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ndon Sheath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1초

견관절 및 상완 이두박건 건초내에 발생한 활액막 연골종증의 치험례 -2례 보고- (Synovial Chondromatosis of the Shoulder Joint and Biceps Tendon Sheath -Two Case Report-)

  • 경희수;인주철;전인호;김용구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6권2호
    • /
    • pp.178-183
    • /
    • 2003
  • Synovial chondromatosis is a, relativly rare disease, moreover the shoulder joint is very rarely affected. The authors report two cases of synovial chondromatosis of the glenohuneral Joint and biceps tendon sheath that were managed by arthrclscopic loose body removal and partial synovectomy. Excellent subjective and objective results were obtained.

말초 신경병증을 초래한 건초주위 지방종 (Lipoma of the Tendon Sheath that Caused Peripheral Neuropathy)

  • 김세희;이용석;김재민
    • Clinical Pain
    • /
    • 제20권1호
    • /
    • pp.20-24
    • /
    • 2021
  • In this case report, we present a rare case of lipoma of the tendon sheath localized to the wrist which caused median entrapment neuropathy and was successfully treated with surgical excision. Dynamic examination using ultrasonography revealed the exact location of the lipoma. Electrodiagnostic study (EDX) was done before surgery to elucidate combined neuropathy, and surgery for ulnar neuropathy around elbow was also performed simultaneously. Diagnostic ultrasound can be used for dynamic examinations with real-time visualization.

굴곡건 손상에서 최소절개 건 봉합술 (Minimal-incision tenorrhaphy in flexor tendon injury)

  • 장주윤;오상아;강동희;이치호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6권4호
    • /
    • pp.516-518
    • /
    • 2009
  • Purpose: To retrieve the retracted flexor tendon, additional incision and wide dissection are conventionally required. We introduce minimal - incision tenorrhaphy using 1 cm - length incision and minimal dissection. Methods: Transverse incision about 1 cm - length is made over the level of retracted tendon. Nelaton's catheter is advanced into tendon sheath from distal primary laceration wound to emerge proximally through the incisional wound. Catheter is sutured to proximal tendon in end - to - end fashion. By gently pulling the catheter, retracted tendon is delivered to distal wound. Tenorrhaphy with core suture and epitendinous suture is then carried out. Results: This retrieving technique provides minimal incision, minimal dissection, minimal bleeding, minimal injury to tendon end, and shorter operation time with preservation of vincula tendinum and pulley system. Conclusion: In case of flexor tendon rupture with retraction, this operative method is believed to allow reliable and effective tenorrhaphy and excellent postoperative outcomes.

수부에서 발생한 건초의 거대 세포종 (Giant Cell Tumor of Tendon Sheath in Hand)

  • 강호정;김기학;신규호;한수봉;강응식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0-27
    • /
    • 2001
  • 목적 : 건초에서 생긴 거대세포종은 수부에서 발생하는 종양 중 두 번째로 흔하나 절제술 후에 재발이 드물지 않으며 국내에서의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완관절부를 포함한 수부에 생기는 건초의 거대세포종의 임상적 특성과 수술적 치료후 결과를 분석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1년부터 1998년까지 수부에서 발생한 종물로 절제생검술을 시행받은 환자 중 조직병리학적으로 건초의 거대세포종으로 진단받은 총 38명, 41예에 대해 성별, 나이, 증상, 증상발현기, 종양이 발생한 부위, 발생한 건, 크기, 다발성 여부, 양측성 여부, 방사선학적 소견 및 골 침범, 재발여부 등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추시기간은 평균 13.1개월(5~40개월)이었다. 결과 : 38명 중 여자에서 29명으로 빈발하였고, 발생연령은 6세에서 66세까지 다양하였으나 50대에서 12례로 가장 호발하였으며 평균연령은 40.1세였다. 지배수지와 비지배수지의 발생경향은 비슷하였고(17례:21례), 모두 일측성이었다. 신전건(17례)보다 굴곡건(24례)에서 더 호발하였으며 증상발현기는 2개월에서 120개월(평균 23.4개월)이었다. 증상으로 대부분 무통성 종물을 호소하였으나, 5례에서 압통, 36례에서 운동장애, 5례에서 압박에 의한 신경증상을 호소하기도 하였다. 재발을 주소로 내원한 경우가 3례였다. 부위별 발생빈도는 수지에서 36례, 수장부에서 3례, 완관절부위 장측에서 2례 순으로 빈발하였으며, 수지별 발생빈도는 인지에서 14례(34%)로 가장 많았고, 엄지가 10례(24%), 중지는 9례, 환지는 5례, 소지는 3례의 빈도순을 보였다. 수지상 발생부위는 원위지골간 관절부 및 중위지골부에서 20례(48.8%), 근위지골 및 근위지골간 관절부가 9례, 중수지절관절부가 7례 순으로 호발하였다. 방사선학적 소견상 연부조직에 방사선 비투과적인 균일한 연부조직 음영을 보이고 있었고 3명에서 피질골 미란을 보였다. 37명에서 종양은 단발성 병변이었으나 이 중 4명에서 다엽상으로 넓게 분포하였고, 1명에서 다발성 병변을 보였다. 변연부 절제술후 재발된 경우가 2명으로 재발율은 5.1%였다. 결론 : 수부에서 발생한 건초의 거대 세포종은 호발조건으로 50대, 여성, 인지, 굴곡건, 수지 원위부를 추정해 볼 수 있었으며, 불완전한 변연부 절제술을 시행하거나, 수술 후 재발한 경우, 다발성, 다엽상 소견을 보인 경우 재발이 잘 되므로 이 경우 광범위 절제술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비전형적 거대세포종의 치험례 (Atypical Giant Cell Tumor: A Case Report)

