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mperature

검색결과 88,422건 처리시간 0.112초

직물에 침착된 Calcium의 제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moval of Deposited Calcium on the Cotton Fabric.)

  • 한혜원;강혜원;김성련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9-25
    • /
    • 198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aundry variables and additives on the removal of deposited calcium on the cotton fabric. Samples of calcium deposited fabric was made by treating fabric with $CaC1_2$ and $Na_2CO_3$ solution subsequently. The experimental variables were: 1) NaOH concentration ($0.0001\%$, $0.0005\%$, $0.001\%$, $0.005\%$, $0.01\%$) 2) Alkaline builders(sodium carbonate, sodium meta silicate) 3) Sequestering agents(STPP and EDTA concentration: $0.02\%$, $0.04\%$, $0.06\%$, $0.08\%$, $0.1\%$, $0.15\%$, $0.2\%$) 4) Temperatures($25\pm1^{\circ}C$, $40\pm1^{\circ}C$, $60\pm1^{\circ}C$) 5) Edge-abrasion to the removal of deposited calcium on the cotton fabric. The fabric was washed for 15 minutes in a washing machine(Model: Gold Star WP-3007) or Launder-0-meter(40$\~$45 r.p.m., Toyo Rika Instrument Inc.) and rinsed 3 times per every rinsing time. The amount of calcium deposits on the fabrics was determined by EDTA-back titration methods and edge-abrasion was evaluated by ASTM D 3886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pH of surfactant solution(NaOH concentration) did not influence on the removal of deposited calcium on the cotton fabric. 2) Added alkaline builders did not influence on the removal of deposited calcium on the cotton fabric. 3) It was shown that STPP and EDTA were effective to remove deposited calcium. The removal of deposited calcium on the cotton fabric was proportionally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STPP and EDTA. At high concentration, however, the rate was rather de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4) The temperature of washing solution did not influence on the removal of dedosited calcium on the cotton fabric. 5) As the removal of deposited calcium on the cotton fabric was increased, the rate of edge-abrasion of the fabric was gradually increased.

  • PDF

혼반용 대두(풋콩)의 답전작재배에 관한 연구 (제3보) (Studies on the cultivation preceding crop of paddy-field of green vegetable(soybean for cook with rice) by short-day treatment)

  • 김기준;박종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2권
    • /
    • pp.31-36
    • /
    • 1972
  • 조춘 저온기에 혼반용대두(풋콩)을 조기재배하는 경우 다수가능한 재식거리 및 질소질비료 시비적량을 구명하기 위하여 온상내에서 단일처리(1일 11시간)를 하고 오개수준의 재식거리 및 4개수준의 질소시비량(각 구 공히 인산과 가리는 표준시비량 시용)을 조합 적용하였다. 품종은 조생종인 북해일호를 공시하였으며 그 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일주당 협수, 입수, 및 분지수를 많이 착생시키기 위해서는 재식거리를 50cm$\times$10cm 및 30cm$\times$20cm 등 비교적 넓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었으나 단위면적당 꼬투리 및 알맹이의 증수를 위해서는 오히려 평당주수가 월등히 많은 50cm$\times$5cm 및 30cm$\times$10cm 등 재식거리를 좁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2) 단위면적당 꼬투리 및 알맹이의 다수를 위한 질소질비료의 시비적량은 표준시비량만으로 충분하다는 사실을 인정하였다.

