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mporal storage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29초

도시 하수도망의 수문학적인 평가와 설계확률유량의 점대화 성향에 관한 연구(제1보) (A Study on Hydrologic Analysis and Some Effects of Urbanization on Design Flow of Urban Storm Drainage Systems (1))

  • 강관원;서병하;윤용남
    • 물과 미래
    • /
    • 제14권4호
    • /
    • pp.27-34
    • /
    • 1981
  • The design flow of the urban strom drainage systems has been assessed largely on a basis of empirical relations between rainfall and runoff, and the rational formula has been widely used for the cities in our country. In order to estimate it more accurately, the urban runoff simulation model based on the RRl method has been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sample basin in this study. The rainfall hyetograph of the design stromfor the design flow has been obtained by the determination of the total rainfall and the temporal distributions of that rainfall. The total rainfall has been assessed from the empirical formula of rainfall intensity and the temporal distribution of that rainfall determined on the basis of Huff's method from the historical rainfall data of the basin. The virtual inflow hydrograph to each inlet of the basin has been constructed by computing the series of discharges in each time increment, using design strom hyetograph and time-area diagram. The actual runoff hydrograph at the basin outlet has been computed from the virtual inflow hydrographs by developing a relations between discharge and storage for the watershed. The discharge data for verification of the simulated runoff hydrograph are not available in the sample basin and so the sensitivity analysis of the simulation model has not been possible. The peak discharge for the design of drainage systems has been estimated from the computed runoff hydrograph at the basin outlet and compared to thatl obtained form the rational formula.

  • PDF

변경 집합을 이용한 온톨로지 버전 관리 기법 (Ontology Versions Management Schemes using Change Set)

  • 윤홍원;이중화;김정원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2권3호
    • /
    • pp.27-39
    • /
    • 2005
  • The Semantic Web has increased the interest in ontologies recently Ontology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the semantic web and continues to change and evolve. We consider versions management schemes in ontology. We study a set of changes based on domain changes, changes in conceptualization, metadata changes, and temporal dimension. Our change specification is represented by a set of changes. A set of changes consists of instance data change, structural change, and identifier change. In order to support a query in ontology versions, we consider temporal dimension includes valid time. Ontology versioning brings about massive amount of versions to be stored and maintained. We present the ontology versions management schemes that are 1) storing all the change sets, 2) storing the aggregation of change sets periodically, and 3) storing the aggregation of change sets using an adaptive criterion. We conduct a set of experiments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each versions management schemes. We present the experimental results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three version management schemes from scheme 1 to scheme 3. Scheme 1 has the least storage usage. The average response time in Scheme 1 is extremely large, those of Scheme 3 is smaller than Scheme 2. Scheme 3 shows a good performance relatively.

  • PDF

설마천 사면의 토양층 저류량의 분포양상에 관한 연구 (Distribution of Soil Water Storage at a Hillslope in Sulmachun Watershed)

  • 장은세;김상현;이정훈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88-98
    • /
    • 2016
  • 설마천 유역의 범륜사 사면에서 2010년 3월26일에서 동년 11월 30일까지 측정된 토양수분자료를 이용하여 사면에서의 저류 특성을 산정하고 분석하였다. 측정지점들을 위치와 특성에 따라 A, B 단면 C 지역으로 구분하여 저류변수들을 계절별로 분석하였으며, 지점별 초과유출과 저류상수도 계산하였다. 설마천의 측정된 토양수분자료를 이용하여 저류량의 시공간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시간적인 저류량의 변동양상은 봄철에 식생의 활동으로 저류량이 낮게 나타났고, 여름철에 강우사상에 의한 증가를 보이다가 가을철과 겨울철에 건조기간으로 인해 감소현상이 나타났으며, 공간적인 저류량의 변동양상은 상부사면은 충전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부사면은 상부사면보다 높은 초기 저류량을 가지며 일정량을 유지하는 특성이 나타났고, 하부사면은 강우사상에 의한 증가폭이 크며 감쇄는 완만하게 나타나 상부로부터의 기여와 충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토양수분과 증발산으로 추정된 유량과 하부지점인 전적 비교에서 관측된 유량을 비교하였을 때 계절별, 위치별 상이한 연관성이 나타났다. 하부지점으로 갈수록 상관 관계가 높게 나타났고 완충지점인 C단면에서 비교적 높은 연관성이 나타났다. 계절별로는 여름철과 하부지점에서 계산된 유량이 높게 나타난 것을 알수 있는데 이는 하부지점이 사면유출발생 지점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것이다. 이와 같은 지점별 유량의 발생은 시간적인 요인보다는 공간적인 특성에 제어되고 있다고 판단된다. 유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저류상수 K의 거동은 계절별로는 여름철과 가을철에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여름철에 많은 강우량으로 인해 저류상수가 높게 나타났고 가을철에 저류상수가 높게 나타난 것은 가을철 토양수분의 충전현상이 발달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지점별로 하부지점으로 갈수록 저류상수 값이 증가 하였다. 이는 상부사면으로부터의 기여와 충전으로 설명될 수 있다.

