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7th education Process

검색결과 218건 처리시간 0.031초

관찰에 의한 국민학교 3, 5학년 자연과 수업의 목표 분석 (The Analysis of Educational Objectives by Observation in the 3rd and 5th Grade Science Instruction)

  • 고세환;김효남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1-57
    • /
    • 1991
  • This study pursued to find out the degree to which educational objectives are pursued in the 3rd and 5th grade science instructional of an elementary school. Twenty science instruional hours are observed during two month from May to July, 1989. Klopfer's science educational objectives system is used as the tool of objective analysis. Questionnaires for the ideal proportions of the educational objectives are answered by the professo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writers regarded those results as the ideal proportions of the educational objectives.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the instruction are as follows : 1. Results from analysis of the instruction in the third grade are as follows : knowledge and comprehension (A. 0) objectives are found to be pursued. about 40%. scientific inquiry process(B. 0-E. 0) objectives, about 29%, application of scientific knowledge and methods(F. 0) objectives. about 10%, manual skills(G. 0) objectives, about 11%, scientific attitudes and interests(H. 0) objectives, about 10% and orientation(I. 0) objectives is not pursued. 2. Results from analysis of the instruction in the fifth grade are as follows: knowledge and comprehension(A. 0) objectives are found to be pursued. about 31%, scientific inquiry process (B. 0-E. 0) objectives. about 38%, application of scientific knowledge and methods (F. 0) objectives, about 13%, manual skills(G. 0) objectives, about 7%, scientific attitudes and interests(H. 0) objectives, about 10%. 3. Results from the ideal proportions are as follows : Knowledge and comprehension(A. 0) objectives, 20.5%, scientific inquiry process(B. 0-E. 0) objectives, 46.5%, application of scientific knowledge and methods(F. 0) objectives. 8%, manual skills(G. 0) objectives. 9.5%, scientific attitudes and interests (H. 0) objectives, 9% and orientation(I. 0) objectives, 6.5%. 4. "You ideality index" is 29 in the third grade and 23 in the fifth grade. Science instruction of the fifth grade can be interpreted to be nearer to the ideal instruction in terms of educational objectives.

  • PDF

초 . 중등학교 과학 교과서에서의 시각(eye vision) 개념의 연계성과 표현 방식 분석 및 연계성을 고려한 시각 개념 구성의 한 가지 제안 (An Analysis on Conceptual Sequence and Representations of Eye Vision in Korean Science Textbooks and a Suggestion of Contents Construct Considering Conceptual Sequence in the Eye Vision)

  • 김영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456-46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중등학교 과학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하여 시각 개념 표현 방식과 연계성은 어떠한지를 분석하고, 개념의 수준을 고려하여 시각 개념을 이해시키기 위한, 연계성 있는 시각 개념 구성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문헌 분석은 제7차 한국의 과학 교육과정과 제7차 과학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과학 및 물리I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한국의 현행 교육과정과 현행 과학 교과서의 분석을 통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교육과정상으로 보면 시각 개념의 연계성에 문제가 없어 보이지만 교육과정에 따라 실제로 집필된 교과서 내용상으로는 시각 개념의 연계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눈에서 수정체의 기능은 8학년에서 학습하도록 되어 있는데도 7학년에서 안경에 의한 시력 보정의 원리가 제시되고 있는 것은 개념 이해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 Kepler는 Alhazen의 시각 개념에서 물체의 한 점에서 반사된 한 광선이 수정체의 한 점에 도달하여 그 점의 상을 맺을 수 있다는 설명에서 문제점을 발견하고 현대적인 시각 이론을 세웠지만 한국의 일부 과학 교과서는 여전히 Alhazen 방식의 망막 상 형성을 설명하고 있다. 셋째, 근시와 원시의 원인에 대한 설명의 일관성이 없는 경우가 있고, 대부분 두 가지 이유 중의 한 가지로만 설명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개념 위계를 고려한 시각 개념의 연계적 구성에 있어서는 볼록렌즈에 의한 상에 대해 학습한 후에 우리 눈의 구조와 기능이 제시되어야 하며, 우리 눈의 구조와 기능을 학습한 후에 안경의 기능과 시력 보정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빛 단원에서 반사와 굴절을 나타내는 화살표에 대한 중학생들의 개념 조사 (The Analysis of Middle Students' Conceptions on the Arrows Representing Reflection and Refraction in the Light Unit of Science Textbooks)

  • 송영욱;김범기;백성혜;김용진;한재영;정정인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4권1호
    • /
    • pp.72-83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7학년 과학 교과서의 빛 단원에 사용된 화살표의 유형을 분석하고, 화살표의 의미에 대한 중학생들의 개념을 알아보는 데 있다. 중학교 과학교과서 9종의 빛 단원에 사용된 화살표의 유형을 분류하고, 이를 바탕으로 검사도구를 개발하였다. 7학년 학생의 과학 성적에 따라 상, 중, 하 각 2명씩을 대상으로 하여 화살표의 개념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면담법으로 조사하였다. 중학교 과학교과서의 빛 단원에 사용된 화살표의 유형은 물체에서 나온 빛이 눈에 도달하는 과정에 따라 4가지로 나눌 수 있었다. 화살표의 점선과 실선에 대한 개념 이해는 과학성적에 따라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빛이 평면 거울면에 반사하거나 공기와 물의 경계면에서 굴절하여 우리 눈에 들어오는 빛의 경로를 표현할 때, 물체에서 나온 화살표의 실선과 물체가 위치하고 있다고 인식하는 화살표의 점선의 의미를 명확히 제시하여 가르치는 것이 필요하다.

