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sting procedure

검색결과 873건 처리시간 0.038초

아홉산 홀아비꽃대 집단의 공간적 분포 양상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Chloranthus japonicus Population at Mt. Ahop)

  • 허만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48-152
    • /
    • 2018
  • 지역 미세 환경의 패치는 식물의 공간적 분포에 일차적 요인이다. 식물의 공간적 양상을 결정한다는 귀무가설을 임의화 과정을 통해 검증하였다. 홀아비꽃대는 초본으로 홀아비꽃대과(Chloranthaceae) 홀아비꽃대속(Chloranthus)에 속한다. 홀아비꽃대의 공간적 양상을 여러 패치 지표로 분석하였고, 분산 지수에 따른 플롯 크기별 운집 분포, 균일분포, 공간적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홀아비꽃대의 집단 밀도(D)는 0.356에서 2.270으로 평균은 1.527이었다. 아홉산 홀아비꽃대의 분산지표(C)는 작은 플롯($2m{\times}2m$, $2m{\times}4m$, $4m{\times}4m$, $4m{\times}8m$, $8m{\times}8m$, and $8m{\times}16m$)은 1보다 작았으며 큰 플롯($16m{\times}16m$ and $16m{\times}32m$)은 1보다 상회하였다. 따라서 홀아비꽃대의 운집지표(CI)는 작은 플롯에서 음의 값으로 균일한 분포를 이룬다. 큰 플롯의 운집지표는 양의 값으로 나타났으나 그 값은 높지 않았다. 평균 클라운딩($M^{\ast}$)과 패치지수(PAI)는 모든 플롯에서 양의 값을 보였다.

Proplast와 Porous Polyethylene을 이용(利用)한 가토(家兎) 하악골(下顎骨) 증대술후(增大術後) 조직반응(組織反應) 및 골형성(骨形成)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Tissue Response and Bone Formation after Augmentation Using Proplast and Porous Polyethylene in Rabbit Mandible)

  • 김건중;류선열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1권1호
    • /
    • pp.101-116
    • /
    • 1989
  • Proplast and Porous Polyethylene which have porous structures as low-modulus polymers have been recently used in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esponse of adajacent tissue, new bone formation and stability after augmentation by differen methods of subperiosteal graft using proplast and purous polythylene in rabbit mandible. The augmentation procedure was carried out by dividing into two groups, A and B. A group consisted of subperiosteal graft on the cortex, and the other B group was made up only graft following artificial decortication in the mandibular body of rabbit. The experimental animals were sacrificed on the 1st, 2nd, 4th and 8th week after grafting for macroscopic and light microscopic examination. The samples extracted at the 6th postgrafting week were also used for biometric testing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examinat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Macroscopically, infection of graft site, deformation and migration of graft material were not observed in all experimental groups. 2. B group showed more rapid and increased bone formation and the greater stability than A group, and tissue response was similar to each other. 3. In the tissue response, macrophages and cellular infiltrations were observed in Proplast group, but few in PHDPE group. 4. In bone formation of A group, Proplast group showed no bone formation until the 8th week, but PHDPE group showed small quantity of osteoid tissue from the 2nd week and appositional bone growth with new bone formation at the 8th week. 5. In bone formation of B group, both Proplast and PHDPE group showed bone formation, but PHDPE group showed more rapid and larger bone formation. 6. In pattern of bone formation, Proplast group mainly showed appositional bone growth pattern connected with graft site. On the other hand, PHDPE group showed mixed pattern of new bone formation in the pore connective tissue with appositional bone growth from graff site. 7. The maximum mean values of shear stress were serially $111.3gf/mm^{2}$ in PHDPE of B group, $84.8gf/mm^{2}$ in PHDPE of A group, $32.9gf/mm^{2}$ in Proplast B group, and $15.7gf/mm^{2}$ in Proplast of A group. From abov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the capacity of bone formation and stability between bone and graft material were dependent on the pore size and structure of graft material itself, the state of graft site and tissue response.

  • PDF

혼화재 종류 및 치환율이 콘크리트의 내염성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the Kinds and Replacement Ratios of Mineral Admixtures on the Development of Concrete Resistance against the Penetration of Chloride Ions)

