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lia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17초

Identification of Aecial Host Ranges of Four Korean Gymnosporangium Species Based on the Artificial Inoculation with Teliospores Obtained from Various Forms of Telia

  • Yun, Hye-Young;Lee, Seung-Kyu;Lee, Kyung-Joo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1권4호
    • /
    • pp.310-316
    • /
    • 2005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aecial host ranges of four Korean Gymnosporangium species, G. asiaticum, G. cornutum, Gjaponicum and Gyamadae, and to verify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elia as diagnostic keys to the species. Thirteen Korean Rosaceous woody species were artificially inoculated with teliospores obtained from Juniperus species. There was high specificity between telial and aecial hosts and the fungal species, providing the first experimental proof on host alternation of these rust fungi in Korea. Telia on the witches' broom and on the small galls were identified as new telial characteristics in G asiaticum and in G. yamadae, respectively. Aecial hosts of G. asiaticum and G. yamadae showed varying responses in their susceptibility and in the days required for formation and duration of spermogonia and aecia after inoculation. Four telial host species in Juniperus were confirm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which include J. chinensis var. kaizuka, J. chinensis var. horizontalis and J. chinensis var. globosa for G. asiaticum; and J. chinensis var. kaizuka for G. yamadae.

Ultrastructure of the Rust Fungus Puccinia miscanthi in the Teliospore Stage Interacting with the Biofuel Plant Miscanthus sinensis

  • Kim, Ki Wo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1권3호
    • /
    • pp.299-304
    • /
    • 2015
  • Interaction of the the rust fungus Puccinia miscanthi with the biofuel plant Miscanthus sinensis during the teliospore phase was investigated by light and electron microscopy. P. miscanthi telia were oval-shaped and present on both the adaxial and abaxial leaf surfaces. Teliospores were brown, one-septate (two-celled), and had pedicels attached to one e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revealed numerous electron-translucent lipid globules in the cytoplasm of teliospores. Extensive cell wall dissolution around hyphae was not observed in the host tissues beneath the telia. Hyphae were found between mesophyll cells in the leaf tissues as well as in host cells. Intracellular hyphae, possibly haustoria, possessed electron-dense fungal cell walls encased by an electron-transparent fibrillar extrahaustorial sheath that had an electron-dense extrahaustorial membrane. The infected host cells appeared to maintain their membrane-bound structures such as nuclei and chloroplas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ust fungus maintains its biotrophic phase with most mesophyll cells of M. sinensis. Such a nutritional mode would permit the rust fungus to obtain food reserves for transient growth in the course of host alteration.

배나무 붉은별무늬병(적성병)에 관한 연구 II. 중간기주조사 및 약제방제 (Studies on the Disease of Pear Rust Caused by Gymnosporangium haraeanum SYDOW II. Survey of Juniper Host and Chemical Control of Pear rust)

  • 김승철;김충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07-210
    • /
    • 1982
  • 본 연구는 배나무붉은별무늬병의 중간기생 조사 및 향나무${\cdot}$배나무에 대한 효과적 약제방제방법을 마련코자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배나무붉별무늬병균의 동포자퇴 형성은 피라밋드향나무에서 가장 많았으며 참향나무, 향나무, 연필 향나무가 중간, 노간주자무, 둥근향나무는 적었다. 2. 향나무에 대한 살포약제는 Actidione 1000배액의 4월초순${\cdot}$중순의 2회 살포가 가장 좋았으며 약해도 없었다. 3. 배나무에 대한 Bayleton 800배액의 4월순$\~$5월초순의 $2\~3$회 살포는 병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4. 배나무에 대한 약제살포는 강우전에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강우후 살포시기가 지연될수록 효과는 감소하였다.

  • PDF

Gymnosporangium asiaticum과 G. yamadae의 형태학적 특징 및 병원성과 강우량에 의한 병발생 차이 (Gymnosporangium asiaticum and G. yamada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Pathogenicity and Epidemics by Rainfall)

