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rm deposit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9초

소규모 노인공공가정설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A Study on Design of Aged Small Scale Institutional Household)

  • 두경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187-205
    • /
    • 2003
  • This study is to design aged institutional household on a small scale, al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material for management of small scale institutional household and policy establishment that could help the aged well-being. Design of research is accomplished after the review of related literatures. The propositions of design are 3s follows; region:seoul suburbs(2 hours' distance) building:fourth stories(The building-to-land ratio 25%, capacious ratio 100%, in environmental affinity.) object:75 years and over aged 15 women cost:deposit and living month expenses contract between the manager and the desired occupant or concerned family term of validity:As long as occupant want.

하이브리드도서관을 지향하는 국립중앙도서관의 전자출판물 수집 정책 (Acquisition Policy on Electronic Publications by the Natial Library of Korea toward Hybrid Library)

  • 이숙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3-78
    • /
    • 2003
  • 하이브리드 도서관이라 함은 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모든 형태의 자료를 이용자가 통합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해 주는 것이다. 따라서 디지탈시대에 국립도서관이 지향해야할 도서관의 형태가 있다면 이는 하이브리드도서관이라 하겠다. 하이브리드 도서관이 되기 위해서는 전통적인 매체 자료에 퍼한 장서수집정책과 더불어 전자출판물의 수집정책이 새롭게 조명되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전통적인 자료의 수집정책에 대한 언급은 생략하고 국내외에서 발간되고 있는 전자출판물의 출판동향을 제시하며 이들 자료를 국립중앙도서관의 문헌으로 수집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초점을 두고자 하였다.

  • PDF

System Dynamics Modeling of Korean Lease Contract Chonsei

  • Myung-Gi Moon;Moonseo Park;Hyun-Soo Lee;Sungjoo Hwang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151-157
    • /
    • 2013
  • Since the sub-prime mortgage crisis from the US in 2008, the Korean housing market has plummeted. However, the deposit prices of the Korean local lease contract, Chonsei, had been increasing. This increase of Chonsei prices can be a threat to low-income people, most of whom prefer to live in houses with a Chonsei contract. In the housing and Chonsei market, there are many stakeholders with their own interest, hence, simple thoughts about housing and Chonsei market, such as more house supply, will decrease house price, would not work in a real complex housing market. In this research, we suggests system dynamics conceptual model which consists of causal-loop-diagrams for the Chonsei market as well as the housing market. In conclusion, the Chonsei price has its own homeostasis characteristics and different price behavior with housing price in the short and long term period. We found that unless government does not have a structural causation mind in implementing policies in the real estate market, the government may not attain their intended effectiveness on both markets.

  • PDF

대심도 연약지반에 설치된 라멘 구조물의 시공 및 보강사례 (Case study on Construction and Improvement of Rahmen Structures in Deep Soft Clay Deposit)

  • 이사익;최영철;유상호;김태형;김성렬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85-92
    • /
    • 2014
  • 연약지반에 설치되는 구조물은 장기간에 걸쳐 발생하는 연약지반의 압밀 침하 또는 측방유동 현상에 의하여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지반조사, 지반개량, 시공관리 등과 관련하여 적합한 설계 및 시공순서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의 시공사례는 기초구조물로 지지되는 라멘구조물을 대상으로 하였다. 특히, 본 사례는 공사기간의 제약과 새로운 고속도로를 가로지르는 기존 도로의 연결 문제 등으로 구조물 하부 연약지반을 개량하지 않고 배면 성토를 시공하기 전에 구조물을 먼저 시공하였다. 이에 따라,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수치해석 및 지반계측 결과를 바탕으로 시공절차 및 대책공법을 주의깊게 계획하였다. 시공과정 중에 여러 번의 시행착오를 거쳐 성공적으로 구조물 시공을 완료할 수 있었다.

동해안 해안선과 해빈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Changes of Shorelines and Beaches on East Sea Coast, South Korea)

  • 김대식;이광률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47-164
    • /
    • 2015
  • 본 연구는 동해안의 8개 해빈을 대상으로 2012년 3월부터 2014년 2월까지 2년 동안 지형 측량을 실시하여, 해안선과 해빈의 계절적 변화 특성과 경향을 파악하였다. 동해안의 해안선은 계절적 변화량이 연간 변화량보다 크게 나타났고, 강원도와 경상북도 해안의 계절적 변화 양상에는 지역적인 차이가 다소 존재하였다. 동해안 8개 해빈의 계절적 변화를 종합하면, 여름철에는 해안선의 후퇴와 해빈의 침식이, 가을철에는 해안선의 전진과 해빈의 퇴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세계의 여러 중위도 해안의 계절적 변화 경향과는 다르지만, 우리나라 서해안 및 동해안의 선행 연구와는 대체로 일치한다. 여름철에 우세하게 발생하는 침식 현상은 태풍에 의한 폭풍파가 가장 큰 요인이며, 폭풍파에 의한 해안 침식은 늦겨울에도 잘 나타난다. 그리고 가을철에 우세한 해빈의 퇴적 현상은 여름철의 강한 침식 이후에 발생하는 해안 평형 작용의 결과로 판단된다.

