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alli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산 미기록 해조 2종, 흐린깃털말 및 가시모자반 (New Record of Two Marine Algal Species in Korea: Bryopsis triploramosa and Sargassum polyporum)

  • 강필준;남기완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6호
    • /
    • pp.1858-1864
    • /
    • 2016
  • Morphological and molecular information of two marine algae collected from Korea is given. One belonging to a green alga, is characterized by small size up to 4 cm high, much branched thalli on all sides, slender and linear branchlets which is constricted near base, axes without prominent branch scars, chloroplasts with a prominent central pyrenoid. The other, as a brown alga, is distinct from other Korean species in having cylindrical elevated projections at all parts of thallus axis, leaves with slightly serrulate margin together with distinct midrib bearing spines and absence to rarely occurred vesicles. In phylogenetic tree based on rbcL sequences, these two species are nested in the same clade with Bryopsis triploramosa and Sargassum polyporum, respectively. In this study, these two species are newly recorded in the Korean marine algal flora based on the morphological and molecular data.

A New Species of the Genus Coreomyce (Laboulbeniales Ascomycotina) Collected from the Island of Java, Indonesia

  • Lee, Yong-Bo;Na, Young-Hee
    • Mycobiology
    • /
    • 제37권4호
    • /
    • pp.300-301
    • /
    • 2009
  • One new species of the genus Coreomyces was collected on Micronecta sedula from the island of Java; C. javanicus sp. nov. is very similar to and apparently closely related to C. corixae. This species is characterized by a receptacle that is bent towards one side with cell I, nearly rounded. The length of cell I is equal to that of cell II and the perithecia are longitudinal, elliptical or cylindrical. Thalli consistently occurred on the margin of the left elytron of the hosts.

First Record of Cladosiphon umezakii (Ectocarpales, Phaeophyceae)in Korea

  • Cho, Ga-Youn;Boo, Sung-Min
    • ALGAE
    • /
    • 제24권2호
    • /
    • pp.79-83
    • /
    • 2009
  • Recently deschbed new species, Cladosiphon umezakii Ajisaka (Ectocarpales,Phaeophyceae) is reported in Korea based on morphology and plastid rbcL sequences. Cladosiphon umezakii occurred on low intertidal to subtidal zone along the south and southeast coasts in Korea. Thalli are gold to dark brown, ercct, cylindrical, irregularly branched,and very mucoid. Unitocular zoidangium is developed at the base uf assimilatory filaments. Assimilatory filaments are very long. Eight specimens of the pecies collected from Korea clustered with those of C. umezakii in Japan in rbcL tree. The pecies showed a sister relationship with C. okamuranus. The occurrence of this warm water species is thought an example of northward migration of marine algae caused by global warming. Because C. umezakii is of the economica! importance of the genus as foods and medidnes, the study on mass culture of the species is necessary in korea.

한국산 홍조 빨간검둥이과 1미기록종, Neorhodomela larix (Turner) Masuda (First record of Neorhodomela larix (Turner) Masuda (Rhodomelaceae, Rhodophyta) in Korea)

  • 강필준;남기완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3권1호
    • /
    • pp.126-129
    • /
    • 2011
  • Vegetative morphological information of the red alga Neorhodomela larix (Turner) Masuda (Rhodomelaceae) is given. This species is characterized by thalli up to 15 cm high, brownish black in color, pericentral cells with transverse division, the first order subulate branches with determinate growth, numerous adventitious branches produced at axils and absence of vegetative trichoblasts. Particularly, N. larix is distinct from other Korean Neorhodomela species by the lack of vegetative trichoblasts, which seems to be caused by their delayed production until reproductive structures are formed. This is the first record of N. larix in Korea.

New Record of a Marine Algal Species, Membranoptera alata (Delesseriaceae) in Korea

  • Kang, Pil Joon;An, Jae Woo;Nam, Ki Wan
    • 환경생물
    • /
    • 제36권3호
    • /
    • pp.314-318
    • /
    • 2018
  • A marine algal species was collected from Sacheonjin, Gangneung located on the eastern coast of Korea during a survey of marine algal flora. This alga shares the generic features of Membranoptera belonging to the subfamily Delesserioideae and i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combined features of membranous, monostromatic thalli attached by a solid discoid holdfast, blades with a conspicuous terete stipe-like midrib and microscopic lateral veins, entire margins, irregularly alternate to dichotomous branching, and obtuse apices growing apically. In a phylogenetic tree based on rbcL sequences, the Korean alga nests in the same clade with M. alata from the eastern North Atlantic. The genetic distance between both the sequences within the clade was calculated as 0.0%. Based on the morphological and molecular analyses, this Korean species is identified as the generic type, M. alata. This is the first record in the list of Korean marine algal flora.