  • 김영진;이상수;김동석;유재강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319-326
    • /
    • 2004
  • 본 연구는 콘크리트의 시공성 및 역학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혼화재료(플라이애쉬, 고로슬래그미분말, 실리카퓸 및 메타카올린)를 해양환경에 노출되는 콘크리트에 적용할 경우, 혼화재료가 콘크리트의 내염성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비교적 단기간에 평가할 수 있는 전기적 촉진시험방법을 사용하여 혼화재 종류 및 치환율, 물-결합재비, 재령에 따른 염화물 확산계수를 비교$\cdot$평가하였다. 혼화재 종류 및 치환율에 따른 염화물 확산계수 평가결과 물-결합재비 수준에 따라 성능의 차이는 있지만 각 혼화재별로 염화물 침투저항성이 우수한 치환율 수준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염화물확산계수는 물-결합재비 수준에 따른 영향과 더불어 적정의 치환율을 적용한 혼화재의 사용에 의해서도 현저하게 저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간의 경과와 함께 염화물 확산계수도 감소되는 시간의존적인 특성은 혼화재 종류 및 치환율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압축강도와 염화물 확산계수는 반비례의 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본 연구의 범위에서 보면 50MPa 이하영역에서는 염화물 확산계수는 압축강도 발현특성과 더불어 혼화재 사용 및 치환율에 따른 영향도 크게 나타나고 있어, 향후 염해 환경하에서 내구성을 고려한 구조물 설계시 보다 정확한 내구성능 평가를 위해서는 압축강도 발현특성 검토와 더불어 염화물 확산계수의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CAP SASW 기법에 의한 지반단면의 전단강성구조 평가 (Evaluation of Stiffness Profile for a Subgrade Cross-Section by the CAP(Common-Array-Profiling)-SASW Technique)

  • 조성호;장대우;강태호;이일화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71-81
    • /
    • 2005
  • 지반의 표면에서 비파괴적으로 지반의 구조나 하부강성을 구하는 표면파 기법의 초기형태는 2차원 평면파의 측정과 해석에 기반을 두었으나, 이후 3차원 입체파에 기반을 두는 형태로 발전하였다. 그러나 체적파의 간섭, 근접장 효과, 표면파 측정해상도의 한계 등으로 인하여 3차원 입체파의 활용은 제한적이었고, 측정 지반을 대표하는 1차원 평가에 국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SASW 시험의 수치모델링을 통하여 수직 레일레이파, 수평 레일레이파, 러브파 등의 표면파 전파 특성을 3차원 영역에서 심도있게 고찰하였으며, 표면파의 근접장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한 새로운 필터조건을 정립하였고, 결과적으로 CAP(common-array-profiling)-SASW라는 기법이라고 하는 개선된 표면파 기법을 제안하게 되었다. CAP-SASW 기법의 적용으로 인하여 좁은 폭의 지반단면에 대한 전단파 속도 주상도 평가가 가능하게 되었고, 지반 단면에 대한 2차원 지반강성 평가도 가능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기법의 검증을 위하여 자연 지반을 대상으로 하여 CAP-SASW 시험, 기존 SASW 시험, 다운홀 시험 등을 수행하여 획득된 전단파 주상도를 비교하였다.

시효된 복합레진 표면에 다양한 표면 처리 후 부착한 교정용 브라켓의 전단응력 (Effect of Various Surface Treatment Methods on Shear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Brackets to Aged Composite Resin)

  • 박종철;박호원;이주현;서현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25-133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시효된 복합레진 수복물에 이산화탄소 레이저로 표면처리한 경우와 기존의 여러 가지 표면처리 방법에 따른 교정용 브라켓의 전단응력을 측정하여 비교하기 위함이다. 복합레진을 이용하여 직경 6 mm, 두께 5 mm의 시편을 96개 제작하였다. 제작된 시편을 인공타액에 침적시켜 $37^{\circ}C$의 온도로 2주 동안 시효처리 하였다. 그 후 96개의 시편을 무작위적으로 16개씩 6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1군은 표면처리를 하지 않았고, 2군은 37% 인산으로, 3군은 4% 불산으로, 4군은 입자 분사 연마로, 5군은 고속 다이아몬드 버로, 6군은 이산화탄소 레이저로 표면처리하였다. 만능 시험기를 이용하여 전단응력을 측정하였으며, 주사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표면처리 양상을 관찰하였다. 버를 사용한 5군이 가장 큰 전단응력 값을 보였으며, 이산화탄소 레이저를 사용한 6군이 그다음으로 큰 값을 보였다. 버를 사용한 5군과 이산화탄소 레이저를 사용한 6군은 나머지 표면처리 방법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전단응력 값을 보여주었다(p < 0.05). 또한, 주사전자 현미경 사진을 통해 분석한 결과 레이저를 이용한 6군에서 표면이 가장 거칠었으며 불규칙한 요철구조가 형성되었다. 이산화탄소 레이저를 이용한 표면처리 방법은 브라켓 접착시 적절한 결합강도를 제공하므로, 시효된 레진 수복물에 교정용 브라켓을 접착하기 위한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다.

