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2 cytokine

검색결과 339건 처리시간 0.033초

Balb/c 마우스에서 Keyhole limpet hemocyanine (KLH)의 항원성에 대한 PAMAM dendrimer 의 면역증강 효과 (Adjuvant Effect of PAMAM Dendrimer on the Antigenicity of Keyhole Limpet Hemocyanin in Balb/c Mice)

  • 이가영;김민지;김소연;이경복;오동현;조영호;유영춘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0호
    • /
    • pp.905-911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Keyhole limpet hemocyanin (KLH)에 대한 체액성 및 세포성 면역반응 유도에 대한 PAMAM dendrimer G4 (PAMAM)의 증강 효과를 조사하였다. PAMAM을 KLH와 2주 간격으로 2회 피하주사로 면역한 후, KLH에 대한 특이항체를 측정한 결과, KLH+PAMAM 면역 그룹은 KLH만을 단독으로 면역한 그룹에 약 30배이상 높은 유의한 항체가(IgG+IgA+IgM) 상승을 나타냈다. ELISA 분석에 의해 KLH 특이적인 면역글로부린의 isotype을 측정한 결과, PAMAM를 혼합하여 면역함으로서 IgG1, IgG2a, IgG2b, IgG3 및 IgM 항체의 역가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면역 개시 7주째에 면역동물에 KLH 항원을 피하주사하고 swelling reaction을 통해 세포성 면역반응인 지연형 과민반응(DTH)을 측정한 결과, KLH+PAMAM으로 면역한 그룹에서 KLH만을 단독으로 면역한 그룹에 비해 높은 DTH 유도활성이 관찰되었다. 한편 면역동물의 비장세포를 취하여 in vitro에서 KLH로 재자극한 후 림프구 증식반응과 사이토카인 유도활성을 측정한 결과, PAMAM을 혼합하여 면역한 그룹에서 KLH 단독 면역 그룹에 비해 림프구의 증식반응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Th1 type (IFN-γ)과 Th2 type (IL-4) 사이토카인의 생성도 모두 상승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PAMAM dendrimer는 함께 투여된 항원물질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성 면역과 체액성 면역을 상승시키는 활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PAMAM dendrimer가 면역 adjuvant로서 응용 가능한 소재임을 입증하는 것이다.

사물탕가향부자(四物湯加香附子)가 난소적출 흰쥐의 우울 및 학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amul-tanggahyangbuja on Depression and Learning on Repeated Stress in Ovariectomized Rats)

  • 이순이;김송백;서윤정;최창민;조한백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17
    • /
    • 2013
  • 목 적: 본 연구에서는 부인과에서 빈용되고 있는 사물탕에 향부자를 가미한 처방을 사용하여 반복적인 스트레스를 가한 난소적출 흰쥐에 대하여 항우울 효과와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 난소적출 흰쥐에 2주간 반복적인 스트레스를 주고, 사물탕가향부자(100 mg/kg, 400 mg/kg)을 경구 투여한 후 행동검사로 Morris water maze test, Forced swimming test, Sucrose intake 측정과 Social exploration 관찰을 시행하였으며 혈액검사로 혈청 Corticosterone, IL-$1{\beta}$와 TNF-${\alpha}$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 과: 1. Morris water maze test에서 사물탕가향부자 400 mg 투여군은 실험 3, 4일째 에 사물탕가향부자 100 mg 투여군은 실험 4일째에 acquisition trial 수행의 시간이 대조군에 비해서 단축되는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2. Forced swimming test에서 사물탕가향부자 400 mg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immobility 시간이 유의하게 줄어들었다. 3. Sucrose intake test에서 사물탕가향부자 400 mg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현저히 자당 섭취량이 증가하였고, social exploration 관찰에서 사물탕가향부자 400 mg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현저히 active social behavior가 증가하였다. 4. Corticosterone 측정에서 사물탕가향부자를 투여한 후 corticosterone 수준이 감소하는 변화가 있었지만 유효하지는 않았다. 5. 사물탕가향부자 투여군(100 mg, 400 mg)에서 IL-$1{\beta}$와 TNF-${\alpha}$의 양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결 론: 이상의 결과로 사물탕가향부자는 난소적출 흰쥐의 우울 및 인지력 저하에 유효함을 알 수 있었다.