  • 황소민;안성민;정필구;오경석;김진형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4권6호
    • /
    • pp.796-798
    • /
    • 2007
  • Purpose: Giant cell tumor is the second most common benign neoplasm in upper extremity. Unlike usual chief complaint of painless mass, an atypical case with giant cell tumor presented a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of which accompany pain and tenderness and is histologically giant-cell free. Methods: A 31-year-old male patient complained of a rapid growing painful mass on the proximal phalanx of the left ring finger. Under microscopic operation, a $1.6{\times}1.3cm$ sized mass was found to be surrounded by areolar tissue and attached to a tendon sheath, encircling the digital nerve and artery. Diagnostic confirmation was assisted by positive finding in histologic immunohistochemical stain-CD68. Characteristic pathologic finding is an atypical distribution of spindle cells & histiocytes without giant cells in fascicular pattern. Results: Giant cell tumor was carefully removed under microscopic approach, while preserving digital nerve & artery. In postoperative 13th month, the patient presented with a 6mm of static two-point discrimination test, similar to that of the adjacent fingers. Conclusion: We report an atypical case with painful mass on tendon sheath, surrounding the digital nerve and artery that was diagnosed of giant cell tumor, but without giant cells on pathology. This case provides broader understanding of the giant cell tumor that should not only rely its typical findings of the painless mass and positive sign on H&E stain.

관절경을 이용한 더러브렛 말의 급성 감염성 건초염 치료 13증례 (Tenoscopy for Acute Septic Digital Flexor Tenosynovitis Treatment in 13 Thoroughbred Horses)

  • 서종필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5
    • /
    • 2016
  • 말에서 Digital flexor tendon sheath (DFTS)의 감염성 건초염은 치명적인 질병이다. 본 연구에서는 관절경을 이용한 말 DFTS의 감염성 건초염 치료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DFTS에 급성 감염성 건초염이 발생한 13마리의 더 러브렛 말에 관절경 수술을 실시하였다. 수술시간은 56-148분(평균 85.6분, 중간값 84.0분)이였다. 활액검사에서 평균 백혈구수, 평균 중성구 비율, 평균 총단백질 수치는, 각각 $42.9{\times}103cells/{\mu}l$ (range, $7.2-109.5cells/{\mu}l$), 89.5% (range, 68-97%), 4.0 g/dl (range, 2.5-5.2 g/dl)이였다. 활액의 세포배양 검사를 실시한 11두중 2두에서 세균의 증식이 관찰되었다. 모든 말들은 부작용 없이 회복되어 원래의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말 DFTS의 급성 감염성 건초염에서 관절경 수술은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수부 건초에서 발생한 거대 세포종 (단발성 및 다발성 거대 세포종의 비교) (Giant Cell Tumor of Tendon Sheath in Hand (Comparative Studies Between Single and Multifocal Lesions))