작업 강도가 방진 마스크의 밀착도와 감성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ork Intensity on Fit Factor and Affecive Quality of Dustproof Mask)

  • 이진실;조선희;윤정민;김민선;박재규;최재호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301-310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ork intensity on fit factor and affective quality of the dustproof Background: Among the victims who suffer pneumoconiosis due to the inhalation of toxic substances or the lack of oxygen during the work, the proportion of the victims is larger than the other causes. Wearing a respirator may prevent pneumoconiosis, but it can be hazardous to workers because of the leakage through filters, cartridges, exhaust valves, broken parts, and face-to-face contact. Despite leakage through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mask and the face has various causes such as the wearer's activity, sweat accumulation, facial shape, etc., There is a lack of relevant research and regulation compared to developed countries that have already institutionalized the law 30 years ago and give the right to sell through a test Method: The work intensity was adjusted by walking or running at 6km/h and 11km/h on the treadmill, and tasks were defined with reference to the test procedure and the exercise sequence applied in the face leakage test of the dustproof mask. And fit factor was measured objectively using 'Respirator Fit Tester 8038' which measures fit factor calculated by dividing the number of dust present outside the mask by inside the mask. In addition, affective quality was classified by the ease of use, ease of breathing, and ease of wearing, and was measured using the 5-point likert scale questionnaire.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it factor, ease of breathing, and wearing convenience according to work intensity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ase of use(${\alpha}=0.01$). And when the work intensity was high, fit factor, ease of breathing, and wearing convenience were all lower than when the work intensity was low. Conclusion: In Korea, it is necessary to consider consideration of the work intensity when testing the leakage rate of the face part for safety certification of the respiratory protective equipment, When developing a mask, it should be possible to maintain high adhesion even under intense, active situation and high temperature conditions by selecting materials, improving the wearing style, and expanding the adjustable range.

진동대 시험에 의한 편평한 암석 절리면의 동적 마찰거동 특성 (Dynamic Frictional Behavior of Saw-cut Rock Joints Through Shaking Table Test)

  • 박병기;전석원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6권1호
    • /
    • pp.58-72
    • /
    • 2006
  • 암반구조물의 규모가 점차 대형화됨에 따라 암반이 자유면에 노출되는 확률이 높아지고 있으며, 최근 들어 지진이나 발파, 고속철도의 운행에 의한 진동 등으로 야기되는 동적 하중의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동적 하중조건 하에서 암반 불연속면의 거동 특성 파악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유면에 노출된 블록의 동적 거동을 모사할 수 있도록 경사면 진동대 시험장비를 제작하였고, 다양한 동적 하중 조건하에서 편평한 화강암 절리면의 마찰 거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경사시험을 통해서 구한 한계 경사각과 진동하중 하에서의 임계가속도로부터 역산한 정적 마찰각을 비교한 결과 동하중 하에서 정적마찰각이 $4.5\~8.2^{\circ}$ 정도 낮게 산정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론적인 암석 블록의 마찰 거동을 표현하는 블록 거동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진동하중에 의해 미끄러지는 암석 블록의 가속도 및 변위 계측결과를 개발된 프로그램에 의한 결과와 비교하여 암석 절리면의 동적 마찰각을 산정하였는데 동적 마찰각 역시 한계 경사각에 비해 $2.0\~7.5^{\circ}$ 정도 감소하는 결과를 얻었다. 동하중 하에서 측정된 정적 마찰각과 동적 마찰각은 가해진 가속도의 크기나 진폭 등의 하중 특성과 기하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경향을 보였다. 개별요소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진동대 시험을 모사하였는데, 계측결과 및 개발된 프로그램에 의한 결과와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진동대 시험에 의한 동적, 정적 마찰각은 직접전단시험에 의한 기본 마찰각보다 현저히 작게 산정되었다.

유도탄 점검 장비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개발 방법 (The method of development for enhancing reliability of missile assembly test set)

  • 고상훈;한석주;이계신;이유상;김용국;박동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37-43
    • /
    • 2018
  • 유도탄 점검 중 결함이 검출되면 개발자는 고장을 식별하여 문제 조치 후 시험을 재개한다. 고장 식별을 위해 장비에서 나오는 데이터를 분석해야 하는데, 점검 환경에 따라 수신한 정보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개발자는 문제가 재현될 때 까지 반복 시험을 수행하던지 연계된 장비를 찾아 각 성능 점검을 수행 하여 정상 여부를 확인한다. 해당 업무가 추가되면 일정 관리에 문제가 생기고 개발비용이 상승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체계적인 절차로 유도탄 점검 장비를 설계하여 결함 검출률을 높여 요구 신뢰도를 만족해야 한다. 절차마다 필요한 프로세스를 설계하여 운용 중 결함검출 시 고장식별에 대한 시간을 줄일 수 있다. 하지만 결함 검출률 100%를 만족할 수 없기에 비용대비 효과를 분석 해 설계해야 한다. 본 논문은 유도탄 점검 장비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개발 방법과 적용 시 기대효과 및 한계점에 대한 내용을 기술한다.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to Identify Quantitative Trait Loci for Meat and Carcass Quality Traits in Berkshire