  • PDF

초등학교 과학과에서 탐구사고력 지도를 위한 원격교육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the Web-based Distant Learning Model for Enhancing Process Skills in Elementary Science)

  • 박종석;오원근;박종욱;정병훈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2권2호
    • /
    • pp.131-137
    • /
    • 2003
  • The students can search and solve the problems for themselves, improve the scientific inquiry skill through the distance learning in the WWW. It also enable them to construct the wide recognition of the STS which is emphasized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n addition, due to the one-to-one contact in the distance learning the diverse differentiated education can be run. In this paper, we develop the web-based distant learning model which is suitable in the elementary science and emboss those merits of the distance learning.

  • PDF

수학과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f Formation & Application of step-wise level curriculum of Mathematics)

  • 최택영;함석돈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0권2호
    • /
    • pp.179-194
    • /
    • 2001
  • The seventh curriculum put into operation gradually from first-year student in 2000 academic years of elementary school is subject to form and apply a step-wise level curriculum. Mathematics(correspond to junior high school course from 7th school year to 9th school year) should apply a step-wise level curriculum from 7th school year in 2001 academic years. Accordingly, mathematics teachers must diagnose actual conditions of educations, distribution tables of test results, step-wise teaching-studying programs etc. They also make proper plans suitable for actual situations of each school, prepare appropriate teaching materials and aids. I investigated preceding studies planned for preparation of putting into operation of a step-wise level curriculum. It showed that most of the studies were conducted at schools of medium or large scale and studies conducted at schools of small scale was rare. There were 113 small scale middle schools out of total 297 middle schools in Kyongsangbuk-do area in 2000. In this situation, I felt necessities of modeling of a step-wise level curriculum suitable for small scale schools. In this study, I modeled a step-wise level curriculum suitable for small scale middle schools, applied this model to 44 students in M middle school. I modeled two types of curriculum. One is a step-wise level curriculum that execute special supplementation process to students who do not complete 7-가 step successfully. The other is a step-wise level curriculum which is a regular model for a step-wise level of 7-나 step. I carried out an academic achievement test and intimacy test about mathematics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model. In this study, I found out that this model was very effective in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and helpful to declined students in scholarship. In the intimacy test, It was found out that most of the students gained confidence in mathematics, felt less anxiety, formed positive self consciousness. Therefore, I think that this model will be helpful to the application of the seventh step-wise level curriculum.

  • PDF

문제발견 및 가설설정 능력 신장 과학영재교육프로그램 개발: 멘델의 과학적 사고과정 적용 (Improvement of Students' Problem Finding and Hypothesis Generating Abilities: Gifted Science Education Program Utilizing Mendel's Law)

  • 김순옥;김봉선;서혜애;김영민;박종석
    • 영재교육연구
    • /
    • 제21권4호
    • /
    • pp.1033-1053
    • /
    • 2011
  • 본 연구는 역사적 발견을 이루어낸 과학자 가운데 멘델(Mendel, Gregor Johann, 1822-1884)의 과학적 사고과정을 활용하여 과학영재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프로그램을 학습한 학생들의 문제발견 및 가설설정 능력의 변화를 측정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멘델이 유전법칙을 확립하는 과정에서 나타낸 과학적 사고과정을 분석하여 특징적 탐구요소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탐구요소 가운데 문제발견과 가설설정을 적용한 프로그램으로서 완두를 활용한 모의실험탐구중심의 과학영재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과학영재교육프로그램은 대학교 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소속 중학교 1, 2학년 학생 19명(남학생 11명, 여학생 8명)을 대상으로 적용되었다. 적용한 결과, 학생들은 문제발견 능력의 하위요소 융통성, 정교성, 독창성이 신장되었고, 가설설정 능력의 논리성도 신장되었다. 이에 개발된 과학영재교육프로그램은 중학교 과학영재로 선발된 학생들의 문제발견 및 가설 설정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고찰되었다.