아토피양(樣)피부염 NC/Nga 생쥐에서 자음제습탕가감(滋陰除濕湯加減)과 아토피 크림-자운고(紫雲膏)의 병용투여가 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ncurrent Administration of JaUmJeSeupTangKaKam(JUJSTK) and Atopy Cream, Jawoongo(AJ) on Atopic Dermatitis-like Skin Lesions in NC/Nga Mouse)

  • 이남열;김윤희;한재경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9-36
    • /
    • 200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a concurrent administration of JUJSTK and AJ on atopic dermatitis in an in-vivo experiment. Thus, this study is expressed by using NC/Nga atopic dermatitis mice which have histological and clinical similarities to that of humans have been used. Methods Clinical skin score, hematology, serum total IgE and IgG1 of the mouse was evaluated, and cytokine levels, total number of the cells,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histological features of axillary lymph node(ALN),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PBMCs), and a dorsal skin tissue of the mouse were analyzed. Results Oral administration of JUJSTK and concurrent administration of JUJSTK and AJ lowered the clinical skin score, total cell number of WBC, eosinophils in blood, and serum total of IgE & IgG1, IFN-$\gamma$, IL-5, IL-13, IL-17. In addition, total cell number of ALN and dorsal skin tissue, absolute cell number of $CD3e^+$ T cell, $CD4^+$ Th cell, $CD8^+$ c/sT cell, $CD3^+CCR3^+$ cell, $CCR3^+$ cell, $CD3^+CD69^+$, $CD4^+CXCR5^+$ in ALN, PBMCs, absolute cell number of $CCR3^+$, $CD3^+/CD69^+$, $CD11b^+/Gr-1^+$, $CD11b^+/Gr-1^+$ in dorsal skin tissue, Eotaxin2 mRNA, CCR3 mRNA in dorsal skin tissue and gene expression of IL-5 mRNA, IL-13 mRNA in AL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Furthermore, thickness of epidermis infiltrated inflammatory immune cell & mast cell in dermis, histological infiltration of mast cell, the size of inflammatory lymphocytes cells & plasma cells in ALN and histological infiltration of $CD4^+$ & $CCR3^+$ in ALN and dorsal skin tissu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s well. Conclusions Concurrent administration of JUJSTK and AJ on atopic dermatitis in an in-vivoexperiment by using an NC/Nga atopic dermatitis mouse was very effective as an atopic dermatitis treatment.

  • PDF

The effect of rhinovirus on airway inflammation in a murine asthma model

  • Kim, Eugene;Lee, Huisu;Kim, Hyun Sook;Won, Sulmui;Lee, Eu Kyoung;Kim, Hwan Soo;Bang, Kyongwon;Chun, Yoon Hong;Yoon, Jong-Seo;Kim, Hyun Hee;Kim, Jin Tack;Lee, Joon Su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6권11호
    • /
    • pp.482-489
    • /
    • 2013
  • Purpos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lower airway inflammatory immune responses, including cellular responses and responses in terms of inflammatory mediators in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 and the airway, to rhinovirus (RV) infection on asthma exacerbation by comparing a control and a murine asthma model, with or without RV infection. Methods: BALB/c mice were intraperitoneally injected with a crude extract of Dermatophagoides farinae (Df ) or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and were subsequently intranasally treated with a crude extract of Df or PBS. Airway responsiveness and cell infiltration, differential cell counts in BALF, and cytokine and chemokine concentrations in BALF were measured 24 hours after intranasal RV1B infection. Results: RV infection increased the enhanced pause (Penh) in both the Df sensitized and challenged mice (Df mice) and PBS-treated mice (PBS mice) (P<0.05). Airway eosinophil infiltration increased in Df mice after RV infection (P<0.05). The levels of interleukin (IL) 13, tumor necrosis factor alpha, and regulated on activation, normal T cells expressed and secreted (RANTES) increased in response to RV infection in Df mice, but not in PBS mice (P<0.05). The level of IL-10 significantly decreased following RV infection in Df mice (P<0.05).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augmented in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Th2 cytokines, and chemokines that mediate an eosinophil response and the decreased induction of regulatory cytokines after RV infection may be important manifestations leading to airway inflammation with eosinophil infiltration and changes in airway responsiveness in the asthma model.