  • PDF

지역별 아파트 투자성과에 관한 분석 (Analysis on the Apartment Investment Performance)

  • 강원철;김원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431-439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위험을 반영하여 지역별 아파트 투자성과를 분석하고 지역별 특성의 존재유무를 검증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해 지역별 아파트 투자성과를 장단기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02년부터 2012년의 10년간이며 대상지역은 서울의 강남 북과 6개 광역시이다. 성과평가를 위해 만기 5년의 국민주택1종 채권수익률을 무위험수익률로 사용하고 임대수익계산을 위해서는 만기1~2년 정기예금금리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장기투자성과 시에는 서울과 인천은 지역특성이 존재하지 않아 트레이너지표를 사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지방광역시는 지역특성이 존재하여 젠센지표로 평가하였다. 또 단기성과평가시에는 모든 지역에서 지역특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 젠센지표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모든 지역에서 지역특성이 작용하는 단기 성과평가 결과는 단순수익률로 평가한 결과와 전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단순 수익률로 성과평가를 할 경우에는 성과에 대한 인식을 왜곡할 수 있음이 드러났다.

디지털 뱅킹 정기예금의 소비자 행동 실태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은행 충성고객을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Consumer Behavior of Digital Banking Deposits: Focusing on Bank Loyal Customers)

  • 조인관;박수경;이봉규
    • 서비스연구
    • /
    • 제13권2호
    • /
    • pp.130-145
    • /
    • 2023
  • 금융의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은 가속화되고 있으며, 디지털 뱅킹은 이미 은행의 주요한 채널로 자리 잡았다. 은행은 전통적으로 '고객 관계 관리(CRM)'를 중요시해왔으며, 장기거래, 일정 잔액 이상의 계좌 보유, 대출 보유 등 은행에 기여도가 높은 주거래 고객, 즉 '충성고객'을 유지하고자 노력해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국내 제1금융권 디지털 뱅킹 정기예금 소비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그들의 행동 실태를 탐색적으로 분석하였다(표본수 1,145개).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세대별 디지털 뱅킹 정기예금 가입 형태를 분석한 결과 20~30대(MZ세대)는 다른 세대보다 상대적으로 휴무일에 디지털 뱅킹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은행의 기존 충성고객과 일반고객의 디지털 뱅킹 정기예금 가입의 행동 실태를 분석한 결과 예금가입 금액과 기간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의 기존 충성고객은 디지털 뱅킹에서도 거래은행에 기여도가 높은 소비자 행동을 하는 것으로 관측되었다. 또한, 금융소비자의 목표설정인 예금가입기간에 대해 고객유형과 가입일자의 상호작용을 분석한 결과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은행의 지점 수는 계속 줄어들고, 디지털 뱅킹의 점유율은 계속 증가하는 상황에서 디지털 뱅킹의 소비자 행동 실태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소비자 행동이론의 주요 개념인 충성고객(Loyal Customer), 목표 추구(Goal Pursuit), 습관(Habit)을 디지털 뱅킹 정기예금 사례로 확인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기존 시중은행과 인터넷전문은행의 고객관리 전략에 대한 실무적 지침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독도천연보호구역 해빈자갈퇴적층(몽돌 해변)의 외래 역 분포 변화 (Variation of Allochthonous Gravels in the Beach Gravel Deposit of the Island Dokdo Natural Reserve)

