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mpered glass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6초

광개시제, 올리고머 그리고 Talc 함량에 따른 아크릴계 코팅제의 UV경화 및 박리특성 (UV Curing and Peeling Characteristics of Acrylic Coating Ink with Various Amounts of Photoinitiator, Oligomer and Talc)

  • 양지우;서아영;이철우
    • 공업화학
    • /
    • 제24권5호
    • /
    • pp.499-506
    • /
    • 2013
  • 전자 통신 산업의 발달로 터치 패널용 강화유리의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판유리 가공 공정 중 유리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UV경화형 코팅용액의 사용량이 함께 증가하고 있다. UV경화형 코팅은 열경화형에 비해 경화시간이 매우 짧고, 용제를 사용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알칼리에 의한 박리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산성 고분자 styrene-acrylic acid copolymer를, 모노머로는 아크릴기가 각각 1개, 2개, 6개인 2-hydroxyl methylacrylate, 1,6-hexanediol diacrylate 그리고 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를 사용하였다. 광개시제로는 HP-8, TPO 및 DETX 3종을 조합하여 사용하였고 올리고머로는 bisphenol A epoxy diacrylate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산성 고분자와 아크릴계 모노머의 함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광개시제, 올리고머, 그리고 첨가제인 talc의 함량을 변화시키며 실험을 수행하여 광개시제에 따른 제반 물성의 연계성을 고찰하였다. 시험결과 두 가지 이상의 광개시제를 사용해야 경도를 4H 이상 얻을 수 있었고 특히 TPO를 첨가하면 코팅막의 박리 형태를 시트형태로부터 조각형태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올리고머 함량이 증가하면 경도와 접착성이 증가하지만 박리시간 역시 증가하였고 talc 함량은 20 wt%에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스마트 기기용 강화유리&사파이어 유리 전용 가공기의 진동해석을 통한 설계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Improvement by Vibration Analysis of Hardened Glass & Sapphire Machining Equipment for Smart IT Parts Industry)

  • 조준현;박상현;안범상;이종찬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51-56
    • /
    • 2016
  • High brittleness is a characteristic of glass, and in many cases it is broken during the process of machining due to processing problems, such as scratches, chipping, and notches. Machining defects occur due to the vibration of the equipment. Therefore, design techniques are needed that can control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equipment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empered glass.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machine tool via vibration analysis (computer simulation) must be accurately understood to improve the design to ensure the stability of the machine.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natural frequency, 3D modeling, which is the same as actual apparatus, was used and a constraint condition was also applied that was the same as that of the actual apparatus. The maximum speeds of ultrasonic and high frequency, which are 15,000 rpm and 60,000 rpm, respectively, are considerably faster than those of typical machine tools. Therefore, an improved design is needed so that the natural frequency is formed at a lower region and the natural frequency does not increase through general design reinforcement. By restructuring the top frame of the glass processing, the natural frequency was not formed in the operating speed area with the improved design. The lower-order natural frequency is dominant for the effects that the natural frequency has on the vibration. Therefore, the design improvement in which the lower-order natural frequency is not formed in the operating speed area is an optimum design improvemen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ontrol the vibrations by avoiding resonance with simple design improvements.

구획화재 시 국부복사열에 노출된 유리면의 수막접촉에 따른 급냉파열특성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Interaction of Water Sprayed Curtain on Hot Surface of a Window Glass and its Effects on Glass Surface Temperature in Room Fires)

  • 박형주;지남용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124-130
    • /
    • 2003
  • 본 연구는 방화구획에 적용 가능한 수막형성유리벽에의 직근에 화원이 위치하는 경우 국부복사열에 의해 수막형성전 유리면이 가열된 상태에서 상부 수막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수막이 접촉함에 따른 급냉파열현상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이다. 유리면 직근에서 국부복사열을 주는 실화재실험을 실시하여 분석하면 보통유리는 유리면 포면온도(가열측)가 $100^{\circ}C$를 넘는 경우에 수막을 접촉시킬 경우 파열이 발생하며, 강화유리는 유리 가열면 온도가 $250^{\circ}C$이상일 때 수막형성에 의한 급냉 파열이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향후 강화유리에 수막을 도포시키는 현재 방화구획에 사용되고 있는 유리의 대다수가 강화유리인 것을 감안하면 수막의 도포이전에 강화유리면의 온도가 $300^{\circ}C$이내에서는 수막을 유리면에 급속히 접촉시켜도 유리면의 급냉 파열이 일어나지 않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일정한 공간구획 내에서 화재발생시 유리면의 직근에 화원이 위치하여 국부적으로 복사열을 가할 경우에도 화원상부 천정면에 설치된 감지시스템에 의해 한계온도이전에 수막형성시스템을 작동시켜 급냉파열현상을 발생시키지 않는다면 수막형성유리벽을 실제 방화구획의 경계벽으로 사용하는데 있어서 예측가능한 장애요인을 제거하는 데 비약적인 공헌을 한 것에 그 의미를 둔다.