광릉 산지사면에서의 선행강우지수와 토양저류량 비교연구 (Soil Water Storage and Antecedent Precipitation Index at Gwangneung Humid-Forested Hillslope)

  • 곽용석;김수진;이은형;함세영;김상현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0-4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강우-유출모델링에서 선행습윤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자주 사용되는 여러 선행강우지수를 활용하여, 실제 측정된 토양수분자료들로부터 평가된 토양 저류량과의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선행강우지수와 측정된 토양저류의 변화특성을 이용하여, 이전연구들에 비해 보다 명확한 관계를 이끌어낼 수 있었다. 이 관계를 바탕으로 약 2년여동안의 강우자료만을 통해 일 토양저류량을 모의하였으며, 측정된 일 토양저류량 값과 비교를 하였다. 모의된 토양저류량은 실제 측정된 토양저류량의 변화를 대체적으로 잘 묘사하고 있지만, 식생의 계절적인 변화와 영향과 관련한 수문학적 과정들의 변화로 인해 다소 차이가 있었다. 비록 본 연구결과가 경험 식으로부터 도출되었지만, 미 계측유역에서의 선행습윤상태를 파악하는 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동림저수지에서 월동조류 개체군의 시계열적 변화와 환경 요인 (Temporal variation of wintering bird popula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Donglim reservoir)

  • 박종철;김우열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23-229
    • /
    • 2017
  • 본 연구는 동림저수지에서 지난 18년(1999~2016)동안 1월에 조사한 조류자료를 대상으로 시계열적 변화와 환경 요인과의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조사 자료는 '겨울철 조류 동시센서스'를 활용하였고, 연도별 개체군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주성분 분석과 군집분석을 사용하였다. 환경 요인은 1월 평균 기온과 평균 저수율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조류의 개체군 변화는 2개의 물새 그룹과 산새 그룹 1개의 증감으로 설명될 수 있다. 물새 그룹의 개체수가 증가하는 시기는 산새 그룹의 개체수가 증가하는 시기에 비해 월평균기온이 $1.4^{\circ}C$ 이상 높았다. 이에 비해 저수율의 영향은 분명하지 않았다. 기온의 영향을 받는 가창오리의 도래 여부는 나머지 하나의 물새 그룹과 산새 그룹에 모두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다. 이 연구 결과는 기온 변화가 조류의 광역적인 공간 분포에 영향을 미치고, 가창오리와 같이 개체군이 큰 종 또는 무리의 이동은 조류의 지역적인 종구성과 개체수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광역적인 규모에서의 환경 변화와 그에 따른 종 분포의 변화에 대한 이해는 지역적인 규모에서 조류 개체군의 시계열적 흐름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비선형 유하시간 곡선식을 이용한 하도 홍수추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nnel Flood Routing Using Nonlinear Regression Equation for the Travel Time)

  • 김상호;이창희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48-153
    • /
    • 2016
  • 하도 홍수추적과 관련하여 하천에서의 시 공간적 홍수파를 해석하는데 수리학적 방법과 수문학적 방법이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되어 왔다. 수문학적 홍수추적 방법은 수리학적 방법에 비해 수행하기에는 비교적 간단하면서도 합리적인 정확성을 지닌다. 수문학적 홍수추적 방법 중 광범위하게 적용되어지고 있는 Muskingum 모형의 중요 변수인 저류상수는 유하시간과 매우 유사한 값을 가진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저류상수를 산정하기 위해 HEC-RAS를 이용한 유하시간을 산정하고, 하도거리, 하도경사, 유량 자료를 이용하여 유하시간에 대한 비선형 회귀곡선식을 개발하였다. 비선형 회귀곡선에 의해서 산정된 저류상수를 Muskingum 모형에 대입하여 구한 유출량은 HEC-RAS 1차원 부정류 모의를 적용하여 산정된 유출량과 비교하였다. 이와 함께 본 연구에서는 가중인자에 대한 영향 및 상하류 사이의 구간 분할에 대해서 검토하였는데, 그 결과 가중인자 값이 클수록 첨두홍수량이 올라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간 분할을 많이 할수록 RMSE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명령어 플래시 메모리를 위한 고성능 이중 버퍼 시스템 설계 (The Instruction Flash memory system with the high performance dual buffer system)

