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he Asian Dust

검색결과 452건 처리시간 0.024초

LIDAR 시스템을 이용한 황사의 광학적 특성 연구 (Optical Properties of Asian Dust with LIDAR System)

  • 최성철;차형기;김덕현;김영상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3-214
    • /
    • 2002
  • 황사는 몽골이나 중국 북부의 황토지대에서 강한 바람에 의하여 고공으로 올라간 많은 미세한 모래먼지가 대기 중에 넓게 퍼져 하늘 전체를 덮고 떠다니다가 상층의 편서풍에 의해서 운반되어 서서히 하강하는 현상 또는 하강하는 모래먼지로 알려져 있다 최근 몇몇 연구가들에 의해 황사기간 중 대류권 내에서 편광소멸도를 측정하고 있다(Sakai 2000, Kobayashi 1985). 이들은 황사기간 중 편광소멸도는 0.2이상으로 높게 나타난다고 하였다. (중략)

  • PDF

1064 nm, 532 nm 파장을 이용한 황사의 라이다 관측과 광학적 파라메타의 해석 (Lidar Measurement of Asian Dust and Analysis of Optical Parameter using 1064 nm, 532 nm Wavelength)

  • 김진환;박찬봉;이주희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2003년도 제14회 정기총회 및 03년 동계학술발표회
    • /
    • pp.214-215
    • /
    • 2003
  • 2002년 수원상공의 황사를 라이다를 이용하여 관측하고, 이의 광학적 특성을 보고한다. 기상청의 1월부터 5월까지의 황사보고는 16일로 예년에 비해 많이 발생하였고, 특히 11년만에 11월에 황사가 발생하여 사회적으로 많은 관심이 되었다. 본 라이다센터에서는 2002년 3월부터 대류권을 관측하는 자동운전 에어로졸 라이다(ACA Lidar, 532 nm)를 운전하여 집중적으로 황사를 관측하였고 2002년 10월부터는 1064 nm 파장을 추가하여 많은 관련 데이터를 생산하였다. (중략)

  • PDF

황사입자에 의한 미세탄소 입자의 응집 및 흡착 현상 (Agglomeration and Adsorption of Fine Carbonaceous Particles onto Asian Dust Particles.)

  • 김경원;김영준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41-342
    • /
    • 2002
  • 미세탄소입자는 원소탄소(elemental carbon)와 유기탄소(organic carbon)로 분류할 수 있다. 원소탄소는 불완전연소 과정에 발생하는 검댕(black soot), 원유의 정제과정에 발생하는 흑연(graphite), 자연상태에서 만들어진 다이아몬드의 3가지 형태로 존재한다. 이들 중 대기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검댕입자로서 입경은 l$\mu\textrm{m}$이하이며, 일정한 형태를 지니고 있지 않다. (중략)

  • PDF

2002년 봄철 황사현상의 종관기상학적 및 광학적 특성비교 (Comparison of synoptic meteorological and optical features of Asian dust during springtime in 2002)

  • 송상근;김유근;문윤섭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5-97
    • /
    • 2002
  • 동북아지역의 최대 환경문제로 부각된 황사는 중국의 건조지대에서 발생되어 중위도 편서풍 기류를 따라 풍하측에 위치한 한반도와 일본, 심지어 북태평양을 가로질러 북미까지 장거리 수송되기도 하며 그 피해정도는 시·공간적으로 상당히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Jaffe et al., 1999; Husar et al., 2001; Hacker et al., 2001). (중략)

  • PDF

광주 지역 분진의 질량 농도와 에어러솔의 광학적 깊이 분포 : 2000년-2002년 황사를 중심으로 (Variation of Aerosol Mass Concentration and Aerosol Optical Depth during Asian Dust Events, 2000~2002 at Gwangju, Korea)

  • 김정은;류성윤;;이권호;김영준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71-272
    • /
    • 2002
  •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PM10이 분진 측정 항목으로 대변되고 있으나 미세 영역에 해당하는 PM2.5나 PM1.0의 범위의 측정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미세 영역의 분진은 많은 양이 호흡기에 침착되거나 시정의 감쇄를 야기 시킨다 (Eldering and Cass, 1996 : Anderson et al., 1992). 미국 National Ambient Air Quality Standard (NAAQS)는 1997년 PM2.5 항목의 추가를 공표하였다. (중략)

  • PDF

도로변 대기입자중 미량원소의 황사영향 평가 (Effect of Asian Dust for Airborne Trace Elements at Roadside)

  • 임종명;이현석;장미숙;이진홍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97-198
    • /
    • 2002
  • 황사는 장거리를 이동해 한반도 둥에 영향을 미치는데, 호흡기 질환, 눈 질환, 알레르기 등 각종 질환을 유발하고, 최근에는 중국의 산업화에 따라 납, 카드뮴 같은 독성금속과 발암물질 둥 유해 오염물질까지 포함하고 있어 건강에 위협을 주고 있다. 나아가 황사에 포함된 미세 입자들이 대기 중에서 화학반응을 일으켜 각종 산화물을 생성하는 까닭에 만성기관지염을 악화시키고, 노인과 영아의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기도 한다 그밖에 황사는 햇빛을 차단해 시정거리를 감소시키고 항공기 운항에도 영향을 미친다. (중략)

  • PDF

2001 ACE-Asia 기간동안에 관측된 GMS-5 위성에서의 에어러솔 광학두께: 황사사례를 중심으로 (Investigation of Aerosol Optical Depth Retreived from GMS-5 During ACE-Asia 2001 : Case Study of Asian Dust Period)

  • 이권호;홍천상;김정은;류성윤;김영준;최병철;김지영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42-443
    • /
    • 2002
  • 인공위성에 의한 대기 에어러솔의 관측방법은 에어러솔이 기후에 미치는 영향의 평가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기본적으로 인공위성 원격탐사자료는 가시광선 영역역대의 밴드에서 대기중의 분자들이나 에어러솔에 의한 산란효과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황사 현상과 같은 먼지구름은 인공위성 영상에서 쉽게 보이며 이러한 먼지 구름이 복사 강제 효과에 대한 기여도가 클 것으로 예측된다. (중략)

  • PDF

2002년 봄철에 관측된 황사사례에 대한 수치 모의 (Numerical simulation of Asian dust event observed in spring 2002)

  • 인희진;이은희;박순웅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1-92
    • /
    • 2002
  • 2002년 봄철에는 예년에 비하여 황사현상이 자주 발생하였는데 특히 3월 21-22일 과 4월 7-8일에는 예전에 찾아 볼 수 없을 정도의 강한 황사가 한반도에서 관측되었다. 이 사례들로 인하여 황사로 인한 재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황사의 정량적인 예보가 필요함을 인식하게 되었고 이를 위해서 황사의 발생과 수송과정에 대한 수치모델의 정립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황사의 발생을 예측하고 정량적으로 예보하기 위한 모델을 구축하고 2002년 두 차례의 강한 황사 사례에 적용하여 그 모델을 개선하고자 한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