  • 임호성;박진수;김정훈;우현동;장윤득
    • 암석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55-269
    • /
    • 2017
  • 여러 분야에서 높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무엇보다 지질학적으로 희소성과 순수성을 지닌 독도 천연보호구역의 해빈자갈퇴적층(몽돌 해변)을 대상으로 5년간 외부에서 유입된 역 이 얼마나 분포하는지에 대해 모니터링 하였다. 연구 지역인 동도 선착장 인근 및 서도 어민 숙소 인근 해빈자갈퇴적층에서, 주로 발견되는 몽돌의 종류에는 독도에서 직접적으로 기원한 것으로 판단되는 현무암, 조면암류, 응회암류와 외부에서 유입된 것으로 판단되는 화강암, 유문암, 편마암, 규암, 대리암, 그리고 콘크리트가 있다. 2011년과 2016년의 외래 역 데이터를 비교해 보면 동 서도에서 암종의 변화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각 지역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견되는 외래 역의 순위 역시 동도에서 화강암, 콘크리트, 편마암, 그리고 서도에서 콘크리트, 편마암, 화강암 순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동도와 서도의 전체 조사 면적에 대한 외래 역 면적의 비율은 다소 감소했다. 기존 시설물의 파괴와 외래 건축 자재 유입이 해빈자갈퇴적층에 존재하는 외래 역에 대한 주요한 유입 경로로 예상되는 가운데, 전체적인 오염도가 감소했다는 점은 연구기간 동안 외래 역 유입에 대한 관리가 대체로 개선 또는 최소한 악화되지 않았다는 점을 지시한다. 한편 지속적인 낙석이 몽돌의 분포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판단되며, 낙석 영향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가 요구된다.

평면식 건조기의 적정작업조건 설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Qptimization of Operating Conditions of batch-type Grain Dryer)

  • 박경규;정창주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600-3610
    • /
    • 1974
  • Experimental work of batch-type dryer was conducted to develop its optimurm operating conditions by analyzing the major factors which affect the drying performance. A laboratory batch-type dryer was constructed and tested for various levels of heated-air rates, and depths of grain deposit. Tong-il rice variety having the initial moisture content of approximaely 23 per cent in wet basis was used for the experiment. The criteria selected for establishing the optimum operating condition were the drying performance rate, the thermal efficiency, and the operational cost of the drye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erformance rate of dryer for a specific operating condition was defined as total amount of material dried per hour when the moisture content of grains in the upperlayer reaches to 16 per cent in wet basis. The optimum operating conditions as viewed in the rate of drying performance could be justified by functional realtionship between the depth of grain deposit and air flow rate. In other words, there was a definite depth of grain deposit for a given air-rate which make the dryer performance maximum. The optimum grain depth for the batch-type dryer with 3.3㎡ loading area and with the attached axial fan was about 35cm. 2. The thermal efficiency for the dryer was evaluated by the ratio of the latent heat required to evaporate the grain moisture to the heat input required to raise the ambient air-temperature to 40 degree centigrade. The optimum operating condition as viewed in term of thermal efficiency analyzed was that grater depth and lower air flow-rate may be desirable. This condition is contracted with the optimum condition as viewed by the dryer performance rate. 3. The annual operating cost of batch-type dryer was analyzed for different annual hour of use and for different operation condition. The optimum condition as viewed in terms of operating cost was almost identical to one as viewed in terms of dryer performance rate. Therefore, the most economical use of batch-type dryer for the same annual operating hours can be obtained when the dryer operated in the condition of maximum dryer performance rate. Increasing the annual operating hour may be desirable to cut down the dryer operation cost, since the annual hour of dryer use is much sensitive to the operating cost than any peractical conditions of dryer operation. 4. The most desirable operational condition as justified by combining all the criteria, dryer performance rate, thermal efficiency and annual operating cost, could be concluded to operate the dryer in the condition of maximum performance rate. The condition in general is identical to the lowest operation cost for a given annual operating hour.

  • PDF

수치모의를 이용한 준설하천의 웅덩이 적응에 관한 연구 (Numerical Modelling of the Adjustment Processes of Minning Pit in the Dredged Channels)

  • 장창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3권10호
    • /
    • pp.921-932
    • /
    • 2010
  • 본 연구는 하천의 골재채취 혹은 하천준설로 인하여 교란된 하천의 적응과정을 하도의 평면변화에 적합하도록 일반좌표계 상에서 흐름 및 하상변동을 모의할 수 있는 2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파악하였다. 수치해석 기법으로는 흐름의 운동량 방정식에서 이류항은 CIP (Cubic Interpolated Pseudoparticle)법을 적용하였으며, 확산항은 중앙차분법을 적용하였다. 하천준설 혹은 골재채취에 의해 형성된 웅덩이는 초기에 웅덩이 상류 지점에서 급격한 두부침식이 발생하였다. 시간이 증가하면서 웅덩이는 상류에서 공급되는 유사에 의하여 되메워지고, 일정한 안식각을 유지하면서 거의 균일한 속도로 이동하였다. 웅덩이 하류에서는 하상저하가 지속되고 있다. 수치모의 결과는 이러한 과정을 잘 모의하였다. 하상경사가 급할 경우에, 웅덩이의 변화에 대하여 되메워지는 시간이 짧고, 웅덩이의 이동속도가 빠른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수치모의 결과는 실내실험 결과에 잘 일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