  • 정보성;이정훈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8
    • /
    • 2011
  • NAND형 플래시 메모리는저전력, 저렴한 가격, 그리고 대용량 저장매체로 하드디스크 대용을 위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기존의 캐쉬 구조인 버퍼 시스템을 이용한 플래시 메모리의 성능향상 연구가 이루어지지만 대부분이 데이터 관련 연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캐쉬 구조의 버퍼를 이용한 고성능 명령어 플래시 메모리를 구현하였다. 제안된 명령어 플래시 메모리 시스템은 분기 명령어를 위한 시간적 버퍼(victim buffer), 명령어의 대표적인 특징인 순차적 인출을 위한 공간적 버퍼(spatial buffer)로 이루어져 있다. 즉, 제안된 명령어 플래시 메모리의 공간적 버퍼는 큰 페칭 크기를 가지므로 명령어의 순차적 인출에 효과적이며, 작은 페칭 크기를 가지는 시간적 버퍼는 공간적 버퍼에 참조된 명령어를 저장하게 되므로 다시 참조를 위한 분기 명령어에 효과적이다. 시뮬레이션 결과 평균 접근 실패율의 경우 미디어 응용군에 대해 4배 크기의 2-웨이 버퍼, 희생 버퍼, 그리고 2배 크기의 완전연관 버퍼에 비해 평균 77%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H.264 SVC에서 비트 스트림 추출을 위한 공간과 시간 해상도 선택 기법 (Spatial and Temporal Resolution Selection for Bit Stream Extraction in H.264 Scalable Video Coding)

  • 김남윤;황호영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02-110
    • /
    • 2010
  • H.264 SVC(Scalable Video Coding)는 디스크 저장 공간 효율성과 높은 확장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스트리밍 서버나 단말기는 비트 스트림을 효율적으로 추출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가용 대역폭을 넘지 않으면서 최대의 PSNR을 얻기 위한 SVC 비트 스트림 추출 기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오프라인시에 최대의 PSNR을 얻기 위한 추출 지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 후, 온라인시에 네트워크 가용 대역폭을 만족하는 비트 스트림의 공간/시간 해상도를 결정한다. 이러한 공간/시간 해상도 정보는 네트워크 가용 대역폭과 함께 비트 스트림 추출기의 입력 파라미터로 사용된다. JSVM 참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실험을 통하여 본 논문에서 제시한 추출 기법이 높은 PSNR을 제공함을 증명하였다.

NAND 플래시메모리를 위한 가상메모리의 쓰기 참조 분석 및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설계 (Analyzing Virtual Memory Write Characteristics and Designing Page Replacement Algorithms for NAND Flash Memory)

  • 이혜정;반효경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6권6호
    • /
    • pp.543-556
    • /
    • 2009
  • 최근 NAND 플래시메모리를 모바일시스템의 파일저장용 뿐 아니라 가상메모리의 스왑장치용으로 사용하려는 시도가 늘고 있다. 가상메모리의 페이지 참조는 시간지역성이 지배적이어서 LRU 및 이를 근사시킨 CLOCK 알고리즘이 널리 사용된다. 한편, NAND 플래시메모리는 읽기 연산에 비해 쓰기 연산의 비용이 높아 이를 고려한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가살메모리의 읽기/쓰기 참조 패턴을 독립적으로 분석하여 시간지역성이 강한 읽기 참조와 달리 쓰기 참조의 경우 시간지역성의 순위 역전 현상이 발생함을 발견하였다. 이에 근거하여 본 논문은 쓰기의 재참조 성향 예측을 위해 시간지역성뿐 아니라 쓰기 연산의 빈도를 함께 고려하는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새로운 알고리즘은 연산별 I/O 비용을 고려해서 메모리 공간을 읽기 연산과 쓰기 연산에 독립적으로 할당하고 참조 패턴의 변화에 적응해 할당 공간을 동적으로 변화시킨다. 알고리즘의 시간 오버헤드가 매우 적어 가상메모리 시스템에서 사용될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으며 파라미터 설정이 필요 없음에도 CLOCK, CAR, CFLRU 알고리즘에 비해 20-66% 정도의 I/O 성능을 향상시킴을 보였다.

대중교통 네트워크 중심의 접근성을 기준으로 한 제주도 대중교통 개편 효과 분석 - 대중교통 통행시간의 시간적 변동을 고려하여 - (Analysis of Jeju Public Transit System Reorganization Effect Based on Accessibility of Public Transit Networks - Considering the Temporal Variability of Public Transit Travel Time -)

  • 심재웅;조기혁
    • 국토계획
    • /
    • 제54권6호
    • /
    • pp.68-79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transit accessibility analysis method based on temporal variability of travel time. In this study, transit accessibility was defined in three levels (in transit route, spot and region unit) to present findings from different spatial scopes. Recently,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reorganized bus system of the island. To compare transit accessibility before and after transit policy implementation, the reorganized bus system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as selected as a case study. This study used General Transit Feed Specification (GTFS) data format as storage public transit information, and calculated travel time using ArcGIS GTFS networks analysis tools. In the analysis of individual transit route level, we found the 3 types of accessibility changes which is increments, no significant changes and reductions and these results come from transit route change (number of transfer, distance change) rather than changes of vehicle interval. We found increases of inflow and outflow speed in most target spots and overall transit accessibility has been substantially improved in Jeju island. This study implies that accounting for temporal variability of travel time in accessibility analysis can result in more useful and sophisticated accessibility information in decision-making proces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