생물학적 소양의 함양을 위한 BSCS 통합 권고안과 6,7차 교육과정 비교 (A Comparison between BSCS's Guide and the Korean Curriculum for Developing Biological Literacy)

  • 구수정;김영신;김병석;이성조;정완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96-410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BSCS 위원회가 생물학적 소양의 함양을 위하여 제시한 중등 생물 교육과정 개발 지침과 우리 나라 제6차, 제7차 교육과정을 개념 제시 형태, 하위 개념들의 내용 일치도, 개념 수의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 나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에서의 상위 수준으로서의 지식 영역과 하위 수준으로서의 내용 요소 부분에 제시되어 있는 개념들이 포괄성의 차이 없이 단순히 개념 나열적으로 제시되어 있는 상태라서 개념 수준간 등급화가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우리 나라 생물 교육과정에는 생태계, 유전과 생식, 물질대사 부분에 너무 많은 개념들이 들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로부터 BSCS가 학문중심 교육 과정기에 제시했던 많은 개념들에 대해서 현 시대 흐름에 비추어 학생들의 생물학적 소양의 함양을 위해 재조정하도록 권고하면서 제시한 6개의 통합 원리들을 편중되지 않게 고르게 포함하기 위해서는 우리 나라에서도 생물교육과정에 대한 재구성 노력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생물 I보다 생물 II에 생물학적 소양의 함양을 위한 필수 개념들이 더 많이 제시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우리 나라 제7차 교육과정의 과학 10에서 과학적 소양이, 그리고 생물 I에서 생물학에 대한 기초 소양이 강조되고 있고, 생물 II에서는 생물학 관련 전공 과목 이수 준비를 강조하고 있는 과목별 성격과 목표에 부합되지 않는 것이며 따라서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도 각 과목별 특성을 분명히 제시 및 반영하려는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로부터 현재 우리 나라 과학 및 생물 교육의 중요한 목적의 하나로 설정되어 있는 학생들의 생물학적 소양의 함양을 위해서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생물 교과서와 교수 자료 개발 및 장차 제8차 교육과정 개발에 사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지침을 마련하기 위한 구체적인 논의가 있어야 함을 시사받았다.

  • PDF

중학교 1학년 수학 수준별 수업에 적용한 CRESST 형성평가 프로그램 효과 분석 (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Applying CRESST Formative Assessment Program to the 7th Grade Level-Differentiated Math Classes)

  • 이봉주;변희현;양명희;류현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431-450
    • /
    • 2011
  • 효과적인 수학 교수 학습 방안의 하나로 형성평가에 주목하였으나 수업에서 형성평가를 실시하고 그에 따른 피드백을 주는 일련의 과정을 체계적으로 다루는 연구는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RESST 형성평가 프로그램을 하나의 모형으로 채택한 후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수정하여 중학교 1학년 수준별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수준별 수업에 따른 CRESST 형성평가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그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 교수 학습 방안을 개선하기 위한 교육적 논의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입체도형에 대한 $6{\sim}7$학년 수학영재들의 공간시각화 능력 분석 (Analysis of the Mathematically Gifted 6th and 7th Graders' Spatial Visualization Ability of Solid Figures)

  • 류현아;정영옥;송상헌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9권2호
    • /
    • pp.277-289
    • /
    • 2007
  • 본 연구는 수학영재들의 공간 시각화 능력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국가가 지원하는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초등학교 6학년 6명과 중학교 1학년 1명으로, 각 학생들에게 정이십면체의 겨냥도에서 각 변과 모서리들의 길이, 변과 모서리들이 이루는 각도들을 비교하는 과제를 제시하여 그들이 해결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공간 시각화 능력을 질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이 때 자료 분석은 McGee의 공간 시각화 능력을 중심으로 Duval과 Del Grand의 이론을 참조하였다. 분석 결과, 수학영재학생들은 윤곽을 시각화하는 능력, 상상 속에서 대상을 조작하는 능력, 묘사된 대상의 회전을 상상하는 능력, 묘사된 대상을 다른 형태로 변형하는 능력을 보이는 보였으며, 일부 수학영재학생들은 평면에 묘사된 대상을 다시 입체로 상상해 내고 이를 표현해내는 데 다소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초등 과학교과 교사용 지도서 생명 영역 단원 및 차시 목표의 일관성 분석 (A Analysis on Consistency of Learning Objectives of Units and Instructional Units in Elementary School Biology Teaching Guide-Books)

  • 김정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7권1호
    • /
    • pp.75-82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nsistency and balance of learning objectives of units and instructional units according to grades and educational domains. Educational domains were cognitive(scientific knowledge), scientific inquiry(inquiry process skills), affective(scientific attitude), and science-technology-society(STS). Learning objectives of life field of the 7th elementary science curricular teaching guidebooks were analysed. Scientific inquiry process skill objectives(43.5%) were most dominant in units, but cognitive objectives(53.9%) were most dominant in instructional units. STS objectives were most recessive in both units and instructional units. Especially, objectives of units and instructional units were shown no consistency by grad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textbooks and teaching guidebooks should be developed consistently by considering learning activities and contents on the basis of background and properties of science curriculu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