태양전지와 박판강화유리의 모듈화와 그 특성 (Modularization of solar cell and thin glass tempered and its characteristics)

  • 김성진;반태호;샤로프;김문협;박노진;정순욱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92-392
    • /
    • 2009
  •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의 모듈화에는 일반적으로 저철분 강화유리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 경우 모듈화를 위해서는 3-5mm 두께의 강화유리를 EVA film을 사용하여 유리와 solar cell을 접착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0.7mm 두께의 강화 유리를 사용하고, EVA film을 사용하지 않는 방법으로 초경량의 모듈을 제작하고, 그 특성을 비교하였다. 그결과 박판강화유리를 이용한 경량 실리콘 태양전지의 모듈화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강화유리의 두께가 아주 얇기 때문에 발생하는 module의 bending 현상에 의한 silicon cell의 파괴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었으며 이를 위한 bending 방지기술의 개발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선효과로는 솔라셀 모듈의 에너지변환효율은 동일한 솔라셀을 사용하여 일반 3mm 급의 저철분강화유리로 제작한 모듈에 비해서 약 20% 개선효과가 있었으며, 경량화에는 Al계 금속 지지대를 제외한 모듈만을 비교하여 무게의 감량을 비교한 결과 70%이상의 감량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연구를 통한 개발품은 BIPV형 solar cell module로 이용가치가 기대된다.

  • PDF

경량 태양광발전 블라인드 개발 및 제어조건에 따른 음영분석 (Developing the Light-weight PV Blind System and the Shading Analysis by the Control Conditions)

  • 정유근
    • KIEAE Journal
    • /
    • 제15권1호
    • /
    • pp.83-88
    • /
    • 2015
  • This study aims to develope the light-weight PV blinds with windows and to investigate the shading analysis by the control conditions. For the study, the polycarbonate characteristics and coating methods are analyzed and the PV blind design for a small office is suggested. Also, the mock-up model of a suggesting system was made. The field tests were controled based on a solar altitude under clear sky conditions. As results, it is necessary to use a polycarbonate instead of a tempered glass for a light-weight PV. The shading effects of blind systems are high in slat angle $30^{\circ}$ and low in $0^{\circ}$. Also, the shading ratio is more affected by solar latitude than solar altitude. The shading change rate is relevantly constant on the solar altitude.

옥외용 고분자 애자의 기술 현황 (State-of-the-Art of Polymer Insulators)

  • 한기만;김동욱;권혁삼;오무원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2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B
    • /
    • pp.886-890
    • /
    • 1992
  • Recent investigations have been made on polymer Insulators of various types. The findings are related to experience on operational lines in foreign countries, design concepts, materials and tests about outdoor properties. Over last decade improvements have been occured in the design and construction techniques of polymer insulators. Fo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lines, it may be advantageous or even necessary to replace, the conventional porcelain or tempered glass insulators by lighter polymer insulators which have better mechanical properties.

  • PDF

태양광 폐 모듈의 처리현황 및 실용화 기술 (Current Status and Utilization Technology of End-of-Life Photovoltaic Modules)

  • 조재영;박아름;윤현목;전연수;김준수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9권4호
    • /
    • pp.15-30
    • /
    • 2020
  • 최근에 태양광 발전 시설이 급격히 증가됨에 따라 사용 후 태양광 모듈의 발생량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태양광 폐 모듈의 리싸이클링은 일부 국가에서 시도하고 있지만, 경제성이 확보된 실용화 기술의 부재로 폐 모듈이 방치 및 폐기되어, 환경오염은 물론 유가자원 회수 측면에서도 많은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으므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이와 같은 현실에 비추어 본 기술개발에서는 폐 모듈의 성능검사, 알루미늄 프레임 해체, 강화유리의 파분쇄 및 박리, back sheet 및 EVA의 분리 제거, 유가금속의 침출과 침전 회수 및 폐액 처리의 기반 기술을 확립한 다음, 이를 기초로 대단위 처리 시설을 설계 제작 및 운전함으로써 실용화기술을 확립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단위 시험을 통하여 1 ton/day 규모의 폐 모듈 처리의 최적 조건을 확립한 다음, 얻어진 자료를 근거로 경제성 검토를 실시하였다. 프레임 해체 및 강화유리 박리 공정까지는 경제성이 있었으나, 유가금속 회수를 포함한 전체 공정을 포함하면 생산자 책임(EPR) 제도의 시행에 따른 재활용 분담금의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 경제성이 박약하였다. 향후 태양광 폐 모듈의 수거, 재사용 인증기준, 철거비 부담, 효율적인 처리 기술 확보, 관련 법규제정 및 EPR 제도 등의 문제가 해결된다면, 경제성 확보가 용이하여 상용화가 가능할 것이다.