New record of Callophyllis mageshimensis (Gigartinales, Kallymeniaceae) in Korea

  • Kang, Pil Joon;An, Jae Woo;Nam, Ki Wan
    • 환경생물
    • /
    • 제38권4호
    • /
    • pp.611-615
    • /
    • 2020
  • A marine red algal species was collected from Pyengdae-ri, Gujwa in Jeju, Korea during a survey of marine algal flora. This alga shares the generic features of Callophyllis(Gigartinales, Kallymeniaceae), and is characterized by erect and membranous thalli, branches dichotomously or trichotomoulsy divided, margin somewhat undulate or entire and tetrasporangia scattered irregularly in the cortex. In a phylogenetic tree based on rbc L sequences, the Korean alga nests in the same clade as C. mageshimensis originally described from Japan. The genetic distance between both sequences within the clade was 0.0-0.1%. Based on the morphological and molecular data, the alga was identified as Callophyllis mageshimensis. This is the first record of C. mageshimensis in Korean marine algal flora.

동해남부연안 미역양식장의 병충해 (Some Seaweed Deseases Occurred at Seaweed Farms along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 강제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65-170
    • /
    • 1981
  • 우리나라 미역양식의 발상지인 동해남부연안의 미역양식장에서 세균성이라고 생각되는 미역녹반증과징소갑각류의 기생에 연한 바늘구멍증, 미역 속구멍증 등의 병충해와 계장홍조류인 플리시포니아의 착생에 인한 피해를 확인할 수 있었다. 1. 김 녹반증과 유사한 녹색의 반점이 미역엽상체의 하반부에 나타나서 점차 확대되면서 반점의 조직이 붕괴하여 녹색의 테두리를 가진 구멍이 엽면에 생긴다. 엽상체 끝 부분의 구명은 더욱 확대 유합하여 끝 녹음을 조장하는 결과가 된다. 이 병증은 동일양식장에서도 중심부일수록 피해가심하고 주녹부, 특히 외해쪽은 피해가 적었다. 이 병증이 있는 엽체는 외관상 건전한 엽체보다 $70\sim100$배 더 세균에 오탁되어 있었으며 병증이 있는 엽체에서 분리된 세균중에서 다음 여에 속하는 균주가 많았다. Moraxella, Acromobacter, Vibrio, Flavobacterium, Acinetobacter, Pseudomonas. 2. 엽체에 1열로 동일간격으로 $5\sim10$개의 미세한 바늘구멍을 여기 저기에 볼 수 있었고 이들 바늘구멍이 다소 불규칙하게 모여 있는 것도 희구했다. 이것은 요각류인 Harpacticoid의 1종인 Thalestris sp.의 기생에 의한 것이다. 이 기생이 발견되었던 초기는 3월경에 나타났었으나 점차 출현시기가 앞당겨져서 지금은 전등의 12월부터 출현한다. 3. 단각류의 1종인 미역속별레, Ceinina japonica Stephesen이 중륵에 기생하여 엽상체 유실의 원인도 되고 심한 것은 중륵에서 종으로 엽상체가 2분되는 것도 있었다. 이것은 양식말기에 주로 나타난다. 4. 조간대 암상에 생육하는 폴리시포니아 Polysiphonia spp.가 종연와 함께 씨줄에 다수 착생하였다가 양식장에서 미역 유아와 경합을 하여 미역 착생면을 차지하여 피해를 준다. 끝으로 본 조사는 1980등도 문교부연구조성비로 수행되었으며, 세균을 분리동정해 주신 장동석 교수와그의 교실원에 감사한다.

  • PDF

지의류 복합체에 의한 매실나무 지의류병 (Lichen Diseases on Prunus mume Caused by Colonization of Consortium of Several Crustose Lichens Including Parmotrema autrosinense)