  • PDF

수도의 염해와 대책 (Salt Injury and Overcoming Strategy of Rice)

  • 이승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s02호
    • /
    • pp.66-80
    • /
    • 1989
  • Salt injury in rice is caused mainly by the salinity in soil and in the irrigated water, and occasionaly by salinity delivered through typhoon from the sea. The salt concentration of rice plants increased with higher salinity in the soil of the rice growing. The climatic conditions, high temperature and solar radiation and dry conditions promote the salt absorption of rice plant in saline soil. The higher salt accumulation in the rice plant generally reduces the root activity and inhibits the absorption of minerals of rice plant, resulting the reduction of photosynthesis. The salt damages of rice plant, however, are different from different growth stage of rice plants as follows: 1. Germination of rice seed was slightly delayed up to 1.0% of salt concentration and remarkably at 1. 5%, but none of rice seeds were germinated at 2.5%. This may be due to the delayed water uptake of rice seeds and the inhibition of enzyme activity, 2. It was enable to establish rice seedlings at seed bed by 0.2% of salt concentration with some reduction of leaf elongation. The increasing of 0.3% salt concentration caused to the seedling death with varietal differences, but most of seedlings were death at 0.4% with no varietal differences. 3. Seedlings grown at the nursery over 0.1% salt, gradually reduced in rooting activity after transplanting according to increasing the salt concentration from 0.1% up to 0.3% of paddy field. However, the seedlings grown in normal seed bed showed no difference in rooting between varieties up to 0.1% but significantly different at 0.3% between varieties, but greatly reduced at 0.5% and died at last in paddy after transplanting. 4. At panicle initiation stage, rice plant delayed in heading by salt damage, at meiotic stage reduced in grains and its filling rate due to inhibition of glume and pollen developing, and salt damage at heading stage and till 3 weeks after heading caused to reduction of fertilization and ripening rate. In viewpoint of agricultural policy the overcoming strategy for salt injury is to secure sufficient water source. Irrigation and drainage systems as well as underground drainage is necessary to desalinize more effectively. This must be the most effective and positive way except cost. By cultural practice, growing the salt tolerant variety with high population could increase yield. The intermittent irrigation and fresh water flooding especially at transplanting and from panicle initiation to heading stage, the most sensitive to salt injury, is important to reduce the salt content in saline soil. During the off-cropping season, plough and rotavation with flooding followed by drainage, or submersion and drainage with groove could improve the desalinization. Increase of nitrogen fertilizer with more split application, and soil improvement by lime, organic matter and forign soil addition, could increase the rice yield. Shift of trans-planting is one of the way to escape from the salt injury.

  • PDF

해양세균(海洋細菌)을 이용(利用)한 EPA(eicosapentaenoic acid) 생성(生成)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EPA(eicosapentaenioc acid) production by marine bacteria)

  • 조용계;김성진;김지수;이민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21-130
    • /
    • 1995
  • This project has been worked out for isolation of EPA-producing bacteria from marine source of sea water, sea sediment and intestinal contents eviscerated from some red-muscle fish such as mackerel, horse-mackerel and spike fish. The samples were precultured on the media of PPES-II glucose broth and then pure-cultured on Nutrient agar and P-Y-M glucose. Lipids extracted from those bacterial mass collected by centrifugation were analysed in terms of lipid class and fatty acid composition. The results are resumed as follows : 1. 112 strains from sea water and 76 strains from sea sediment were tested for their EPA producing capability, but both strains of (SA-67 and SA-91) from the former and four strains(SS-35, 37, 51 and 71) from the latter have been proved to produce EPA above the level of 2% of total fatty acids. The strains such as GS-11, 29, 31, HM-9, 29, B-18, 33, 107, YL-129, 156, 203, 77, 104 and 256 which were isolated from fish intestinal contents, have also produced EPA at higher level than 2% of total fatty acids. 2. Contents of total lipids extracted from the cultures of these strains grown at $25^{\circ}C$, range from 2.8% to 6.9% (on dry weight %), and they are mainly composed of polar lipids($40.9{\sim}52.9%$) such as phosphatidyl glycerol($^{+}cardiolipin$)(?) and phosphatidyl ethanolamine ($33.8{\sim}40.0%$), with smaller amount of free fatty acid ($11.2{\sim}20.2%$). 3. EPA was isolated from a mixture of fatty acid methyl esters obtained from the lipid of each strain by HPLC in silver-ion mode and was identified by GC-Mass spectrometry. 4. The strains of SW-91, GS-11, GS-29, HM-9, B-18 and YL-203 grown at $25^{\circ}C$ have a level of 5% EPA in their total fatty acids, and the GS-11 and HM-9 strains show a tendency of increase in the EPA level with an increase of growth temperature.