ETFE 필름을 적용한 태양광 모듈의 전기적 출력 및 신뢰성에 관한 연구 (Electrical Output and Reliability of Photovoltaic Module Using Ethylene Tetrafluoroethylene Film)

  • 신우균;임종록;고석환;강기환;주영철;황혜미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40권4호
    • /
    • pp.13-22
    • /
    • 2020
  • As the supply of photovoltaic (PV) increases worldwide, the cumulative installations in 2018 were 7.9 and 560 GW in Korea and the world, respectively. Typically, when the ground on commercial PV modules is installed, the area is limited; hence, new designs of PV modules are required to install additional PVs. Among the new design of PV modules, lightweight PV modules can be utilized in PV systems, such as buildings, farmlands, and floating PV. Concerning the investigation of lightweight PV modules, several studies on materials for replacing low-iron tempered glass, which comprises approximately 65% of the PV module weight, have been conducted. However, materials that are used as substitutes for glass should possess similar lightweight properties and reliability as glass. In this study, experimental test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ethylene tetrafluoroethylene (ETFE) film with excellent resistance to water and aging as a front material of PV modules. The transmittance and ultraviolet properties of the ETFE film were determin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glass. A 1-cell module and laboratory-scale 24-cell module were manufactured using the ETFE film and glass, and the electrical output was measured and analyzed. Furthermore, damp heat and thermal cycle tes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reliability of the ETFE film module.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electrical output and reliability of the ETFE film module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glass module, and the ETFE film could be used as the front material of PV modules.

Study as to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High Tech Furniture Design -Laying Stress on Correlation between Technology Art and Furniture Design-

  • Kim, Kyoung-Soo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439-446
    • /
    • 2008
  • High Tech Design manner is a design concept that had been constantly discussed in constitution process of the West art history and modem ideology and had been experimented in industry, having started from futurism and structuralism in the early 20th century through Kinetic Art & Technology Art and up to now. High Tech Design had a great influence also on Post Modernism and more important is that this manner of design will be existing continually in the future too. From the modem times when machine civilization started, the artist and designers expressed a utopia will showing the future world with help of High Tech Design and modem people are realizing technology images as a utopia, in the space and material presented by this high tech design. And this utopia imply the images of dynamic power, speed making a voyage in universe, dream of future, hope, mass production, earth's environment, wealth etc. High Tech furniture was lightly designed by using thin steel wire, structure stressing the metallic characteristic and tempered glass, and it was used for presenting a convenient interior space visually, and with that it can make a unified sense in High Tech interior space, and a contrary effect compared with minimal space. High Tech Design equipped with glass and metal materials looking inappropriate for our interior space due to their sharp and cold image has been regularly used as living furniture, not only decoration function, and then there must be reasons for that. This study intends to research how High Tech Design has been changed and developed in the design history & West art history from the early 20th century, and to present it's value of development as data orienting, namely a direction for the industry of the next-generation and furniture design.

  • PDF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의 다수 사상자 발생원인 분석 - 건물과 설비의 구조적인 요인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Causes of Casualties in Jecheon Sports Center Fire - Focus on Structural Factors of Building and Equipment -)

  • 이의평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4호
    • /
    • pp.86-94
    • /
    • 2018
  •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로 29명이 사망하고 40명이 부상을 입었다. 이 논문에서는 스포츠센터 화재 사례에 대해 다수 사상자가 발생한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저자의 화재조사 결과를 토대로 건물과 설비의 구조적인 요인을 분석하고 있다. 건물과 설비의 구조적인 요인은 필로티 구조의 주차장, 필로티 주차장과 로비 사이 방화구획 미비, 필로티 주차장에 스프링클러설비 미설치, 1층 주계단에 방화문 미설치, 옥상에 소화수조 미설치, 2층 주출입구에 벽체 매립형 방화문 설치, EPS실 및 배관 피트 층별 방화구획 부실, 배수배관 연결부의 누수, 화물용 승강기의 승강로와 실내에 면하는 벽체에 합판 설치, 폐쇄형 옥상구조로 개조, 주차장 반자 안쪽 천장에 스티로폼 단열재 부착, 2층 여탕 무창층 강화유리 구조, 드라이비트 외벽으로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