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lomeric DNA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7초

Evaluation of Telomerase Inhibitors Using DE81 Filter Spotting Method from Natural Products

  • Lee, Sung-Jin;Woongchon Mar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8년도 Proceedings of UNESCO-internetwork Cooperative Regional Seminar and Workshop on Bioassay Guided Isolation of Bioactive Substances from Natural Products and Microbial Products
    • /
    • pp.183-183
    • /
    • 1998
  • Telomerase synthesizes telomeric DNA repeats onto chromosome ends de novo. Telomerase activation and telomere shortening in human somatic cells have been implicated in cell tumorigenesis and immortalization. In order to find the potential inhibitors against telomerase activitiy which can be used as potential anticancer agents, we screened about 100 kinds of natural products after partition into n-hexane, ethyl acetate and aqueous layers from methanol extracts. The inhibitory effects of these materials against telomerase enzyme activity were tested in 293T cell culture using telomeric repeat amplification protocol(TRAP). The incorporation of $\^$32/P-dGTP into amplified DNA was measured by adsorption to Whatman DE81 paper instead of using TRAP assay for screening the extracts of natural products. Strong effective compounds were not found in this study but DE81 filter spotting method may be a useful model for the screening. Some of the compounds which showed somewhat inhibitory effects had cytotoxic effects also.

  • PDF

Telomeres Distribution and Telomerase Activity During Chick Embryonic and Developmental Stages

  • Cho, E.J.;Kang, M.Y.;Jung, G.S.;Sohn, S.H.
    • 한국발생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발생생물학회 2003년도 제3회 국제심포지움 및 학술대회
    • /
    • pp.111-111
    • /
    • 2003
  • Telomeres are the end of chromosomes and consist of a tandem repeat sequence of (TTAGGG)n and associated proteins. Telomerase is a ribonucleoprotein which act as a template for the synthesis of telomeric DNA. Telomeres are essential for chromosome stability and are related with cell senescence, apoptosis and cancer. Even though telomeres and telomerase have been studied extensively, very little is known about telomere dynamics in embryonic cell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telomeres distribution and telomerase activity of chicken cells during embryonic and developmental stages. The target cells for analysing were sperms, ovulated ova, early embryonic cells and the cells from brain, heart, liver, kidney and germinal tissue in fetus. Telomeres distribution on target cells was analyzed by Q-FISH (Quantitation-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techniques using a chicken telomere repeat probe. Telomerase activity was performed by TRAP assay (Telomeric repeat Amplification Protocol) with target DNA. In results, the telomeres of chicken were found at the ends of all chromosomes. In addition, chicken had interstitial telomeres on chromosomes 1, 2 and 3. Telomerase activity was highly detectable in early embryonic cells, germinal tissues and kidney cells. Whereas telomerase activity was gradually down-regulated when the organs, including brain, heart, and liver, were developed from embryos. In the distribution of telomeric DNA on the embryonic and developmental stages, most of the cells was gradually decreased in telomere quantity during ontogenesis.

  • PDF

한국 재래닭의 주령별 각 조직의 텔로미어 함량과 텔로머레이스 활성도 분석 (Analysis of Telomere Length and Telomerase Activity of Tissues in Korean Native Chicken)