필터의 개발을 통한 해수 육상수조식 양식장의 환경개선에 관한 연구 II. 필터 운행에 따른 유입수 및 배출수의 정화효과 (The Development of Filter for Environmental Improvement in Land Based Seawater Fish Farm II. Purification efficacy of Inlet and Outlet Seawater by Filter)

  • 강주찬;박수일;김성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914-919
    • /
    • 1998
  • 육상 수조식 양식장의 유입수에 망목 60$\mu$m 스크린필터 및 조사량 0.5 mWS/$cm^2$ 자외선등, 배출수에 망목 90 $\mu$m 드럼필터를 설치$\cdot$운행하여 어류사육수조의 유입수와 배출수의 정화효과를 검토하였다. 유입 수에 60$\mu$m 스크린필터와 조사량 0.5 mWS/$cm^2$의 UV, 배출수에 90 $\mu$m 드럼필터의 설치$\cdot$운행에 따른 수온, 염분, $NO_3-N,\;NO_2-N,\;NH_4-N,\;PO_4-P$, DO 및 COD에 대한 정화효과는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유입수에 60$\mu$m스크린필터의 설치$\cdot$운행에 의한 부유물질과 탁도는 각각 $48.7\~65.6\%$ (평균, $52.8\%$), $33.3\~42.5\%$ (평균, $35.9\%$)가 제거되었고, 조사량 0.5 mWS/$cm^2$의 UV의 설치$\cdot$운행에 따른 세균 및 비브리오 균수는 각각 $16.7\~20.2\%$ (평균, $19.2\%$), $20.0\~21.9\%$ (평균, $20.9\%$)가 살균되었다. 또한, 배출수에 90 $\mu$m 드럼필터의 설치에 따라 부유물질은 $42.7\~52.6\%$ (평균 $46.9\%$), 탁도는 $27.7\~29.9\%$ (평균 $28.3\%$)의 제거효율을 나타내었다.

  • PDF

공기 및 산소 공급과 pH 조절에 따른 rotifer의 성장과 고밀도 배양의 생산성 (Growth of rotifer by the air, oxygen gas-supplied and the pH-adjusted and productivity of the high density culture)

  • 박흠기;이균우;김성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753-757
    • /
    • 1999
  • 본 연구는 여러 수온 (24, 28 및 $32^{\circ}C$)에서 공기 및 산소공급과 $32^{\circ}C$에서 pH를 7로 조절된 배양에서 rotifer의 성장을 평가하였다. Rotifer는 농축 Chlorella를 먹이로 공급하였다. 또한 농축 Chlorella와 산소 및 pH를 조절한 rotifer 배양 (고밀도 배양)방법과 빵 효모와 경유 보일러를 이용한 rotifer 배양 (batch 배양) 방법간의 생산성 을 조사하였다. 공기와 산소를 공급한 배양방법에 있어서 수온이 증가할수록 rotifer의 성장률은 증가하였다. 공기를 공급한 배양에 있어서 rotifer의 최고밀도는 수온 $24^{\circ}C$에서 16,300$\~$17,000 개체/ml였고 산소를 공급한 배양에 있어서 rotifer의 최고밀도는 수온 $28^{\circ}C$에서 26,300$\~$30,500 개체/ml였다. 공기를 공급한 배양에 있어서 용존산소가 1 ppm이하로 감소하거나 산소를 공급하는 배양에서 이온화되지 않은 암모니아의 농도가 16.6$\~$22.6 ppm이상으로 증가할 때 rotifer의 성장은 감소된다. 산소공급 및 pH를 7로 조정할 때 rotifer의 최고밀도는 43,000개체/ml까지 도달한다. 고밀도 배양과 batch 배양방법에 따른 rotifer 100억개체당 생산비는 각각 693천원, 961천원이였다. 그러므로 고밀도 배양에서의 rotifer 생산성은 batch 배양한 것 보다 더 효율적이다.