Effect of Zedoariae rhizoma on Bronchial Inflammation and Allergic Asthma in Mice

  • Ahn, Jong-Chan;Ban, Chang-Gyu;Park, Won-Hwan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1636-1648
    • /
    • 2006
  • There are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clinical experiences and prescriptions of asthma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Zedoariae rhizoma is one of the Korean herbal medicines used to treat bronchial asthma and allergic rhinitis for centuries. However, the therapeutic mechanisms of this medication are still far from clear, In this study, a house-dust-mite (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Der p])-sensitized murine model of asthma was used to evaluate the immunomodulatory effect of Zedoariae rhizoma on the allergen-induced airway inflammation in asthma. Three different protocols were designed to evaluate the treatment and/or long-term prophylacitic effect of Zedoariae rhizoma in Der p-sensitized mice. Cellular infiltration and T-cell subsets in the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of allergen-challenged mice were analyzed. Intrapulmonary lymphocytes were also isolated to evaluate their response to allergen stimulation. When Zedoariae rhizoma was administered to the sensitized mice before AC (groups A and C), it suppressed airway inflammation by decreasing the number of total cells and eosinophil infiltration in the BALF, and downregulated the allergen- or mitogen-induced intrapulmonary lymphocyte response of sensitized mice as compared to those of controls. This immunomodulatory effect of Zedoariae rhizoma may be exerted through the regulation of T-cell subsets by elevation or activation of the CD8+ and double-negative T-cell population in the lung. However, the administration of Zedoariae rhizoma to sensitized mice 24 h after AC (group B) did not have the same inhibitory effect on the airway inflammation as Zedoariae rhizoma given before AC. Thus, the administration of Zedoariae rhizoma before AC has the immunomodulatory effect of reducing bronchial inflammation in the allergen-sensitized mice. On the other hand, to determine the potentiality of prophylactic and/or therapeutic approaches using a traditional herbal medicine, Zedoariae rhizoma, for the control of allergic disease, we examined the effects of oral administration of Zedoariae rhizoma on a murine model of asthma allergic responses. When oral administration of Zedoariae rhizoma was begun at the induction phase immediately after OVA sensitization, eosinophilia and Th2-type cytokine production in the airway were reduced in OVA-sensitized mice following OVA inhal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oral administration of Zedoariae rhizoma dichotomously modulates allergic inflammation in murine model for asthma, thus offering a different approach for the treatment of allergic disorders.

방사선 조사된 흰쥐에서 고단백식이와 레스베라트롤 첨가가 영양상태 및 면역기능 증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High Protein Diet and Resveratrol Supplementation on the Nutritional Status and Immunoreactivity in the Irradiation-induced Inflammatory Rats)

  • 김경옥;전미선;강승희;김현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2권7호
    • /
    • pp.605-614
    • /
    • 2009
  • 방사선 치료는 대부분의 암환자 치료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방사선 조사로 인한 부작용으로 환자들은 고통을 받고 있으며, 이러한 방사선치료의 부작용을 줄이고 환자의 영양상태 및 면역기능을 강화시킴으로써 암을 이겨낼 수 있는 능력을 강화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 조사로 염증이 유도된 흰쥐를 사용하여 고단백식이와 레스베라트롤을 식이에 첨가하였을 경우 영양상태와 면역지표에 변화가 있는지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방사선 조사로 인한 체중 감소 현상이 모든 군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정상식이 섭취량에 있어서는 방사선조사 전에는 모든 군에서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방사선 치료후 유의하게 식이섭취가 감소하였다. 증가된 IL-6는 leptin의 분비와 단백질 분해를 야기시키고 이로 인하여 식욕감 퇴로 이어져 체중감소가 생긴다. 2)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 조사로 인한 영양상태 변화를 살펴 본 결과 혈중 총 단백질과 알부민 농도가 모든 군에서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레스베라트롤을 식이에 첨가하였을 경우 식이단백질 수준에 상관없이 혈중 알부민 농도를 증가시켰다. 3) 방사선 조사로 인하여 혈중 중성지방 농도가 증가하였으며, LDL-cholesterol 농도의 증가와 함께 HDL-cholesterol 농도가 감소됨으로써 지질 영양상태는 매우 불량한 상태를 초래하였다. 이 경우 단백질 섭취 수준을 높이거나 식이에 레스베라트롤을 첨가한 모든 군에서 혈중 중성지방 농도를 유의하게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특히 레스베라트롤을 첨가함으로써 혈중 LDL-cholesterol 수준도 유의하게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방사선 조사에 따른 혈액세포 수의 변화에 있어서는 유의한 백혈구의 증가와 혈소판의 감소를 들 수 있는데 고단백과 레스베라트롤을 동시에 처리한 군에서 백혈구수를 정상대조군 수준으로 낮출 수 있었으며, 감소된 혈소판 농도는 식이단백질 수준을 높임으로써 정상대조군 수준으로 회복시킬 수 있었다. 4) 또한 본 실험에서는 방사선조사에 의한 백혈구 백분율 변화에 있어서도 림프구의 백분율이 현저하게 감소한 반면 중성구와 호산구의 비율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 경우 레스베라트롤 첨가와 무관하게 단백질 섭취 수준을 높임으로써 방사선 조사에 의한 호산구 비율의 증가를 유의하게 낮출 수 있었다. 5) 방사선조사에 의하여 혈중 사이토카인 농도에도 변화가 있었다. 가장 현저한 변화로는 방사선 조사에 의하여 혈중 IL-2와 IL-6의 농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두 경우 모두에서 단백질 수준을 높이거나 레스베라트롤을 첨가함으로써 사이토카인의 농도를 정상대조군 수준으로 회복 시켰다. 또한 방사선 조사에 의하여 혈중 IL-12 농도가 현저히 감소하였는데 레스베라트롤을 첨가함으로써 식이단백질 수준에 상관없이 정상대조군 수준으로 증가시켰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항암치료를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사선 조사는 환자의 영양상태와 면역능에 있어 다양한 변화를 초래함으로써 부작용을 야기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경우 식이의 단백질 수준을 높이거나 식이에 적정 수준의 레스베라트롤을 첨가함으로써 저하된 환자의 기능을 증진시켜 영양불균형을 개선함과 동시에 면역기능을 높여 염증반응의 부작용을 완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Enterococcus faecalis 추출물이 임파구의 IL-2, IL-4, TGF-β1 분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Enterococcus faecalis sonicated extracts on IL-2, IL-4 and TGF-β1 production from human lymphocytes)