  • 이승구;강용구;박원종;양성철;신윤학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2-60
    • /
    • 2003
  • 목적: 건초에서 발생하는 거대 세포종(황색종)은 수부에서 발생하는 양성 연부조직 종양중 낭종 다음으로 흔하며, 수술 절제후, 간혹 재발 되기도 한다. 대부분 단발성으로 발생하나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에서는 다발성이며 대칭적 발생을 보인다. 저자들은 수부 건초에서 발생한 거대세포종의 임상적 특성과 수술 절제후 장기 추적 결과를 분석하였고, 특히 단발성 및 다발성 거대세포종 환자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부터 2002년까지 만 8년간 본 병원에서 수술 가료후 건초의 거대세포 종으로 확진된 총 21예(다발성 3예 포함)를 대상으로 임상 및 X-선상 분석을 하였으며, 수술 절제후 평균 16개월(3~46개월) 추적하여 재발여부 및 단발성과 다발성 거대세포종의 임상 과정을 비교 하였다. 결과: 총 21예중 14예(66.7%)가 여자였으며 40대에서 16예(76.2%)로 빈발하였고 평균 연령은 47세(19~68세)였다. 단발성 거대세포종 18예중 수지별 발생은 인지와 환지가 각4예씩, 소지(3예), 중지(2예) 및 모지(1예)의 순이었고, 수장부의 발생이 4예였다. 원위 및 중위 지골 부위가 9예(50%), 근위 지골 부위가 4예, 중수지골 및 중수지절 부위가 2예였다. 신전건(7예)보다 굴곡건(11예) 건초 이환이 더 많았고(양측 건이환 3예), 증상 발현에서 수술까지의 지연은 평균 14개월(3~48개월)이였다. 다발성 거대세포종 3예중 1예는 인지와 중지의 중위지골 부위에 발생하였고, 2예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을 동반한 20대 남자들에서 대칭적 거대세포종이 수부를 포함하여 22곳 및 12곳등 다발적 이환을 보였고, 외형상의 돌출로 보기 흉하거나 기능 제한을 초래하는 부위만 선택적으로 아전절제하였다. X-선상 연부조직 음영 증가외 4예에서 종괴의 압박에 따른 피질골 미란과 파열소견을 보였다. 수술시 3예에서 수지 신전건과 굴곡건의 양측 건초를 모두 침범하는 넓고 큰 다엽상 소견을 보였으며, 평균 16개월 추적중, 총 18예중 3예에서 재발(16.7%)하였다. 이들 재발예는 단발성 거대세포종중 굴곡건과 신전건 건초를 광범위하게 다엽상 이환을 하였거나 술전 X-선상 골피질의 파열이나 골미란등이 있어 불완전 절제를 시행한 경우들이었으며, 재 광범위 절제 하였고 추적 관찰 중이다. 단발성 및 다발성 거대세포종은 종괴의 병리 조직학상 유사함을 제외하면, 발생 기전이나 침범 부위와 정도, 동반 질환은 물론 치료와 예후에도 차이가 많아 서로 다른 질환으로 판단된다. 결론: 수부의 건초에서 발생하는 거대세포종(황색종)은 드물지 않은 종양으로 완전 절제가 필수적이며, 특히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에서는 다발성 건 황색종을 동반 할수 있어 치료에 유의해야 한다.

  • PDF

수부 신근건내 결절종 (Clinical Experience of Intratendinous Ganglion in the Extensor Tendon of Hand)

  • 이중호;정성노;권호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2권2호
    • /
    • pp.259-261
    • /
    • 2005
  • Ganglion is the most common soft tissue tumor of the hand, and most of them usually arise from the scapholunate ligament, scarphotrapezial ligament, radiocarpal joint or flexor tendon sheath. However, intratendinous ganglion is very rare with unknown etiology and pathogenesis that originates within tendon. We have experienced three clinical cases of intratendinous ganglion in extensor tendons of hand. The average of patients at operation was 36 years. All patients were treated by excision of the ganglion in conjunction with tenosynovectomy followed by repair of the tendon. The length of mean follow up time was 6.7 months and all of them showed no evidence of recurrence.

가토의 굴곡건 손상모델에서 Mitomycin-C가 인대 유착 방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itomycin-C on Preventing Adhesion of Injured Flexor Tendon in Rabbit Model)

  • 성정화;강소라;김양우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7권4호
    • /
    • pp.329-334
    • /
    • 2010
  • Purpose: Adhesion after flexor tendon injury is a result of fibrosis between tendon and tendon sheath. This, finally interfere with gliding mechanism of tendon and results in functional problem of hands. Therefore, there have been many trials to reduce adhesion around the tendon. However, there is no standard procedure clinically practiced in hospitals. Mitomycin-C is an antineoplastic alkylating agent that decrease fibroblast proliferation and scar formation. It is commonly used in many surgery to reduce postoperative adhesion. This study was designed to observe the effect of Mitomycin-C on preventing adhesion in injured flexor tendon. Methods: The deep flexor tendon of digit 2 and 4 in the left forepaw of 15 New Zealand White rabbits were subjected to partial tenotomy. In study group, injury site was exposed to a single 5-minute application of Mitomycin-C, and in control group was left untreated. Digit 2 and 4 in the right forepaw of each rabbit were considered as nonadhesion control group. After 2 weeks, the animals were sacrificed and digits were amputated for biomechanical test and histological study. Results: In biomechanical study to measure yield point, mean yield point of non-adhesion control was $17.43{\pm}2.33$ and $25.07{\pm}4.03$ for adhesion control, which proves increase of adhesion in adhesion control group (p<0.05) in 95% confidence. In Mitomycin-C group, mean yield point was $12.71{\pm}4.97$. Compared with adhesion control, there was decrease in adhesiveness in Mitomycin-C group (p<0.05) in 95% confidence. In histological study, the result of adhesion control revealed massive adhesions of bony structure, fibrotic tissue and tendon structure with ablation of the border. However in Mitomycin-C group, we could find increased fibrotic tissue, but adhesion is much lesser than adhesion group and borders between structures remain intact.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Mitomycin-C can significantly reduce adhesion of injured flexor tendon in rabbit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