  • PDF

한국 남해 연안전선의 생물$\cdot$화학적 특성 및 영양역학 구조 (Bio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Trophodynamics in the Frontal Zone in the Southern Waters of Korea)

  • 강영실;전경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2-29
    • /
    • 1999
  • 전선역의 생물$\cdot$화학적 특성 및 영양역학구조를 밝히기 위하여 한국 남해안의 전선대 해역과 비전선대 해역에서 수온, 영양염, chlorophyll a와 동물플랑크톤을 조사, 분석하였다. 영양염은 비전선대 해역이 전선대 해역에 비해 높았으나, chlorophyll a는 전선대 해역에서 높았다. 특히, 전선의 중심지에서도 성층과 비성층의 분기점이 되는 수심 20m층에서 chlorophyll a가 가장 높았다. 그러나 전선의 중심지인 정점의 수심 20m층에서 영양염이 가장 낮았다. Chlorophyll a는 영양염과 모두 음의 상관성을 보였으며, 특히 $SiO_2^{-}-Si$와 가장 높은 음의 상관성을 보석, 전선대에서 영양염 농도가 낮은 것은 chlorophyll a생산에 사용되었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동물플랑크톤 출현량은 전선대해역에서 비전선대해역 보다 월등히 높았으며, 특히 전선대 해역의 전선을 중심으로 한 연안에서 가장 높았다. 동물플랑크톤 중 copepods가 $90\%$ 내외의 높은 조성률을 보이나, 전선의 중심지에서 copepods는 약 $60\%$의 조성률을 보인반면 siphonophores와 euphausiids가 높은 조성률을 나타내었다. Copepods는 비전선대 해역에서는 chlorophyll a와 높은 상관성을 보인반면, 전선대 해역에서는 포식자인 siphonophores와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따라서 copepods 출현량은 전선대 해역에서는 top-down조절을 받고 있으며, 비전선대 해역에서는 bottom-up조절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hitosan Microbeads에 의한 효소고정화 (Immobilization of an Enzyme with Chitosan Microbeads)

  • 손흥식;박성민;손병일;최현미;이근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83-87
    • /
    • 1999
  • Chitosan의 산업적 응용분야 중 효소의 고정화담체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 알코올 발효공업에서 다량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담화효소인 amyloglucosidase를 공유결합에 의한 고정화를 시도, 여러가지 반응조건에서의 활성변화를 free enzyme과 비교해 보았으며, 생산공정에서 사용되어지고 있는 액화전분용액에 대한 반응을 실시하여 효소고정화를 위한 담체로서의 chitosan 적용가능성을 검토한 결과, 제조되어진 chitosan bead의 직경은 약 1.2mm 정도였으며 고정화시에 AMG의 농도 6mg/ml가 최적의 반응액농도로서 더 이상의 농도 증가에도 불구하고 거의 일정한 수준의 고정화율을 나타내었으며 pH 4.2인 0.01 M sodium acetate 완충액, 반응온도 $55^{\circ}C$, 15min의 조건에서 free enzyme에 대한 상대효소활성도는 $97.8\%$에 달하였고, 고정화효소의 효소활성의 최적온도조건은 $55^{\circ}C$로서 free enzyme의 그것과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정화효소의 최적 활성조건은 pH 4.2로서 free enzyme과 동일하였으며 중성 이후의 영역에서는 free enzyme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효소활성을 나타내었고, 열에 대한 내성에 있어서, 가열온도 $30^{\circ}C$를 기점으로 free enzyme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소폭 증대되어진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코올발효용 액화전분용액에 대한 free enzyme 및 고정화효소의 반응시, 두 시료 모두 $55^{\circ}C$에서 최대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고정화효소의 free enzyme에 대한 상대활성도는 $62.6\%$ 였다.