  • 김현식;이우철;;손원준;이상탁;김철호;임성삼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0권1호
    • /
    • pp.1-6
    • /
    • 2005
  • 근관치료의 실패원인 중 중요한 세균으로 알려진 Enterococcus faecalis는 최근에 중요성이 더해지며 많은 연구들이 진행중이다. 여러가지 기전들이 보고되고 있으나 면역반응에 관한 연구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Enterococcus faecalis의 초음파 분쇄 추출물을 성인의 말초혈액으로부터 얻은 임파구에 적용시켜서 여기서 분비되는 interleukin-2, interleukin-4,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의 농도를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로 측정하여 비교,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E. faecalis를 적절한 조건에서 배양한 뒤 초음파 분쇄를 하여 추출물을 얻어냈다. 임파구는 건강한 성인의 말초혈액에서 추출하여 분리하였다. 임파구를 적절한 농도의 mitogen (Phytohemagglutinin: PHA)으로 자극시킨 뒤에 다양한 농도의 E. faecalis 초음파 추출물을 적용시키고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ELISA를 이용하여 IL-2, IL-4, $TGF-\beta1$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는 Kruskal-Wallis test, Man-Whitney rank sum test (p < 0.05)를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실험결과 PHA로 처리한 군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군에 비해서 IL-2, IL-4의 수치가 유의성 있게 높았다 (p < 0.05). PHA로 처리한 군중에서 고농도와 중농도의 sonic extract of E. faecalis (SEF)로 처리한 군은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서 IL-2 IL-4의 농도가 유의성 있게 낮았다 (p < 0.05). PHA로 처리한 군중에서 저농도의 SEF로 처리한 군은 그렇지 않은 군과 비교하여 유의할 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GF-\beta1$의 농도는 모든 군에서 유의할 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 > 0.05). 따라서, E. faecalis의 추출물은 임파구의 IL-2, IL-4의 분비능력을 저하시킨다고 할 수 있다.

류마티스 관절염 병인에서 제2형 콜라겐에 대한 면역반응의 역할 (Role of Immune Response to Type II Collagen in the Pathogenesis of Rheumatoid Arthritis)