  • 정길선;조은정;최덕순;이민정;박철;전익수;손시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97-103
    • /
    • 2006
  • 텔로미어는 염색체를 보호하고 세포 분열의 안정성에 주된 작용을 하며 세포의 사멸, 노화 및 암의 발생과 직접적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텔로미어의 길이와 텔로머레이스의 활성에 대한 많은 연구들은 광범위하게 진행되어 왔지만 닭에서는 매우 제한적으로 연구되어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재래닭에서 발육, 성장 및 노화 단계별 간, 뇌, 심장, 신장, 정소 및 백혈구 세포에 대한 텔로미어의 양적 분포와 텔로머레이스 활성도를 분석 고찰하고자 하였다. 텔로미어의 함량 분석은 telomeric DNA probe 를 이용하여 Q-FISH 법으로 수행하였고, 텔로머레이스 활성도 분석은 TRAP 방법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닭 염색체상 텔로미어는 모든 염색체 양 말단부에 나타나며 특히 1, 2 및 3 번 염색체에서는 양 말단 외 interstitial telomeric DNA 가 존재하였다. 닭의 조직별 세포들의 telomeric cDNA 함량을 분석한 결과 성장 및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대부분의 세포들에서 텔로미어 함유율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조직 간 텔로미어 함유율 에서도 많은 차이를 보였는데 특히 증식성 세포인 정소 내 세포들이 다른 비 증식성 세포들에 비해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텔로머레이스 활성도는 간, 뇌, 심장 등 대부분의 조직에서 성장 및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활성이 감소되거나 없어지나 생식선 조직인 정소세포는 연령과 무관하게 지속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닭의 조직별 세포 분화 및 증식성 특이성과 텔로미어의 함량 및 텔로머레이스 활성도 간에는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텔로머레이스 활성도와 텔로미어 함유율 간에 매우 높은 상관이 있었다.

Telomerase reverse transcriptase in the regulation of gene expression

  • Zhou, Junzhi;Ding, Deqiang;Wang, Miao;Cong, Yu-Sheng
    • BMB Reports
    • /
    • 제47권1호
    • /
    • pp.8-14
    • /
    • 2014
  • Telomerase plays a pivotal role in the pathology of aging and cancer by maintaining genome integrity, controlling cell proliferation, and regulating tissue homeostasis. Telomerase is essentially composed of an RNA component, Telomerase RNA or TERC, which serves as a template for telomeric DNA synthesis, and a catalytic subunit, telomerase reverse transcriptase (TERT). The canonical function of TERT is the synthesis of telomeric DNA repeats, and the maintenance of telomere length. However, accumulating evidence indicates that TERT may also have some fundamental functions that are independent of its enzymatic activity. Among these telomere-independent activities of hTERT, the role of hTERT in gene transcription has been investigated in detail. Transcriptional regulation is a fundamental process in biological systems. Several studies have shown a direct involvement of hTERT in gene transcription. This mini-review will focus on the role of hTERT in gene transcription regulation, and discuss its possible mechanisms.

Shelterin Proteins and Cancer

  • Patel, Trupti NV;Vasan, Richa;Gupta, Divanshu;Patel, Jay;Trivedi, Manjar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8호
    • /
    • pp.3085-3090
    • /
    • 2015
  • The telomeric end structures of the DNA are known to contain tandem repeats of TTAGGG sequence bound with specialised protein complex called the "shelterin complex". It comprises six proteins, namely TRF1, TRF2, TIN2, POT1, TPP1 and RAP1. All of these assemble together to form a complex with double strand and single strand DNA repeats at the telomere. Such an association contributes to telomere stability and its protection from undesirable DNA damage control-specific responses. However, any alteration in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any of these proteins may lead to undesirable DNA damage responses and thus cellular senescence and death. In our review, we throw light on how mutations in the proteins belonging to the shelterin complex may lead to various malfunctions and ultimately have a role in tumorigenesis and cancer progression.

GISH와 FISH를 이용한 양파와 파간 종간교잡계통의 염색체 분석 (Chromosome Analysis Using GISH and FISH of Interspecific Hybrids between Allium cepa L. and A. fistulosum L.)