  • PDF

진해만 수질 환경과 동물플랑크톤 군집 및 요각류 분포 특성 (Zooplankton Community and Distributions of Copepods in Relation to Eutrophic Evaluation in Chinhae Bay)

  • 강영실;박주석;이삼석;김학균;이필용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15-430
    • /
    • 1996
  • 진해만 해역에 분포하는 동물플랑크톤 군집 및 지표성 요각류의 시공간적 변동을 연구하였으며 이들의 변동양상과 해양 환경과의 관계를 밝혔다. 동물플랑크톤과 수온, 염분 그리고 화학적 산소요구량 (COD)을 진해만내 7개의 정점에서 1993년 2~9월에 매월 1회씩 조사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은 NOR-PAC net로 수직채집하였다. 염분은 8월과 9월에 30.00‰ 이하로 급격히 낮아졌으며 COD는 8월과 9월에 다른 조사월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COD는 만입구에서 만내로 가면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염분과 동물플랑크톤 출현량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진동만에서 COD가 높았으며, 염분과 동물플랑크톤 출현량은 낮았다. 동물플랑크톤은 총 7~14개 군이 출현하였으며, 이중 Noctilura scintillans가 평균 90.6‰ 의 조성률로써 최우점 동물군이였으며 이외에 지각류 (Cladocera)와 요각류 (Copepoda)가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요각류는 월별로 총 6~10개 종이 출현하였으며, 3월과 9월을 제외한 전 조사월에 Acartia emorii와 Acartia hudsonica가 주요 우점종이었다. 다양도는 만 입구에서 만내로 가면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2월에 가장 낮고 7월에 가장 높았다. 집괴분석결과 2~4개의 해역으로 대별되었다. 만입구에서 만내로 가면서 해역이 나뉘어졌으며, 조사월에 따라 칠천도~거제도간 해역과 진동만 해역이 다른 군집상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입구 해역인 해역 I은 난류외양수의 영향을 밟는 해역이며, 해역 II는 해역 I보다는 외양수의 영향을 적게 받는 해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해역 III, IV는 주변의 육상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는 해역인 것으로 밝혀졌다.

  • PDF

빙어의 난발생과정과 자어의 형태발달 (Eggs Development and Larval Development of the Ice Fish, Hypomesus transpacificus nipponensis McAllister)

  • 한경호;이승주;김용억;명정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97-502
    • /
    • 1996
  • 1990년 3월, 경상북도 영덕군 강구면에 위치한 오십천과 경상남도 밀양시 밀양강에서 채집하여 인공수정한 난을 실험실로 운반하여 난발생과정과 부화자어의 성장에 따른 형태변화를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빙어의 수정난은 구형의 침성부착난으로 무색 투명하며, 난경은 $0.85\~1.05mm$ (평균 0.97mm, n=50)이다. 2. 부화에 소요된 시간은 평균 $16.5^{\circ}C$에서 약 170시간만에 부화한다. 3. 부화직후의 자어는 전장 $3.85\~4.25mm$ (평균 4.05 mm, n=10)로, 아직 입과 항문이 열려 있지 않고, 눈에 색소포가 착색되어 있으며, 근절수는 $52\~54$개이다. 4. 부화 $4\~5$일째의 자어는 전장이 $5.20\~5.65mm$ (평균 5.37mm, n=10)로 난황은 거의 흡수되고, 눈의 색소는 더욱 짙어진다. 5. 부화 20일째의 후기자어는 전장이 $8.20\~8.55\;mm$(평균 8.38mm, n=10)로 척색말단이 $45^{\circ}$ 각도로 위로 굽어진다. 6. 부화 25일째의 후기자어는 전장이 $9.15\~9.75mm$ (평균 9.63mm, n=10)로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에 각각 융기하기 시작하여 원기가 나타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