and PVC flooring material produced toxic gas instantl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nursing home that changing the use and established fire prevention of human injury and countermeasure of evacuation. First, the sandwich panels which leading to deaths due to the toxic gas were installed in most nursing home. We recommend the RC, the masonry wall, and the glass fiber panel instead of the sandwich panels, In addition, the PVC flooring is most used in nursing home, the flooring material is considered such as the building stones, the tile, and the yellow soil closing instead of the PVC flooring. Second, we investigated the installation status of fire fighting equipment. As a result, the automatic-emergency open&shut equipment, the smoke ventilator and the evacuation slide were rarely installed. In order to secure the golden time in case of fire and to prevent the asphyxia caused by the toxic gas, the law should be amended to install the equi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