  • 정영옥;홍승재;김호연
    • IMMUNE NETWORK
    • /
    • 제3권1호
    • /
    • pp.1-7
    • /
    • 2003
  • Type II collagen (CII), major component of hyaline cartilage, has been considered as an auto-antigen in rheumatoid arthritis (RA). However, the clinical and biological significances with regard to the CII autoimmunity need to be clarified in human RA. The presence of antibodies to CII has been identified in sera, synovial fluid, and cartilage of patients with RA. In our study, the increased titer of IgG anti-CII in sera was well correlated with C-reactive protein, suggesting that this antibody may reflect the inflammatory status of RA. The titer of anti-CII antibodies (anti-CII Abs) tended to be higher in early stages of diseases. In our extending study, among 997 patients with RA, 269 (27.0%) were positive for circulatory IgG antibody to CII, those levels were fluctuated over time. It is hard to assess the significant amount of T cell responses to CII and CII (255~274) in RA. By using a sensitive method of antigen specific mixed lymphocyte culture, we can detect the presence of CII-reactive T cells in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of RA patients. Sixty seven (46.9%) of 143 patients showed positive CII reactive T cell responses to CII or CII (255~274). The frequencies of CII reactive T cells were more prominent in inflamed synovial fluid (SF) than in peripheral blood. These T cells could be clonally expanded after consecutive stimulation of CII with feeding of autologous irradiated antigen presenting cells (APC). Moreover, the production of Th1-related cytokine, such as IFN-${\gamma}$, was strongly up-regulated by CII reactive T cells. These data suggest that T cells responding to CII, which are probably presenting the IFN-${\gamma}$ producing cell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erpetuation of inflammatory process in RA. To evaluate the effector function of CII reactive T cells,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CII reactive T cells and fibroblasts-like synoviocytes (FLS) interaction on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When the CII reactive T cells were co-cultured with FLS, the production of IL-15 and TNF-${\alpha}$ from F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2 to 3 fold increase) and this increase was clearly presented in accord to the expansion of CII reactive T cells. In addition, the production of IFN-${\gamma}$ and IL-17, T cell derived cytokines, were also increased by the co-incubation of CII reactive T cells with FLS. We also examined the impact of CII reactive T cells on chemokines production. When FLS were co-cultured with CII stimulated T cells, the production of IL-8, MCP-1, and MIP-1${\alpha}$ were significantly enhanced. The increased production of these chemokines was strongly correlated with increase the frequency of CII reactive T cells. Conclusively, immune response to CII was frequently found in RA. Activated T cells in response to CII contributed to increase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chemokines, which were critical for inflammatory responses in RA. The interaction of CII-reactive T cells with FLS further augmented this phenomenon. Taken together, our recent studies have suggested that autoimmunity to CII could play a crucial role not only in the initiation but amplification/perpetuation of inflammatory process in human RA.

천식유발 마우스에서의 폐 내 세포조성 변화와 IL-4 및 IL-10의 발현 양상 (The Change of Cell Distribution in the lung and the Expression Pattern of IL-4 and IL-10 in Asthma Induced Mouse)

  • 이수진;박세종;리천주;장양호;최농훈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780-787
    • /
    • 2006
  • 본 연구진은 일차로 BALB/C 마우스를 이용하여 항원으로 ovalbumin을 사용하여 천식을 유발하여 폐 내 세포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다른 실험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천식모델과 비교하여 살펴보았고 이차로 천식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IL-4와 IL-10 knock out (KO) 마우스를 이용하여 천식모델을 구축하여 천식인자를 가진 개체에서의 반응과 천식관련인자가 결핍된 개체에서의 반응성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천식의 유발은 실험 1일째 $20\;{\mu}g$ ovalbumin으로 감작시킨 후 실험 14일에 재감작을 시켰다. 그 후 nebulizer를 이용하여 nasal inhalation을 28일, 29일, 30일에 실시하여 천식을 유발시켰다. 천식 유발의 확인은 기관지폐포 세척술로 채취한 폐 내 세포액을 이용하여 총 세포수 및 염증세포의 증가와 폐 내 세포와 폐조직의 염색을 통해 분포율을 확인하였다. 천식의 발병 과정에서 IgE 관련 과민반응을 주도하는 IL-4와 Th2 세포의 기능을 억제한다고 알려진 IL-10의 면역화학염색을 통해 그 발현정도를 관찰하였다. BALB/c 마우스의 천식유발군의 경우 천식의 특징인 염증세포의 증가와 호산구의 증가와 세기관지 주위 염증세포의 침윤 및 기도 상피의 비후를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실험에 응용된 천식유발 방법은 적합하였으며 천식유발 절차가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음을 확인하였다. IL-4 및 IL-10 KO 마우스를 이용한 천식유발군의 경우 BALB/c 마우스를 이용한 천식유발군보다 호산구의 증가 정도가 미약하게 관찰되었고, 폐조직 내 염증세포의 침윤 정도도 감소하였다. 천식매개인자인 IL-4와 IL-10의 면역조직화학염색 결과에서도 양성반응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IL-10이 IL-4와 같이 천식과 관련하여 세기관지 염증 반응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