  • 고영진;김경희;정인호;임명택;박현수;이규산;조경연;허재선
    • 식물병연구
    • /
    • 제13권3호
    • /
    • pp.223-227
    • /
    • 2007
  • 지의류는 곰팡이와 광합성을 하는 조류 또는 남조류의 공생체로서 토양, 바위, 나무 등에 아주 널리 분포하는 진핵생명체다. 지의류형성곰팡이는 흔히 죽은 나무나 죽어가는 나무 위에서 부착하여 증식하지만 나무를 직접적으로 죽이지는 않는다. 전남 순천시 매실나무 과수원 포장에 있는 매실나무 수피에 엽상체 지의류 Parmotrema autrosinense를 포함한 몇 가지 가상체 지의류가 심하게 증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지의류 조합의 증식으로 매실나무는 회색으로 흉하게 보이고 정상적인 생장이 억제되었으며, 심각하게 영향을 받은 매실나무 가지의 수피에서 지의체를 제거하지 않으면 낙엽이 지고 가지가 말라 죽었다. 매실나무 수피에 있는 지의체를 제거해주면 매실나무 가지들은 수세를 회복하였으며, 지의체를 제거한 후에 $Twin^{(R)}$ 20 또는 톱신페스트를 발라주면 더욱 수세가 왕성해졌다. 따라서 매실나무에 몇 가지 지의류 조합의 정착 및 증식에 의해 발생하는 낙엽과 가지마름 증상을 '매실나무 지의류병(lichen disease)'이라고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1986년 하동 김 양식장의 작황감소 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ome Factors Affecting the Poor Harvest of Laver in Kwangyang Bay, 1986)

  • 송춘복;홍재상;강제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28-340
    • /
    • 1987
  • 본 조사는 1986년 1월부터 4월까지 경남 하동군 김양식장에서 작황조사, 병해조사, 부착생물조사 등을 통해 작황저조의 원인을 분석하고자 실시되었다. 그 결과 본 조사지역의 경우 김의 단위당 생산량은 섶발이 평균 31.53g/피, 그물발이 평균 6.020g/10cm이었으au 대조구의 경우는 섶발이 평균 46.31 g/피, 그물발이 평균 6.225g/m로, 섶발의 경우 대조구가 높았으나 그물발의 경우는 큰 차이가 없었다. 김 부착층은 김의 단위당 생산령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보였다. 즉 섶발의 경우 50cm 이하인 수식부탁 범위를 가지는 조사정점 전부가 생산량이 20g/피 이하인 정점과 일치하고 있으며 이들 조사 정점의 대부분이 등이 높은 섶 양식장의 서편 증 광양제철소 맞은 편에 위치하고 있다. 유아개체수는 지점별로 다소 차이는 있으나 본 조사정점의 전체 평균치는 961 개체로 대조구의 966개체와 별로 차이가 없었다. 병해조사 결과 병해의 대부분은 구멍갯병과 쪼그랑 병이었으며 양식말기에 가서는 병세가 다소 호전되는 경향을 보였다. 섶발 양식장의 주된 부착생물은 고랑따개비(Balanus albicostatus), 가시파래(Enteromorpha prolifera), 매생이(Capsosiphon fulvescens), 고리매(Scytosiphon lomentaria)였으며 낙동강 하구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홍조류의 일종인 Caloglossa leprieurii가 분포하였다. 따라서 1986년도산 하동 김의 작황감소의 주된 원인으로 수직부착범위의 감소, 병해, 해황의 변화, 부착생물, 김발의 정리와 관리문제를 들 수 있었다.

  • PDF

철쭉나무(Rhododendron schlippenbachii)에 대한 엽상 지의류 Dirinaria applanata의 병원성 조사 (Effects of Lichen Colonization of Dirinaria applanata on the Death of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 오순옥;고영진;허재선
    • 식물병연구
    • /
    • 제13권1호
    • /
    • pp.34-39
    • /
    • 2007
  • 지난 수년간 전남 소록도에서 관상용으로 관리되던 철쭉나무들이 고사되기 시작하였고, 고사된 철쭉나무에 다량의 지의류가 정착 번성하고 있다는 보고를 접하고, 철쭉나무의 고사와 지의류의 병원성에 대한 관계 규명을 위하여 본 조사를 실시하게 되었다. 이를 위하여 지금까지 문헌에 보고된 식물병원성 가능 인자에 대하여 조사하기 위하여 지의류형성곰팡이 균사의 식물체 감염 여부, 공생조류에 의한 병원성 여부, 지의체 대사산물에 의한 식물체 피해 여부에 대하여 검증을 실시하였다. 지의류가 정착된 철쭉나무 가지를 절편하여 분별염색을 실시하여 조직을 관찰한 결과, 고사된 조직 내에 지의류형성곰팡이 균사의 직접적인 감염을 확인할 수 없었으며, 공생조류를 분리하여 인위적으로 접종한 결과, 공생조류가 식물체 조직 내에서 생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뚜렷한 병발생이나 병징이 나타나지 않았다. 지의류 대사물질에 의한 식물조직의 피해를 알아보기 위하여 지의류 추출액을 처리한 결과에서도 뚜렷한 병징 발생 유도나 조직 피해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실험 결과로 지의체가 직접적으로 식물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는 결론을 낼 수 있었으며 식물체 고사와 지의류의 번성간의 인과 관계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