  • 김철우;이을태;김화영;최인후;방진기;구달회;방재욱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68-47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양파와 파간 종간교잡 F1의 불임성의 한 요인으로 여겨지는 염색체 이상과 교잡식물체의 염색체의 조성을 밝혀 향후 종간교잡을 이용한 양파의 형질개량과정에 종간교잡 육종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종간교잡식물체의 감수분열 염색체를 관찰한 결과 중기에 7쌍의 2가염색체와 2개의 1가염색체가 관찰되었다. 체세포 염색체수는 16개로 양파, 파의 염색체 수와 같았으며 GISH한 결과 파와 양파의 염색체가 각각 8개씩 확인되었다. 5S, 45S, TSD DNA를 probe로 하여 양파, 파, 종간잡종의 염색체의 signal을 관찰한 결과 5S와 45S rDNA는 는 3종 모두에서 1쌍의 염색체에서 나타났는데 5S의 경우 염색체의 subcentromeric 에서 45S는 부수체 염색체에서 관찰되었다. TSD DNA는 염색체의 telomeric 부위에서 관찰되었으나 양파의 경우 2쌍은 염색체의 말단부와 중심체 부분에서 signal이 관찰되었고 종간교잡 세포에서도 2쌍이 관찰되어 양파에서 유래된 염색체임이 확인되었다.

닭의 모체 연령에 따른 생산 배아의 염색체 이상 빈도 및 텔로미어 함량 분석 (Effect of Maternal Age on Chromosome Aberrations and Telomere Quantity in Chick Embryos)

  • 이수희;;손시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93-300
    • /
    • 2009
  • 모체 출산 연령이 늦어짐에 따라 태아의 염색체 이상 빈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난자의 노화에 따른 염색체의 비분리 현상의 증가 등이 주된 원인이다. 염색체 양 말단에 존재하는 텔로미어는 염색체의 안정성에 관여하고 세포분열이 진행됨으로써 이의 길이가 짧아져 노화의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체의 노화가 생산 배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닭의 산란 연령별 배아의 염색체 이상 빈도와 이들의 텔로미어 함량을 분석하였다. 시험 분석은 20주령에서부터 70주령까지의 화이트 레그혼 종을 공시하고 10주 간격으로 생산된 수정란의 초기 배아에 대한 핵형 분석과 양적형광보인법(Q-FISH)을 이용한 모계 및 생산 배아의 텔로미어 함량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기 배아의 염색체 이상 빈도는 산란 연령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는데, 산란 초기에 상대적으로 높은 염색체 이상 빈도를 보이다가 산란 중기에서 안정된 빈도를 유지하고, 후기부터 다시 이상 빈도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 모체의 노화가 태아의 염색체 이상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체의 텔로미어 함량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점진적 감소 양상을 나타내는 반면, 모계 연령에 따른 생산 배아들의 텔로미어 함량은 연령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모체의 노화가 수정 배아의 텔로미어 함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는 배란 후 수정이 된 배아는 초기 발생 과정 중 세포들의 reprograming이 일어나 텔로미어가 복구됨을 의미한다.

계사 사육 형태가 산란계의 생산성과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ousing Systems of Cage and Floor on the Production Performance and Stress Response in Layer)

  • 손시환;장인석;손보람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05-313
    • /
    • 2011
  • 계사 사육 형태에 따른 닭의 스트레스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단관백색레그혼종을 대상으로 케이지 사육 및 평사 사육으로 관리 후 이들의 생산 능력과 스트레스 관련 표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개체의 생산 능력에 있어 생존율, 산란 지수, 난중 및 체중은 평사 사육군이 케이지 사육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성적을 보였고, 반면 초산 일령 및 난질의 경우 케이지 사육군이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사육 형태에 따른 닭의 스트레스 관련 표지로 형광접합보인법에 의한 텔로미어 함량 분석 및 comet assay에 의한 DNA 손상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텔로미어 함량 분석 결과, 혈액 세포 및 신장, 비장 세포의 경우 평사 사육군이 케이지 사육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텔로미어 함유율을 보이고,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이의 차이는 더욱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DNA 손상율은 케이지 사육군이 평사 사육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손상율을 나타내어 케이지 사육이 평사 사육에 비해 훨씬 높은 스트레스 상태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생존율을 포함한 생산 능력과 스트레스 표지 분석 결과, 산란계에 있어 케이지 사육 방식이 평사 사육 방식보다 개체들에게 생리적 스트레스 요인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