  • Iqbal, Asif;Kim, You-Sam;Kang, Jun-Mo;Lee, Yun-Mi;Rai, Rajani;Jung, Jong-Hyun;Oh, Dong-Yup;Nam, Ki-Chang;Lee, Hak-Kyo;Kim, Jong-Jo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11호
    • /
    • pp.1537-1544
    • /
    • 2015
  • Meat and carcass quality attributes are of crucial importance influencing consumer preference and profitability in the pork industry. A set of 400 Berkshire pigs were collected from Dasan breeding farm, Namwon, Chonbuk province, Korea that were born between 2012 and 2013. To perform genome wide association studies (GWAS), eleven meat and carcass quality traits were considered, including carcass weight, backfat thickness, pH value after 24 hours (pH24), Commission Internationale de l'Eclairage lightness in meat color (CIE L), redness in meat color (CIE a), yellowness in meat color (CIE b), filtering, drip loss, heat loss, shear force and marbling score. All of the 400 animals were genotyped with the Porcine 62K SNP BeadChips (Illumina Inc., USA). A SAS general linear model procedure (SAS version 9.2) was used to pre-adjust the animal phenotypes before GWAS with sire and sex effects as fixed effects and slaughter age as a covariate. After fitting the fixed and covariate factors in the model, the residuals of the phenotype regressed on additive effects of each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under a linear regression model (PLINK version 1.07). The significant SNPs after permutation testing at a chromosome-wise level were subjected to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best set of SNP markers. A total of 55 significant (p<0.05) SNPs or quantitative trait loci (QTL) were detected on various chromosomes. The QTLs explained from 5.06% to 8.28% of the total phenotypic variation of the traits. Some QTLs with pleiotropic effect were also identified. A pair of significant QTL for pH24 was also found to affect both CIE L and drip loss percentage. The significant QTL after characterization of the functional candidate genes on the QTL or around the QTL region may be effectively and efficiently used in marker assisted selection to achieve enhanced genetic improvement of the trait considered.

"Over-inlay" block graft and differential morphometry: a novel block graft model to study bone regeneration and host-to-graft interfaces in rats

  • Ghiacci, Giulia;Graiani, Gallia;Ravanetti, Francesca;Lumetti, Simone;Manfredi, Edoardo;Galli, Carlo;Cacchioli, Antonio;Macaluso, Guido Maria;Sala, Roberto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6권4호
    • /
    • pp.220-233
    • /
    • 2016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new a model that allows the study of the bone healing process, with an emphasis on the biological behavior of different graft-to-host interfaces. A standardized "over-inlay" surgical technique combined with a differential histomorphometric analysis is presented in order to optimize the use of critical-size calvarial defects in pre-clinical testing. Methods: Critical-size defects were created into the parietal bone of 8 male Wistar rats. Deproteinized bovine bone (DBBM) blocks were inserted into the defects, so that part of the block was included within the calvarial thickness and part exceeded the calvarial height (an "over-inlay" graft). All animals were sacrificed at 1 or 3 months. Histomorphometric and immunohistochemical evaluation was carried out within distinct regions of interest (ROIs): the areas adjacent to the native bone (BA), the periosteal area (PA) and the central area (CA). Results: The animals healed without complications. Differential morphometry allowed the examination of the tissue composition within distinct regions: the BA presented consistent amounts of new bone formation (NB), which increased over time ($24.53%{\pm}1.26%$ at 1 month; $37.73%{\pm}0.39%$ at 3 months), thus suggesting that this area makes a substantial contribution toward NB. The PA was mainly composed of fibrous tissue ($71.16%{\pm}8.06%$ and $78.30%{\pm}2.67%$, respectively), while the CA showed high amounts of DBBM at both time points ($78.30%{\pm}2.67%$ and $74.68%{\pm}1.07%$, respectively), demonstrating a slow remodeling process. Blood vessels revealed a progressive migration from the interface with native bone toward the central area of the graft. Osterix-positive cells observed at 1 month within the PA suggested that the periosteum was a source of osteoprogenitor elements. Alkaline phosphatase data on matrix deposition confirmed this observation. Conclusions: The present model allowed for a standardized investigation of distinct graft-to-host interfaces both at vertically augmented and inlay-augmented sites, thus possibly limiting the number of animals required for pre-clinical investig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