  • 류종숙;이순구
    • 식물병연구
    • /
    • 제10권3호
    • /
    • pp.175-182
    • /
    • 2004
  • 2003∼2004년 향나무에서 Gymnosporangium ariurirem과 G.yamadae 두종의 겨울포자를 채집하여 관찰하였다. 향나무에서 채집한 G.asiaticum의 겨울포자는 막이 두꺼운 (평균 2.5 $\mu\textrm{m}$)후막겨울포자와 막이 얇은(평균 1.2 $\mu\textrm{m}$)박 막겨울포자가 관찰되었으며, G.asiaticum의 겨울포자퇴는 무딘원뿔모양으로 향나무의 잎, 가지에서 발생되었다. G.yamadae 의 겨울포자 또한 막이 두꺼운(평균 2.5 $\mu\textrm{m}$) 후막겨울포자와 막이 얇은(평균 1.2 $\mu\textrm{m}$) 박막겨울포자가 관찰되었으며, G.yamodae의 겨울포자퇴는 향나무의 잎에 주로 발생하였으며 혹모양 또는 꽃모양으로 형성되었다. G.yamodae는 G.asiaticum보다 더 둥글면서 끝은 약간 뽀족하게 돌출된 모양이었다. 또한 한 그루의 향나무에서 두 종류의 겨울포자퇴가 동시에 형성되는 것도 관찰하였다. 그러나 G.asiaticum이 G.yamodae보다 우점종이었다(류, 2004). 모과나무의 붉은별무의병은 강우량에 따라 매년 발병 양상이 달라지는데 담자포자의 형성시기인 4월 하순의 강우량이 많으면 병의 발생도 많았다. 또한 G.asiaticum의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모과나무와 배나무에서 병이 발생하였지만 아그배나무에서는 병이 발생하지 않았다.

A-GPS (Assisted GPS), is this the system we need for indoor location & navigation?

  • Magnusson, Lars E;Gronqvist, Oskar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GPS/GNSS Vol.2
    • /
    • pp.67-70
    • /
    • 2006
  • For a long time the GSM and GPS world has been living side by side. There have been some half hearted attempts to invoke the GPS unit into GSM units but performance and usability has suffered. The A-GPS approach is interesting and we wanted to verify general performance for fleet application and alarm/emergency situations. The result is now promising but still more to enhancements are anticipated. We achieved near acceptable availability (${\sim}70%$) under indoor conditions. Accuracy was as anticipated (50-100 meter) as we are using reflected signals. Time to first fix is in general good in outdoor conditions but too long for indoor conditions (45-60 seconds). We would like manufactures to put some more effort to get better performance in the future as test with Nordnav high sensitivity measurement system proves that conditions indoor are at a level where better performance should be possible.

  • PDF

국화 '백마'의 시설재배에서 야간 환기와 난방에 의한 상대습도 조절에 따른 흰녹병 발생과 생육 (Occurrence of White Rust and Growth of Chrysanthemum 'Baekma' by Control of Relative Humidity with Night Ventilation and Heating in the Greenhouse)

  • 유용권;노용승;남병철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6호
    • /
    • pp.845-859
    • /
    • 2016
  • 본 연구는 스탠다드 국화 '백마'의 시설재배에 있어서 야간 환기 방법과 난방처리 조건에 따른 온습도의 변화, 흰녹병 발생 및 절화의 생육에 미치는지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환기 방법에 관한 실험에서 측창을 밀폐시킨 대조구의 평균 상대습도 94.5%에 비해 자연환기는 74.3%, 자연+Fan환기 처리구에서는 72.8%로 낮았다. 흰녹병 발생률은 대조구 100%, Fan환기 98.3%, 자연환기 75.6%, 자연+Fan환기 처리구에서 43.4%로 나타났다. 또한 발병엽수와 동포자퇴수도 다른 처리들보다 자연+Fan환기 처리는 가장 적었다. 대조구에서는 과습과 흰녹병 발생으로 절화의 생육이 크게 억제되었는데, 자연+Fan환기 처리구는 초장, 엽수, 줄기직경, 절화의 생체중 등 절화의 생육이 양호하였다. 난방 조건에 따른 시설 내의 야간 평균 온도는 대조구인 RH 95% 난방처리에서 $18.4^{\circ}C$ 인데 반하여 RH 70% 난방처리에서 $25.8^{\circ}C$ 로 나타나 $7.4^{\circ}C$ 상승하였다. RH 70% 난방처리에서도 흰녹병 발생률 34.4%, 주당 발병엽수 0.9개, 발병엽당 동포자퇴수 1.0개로 대조구보다 흰녹병 발생이 크게 억제되었다. 또한 RH 70% 난방 처리구에서 습도가 높은 대조구보다 초장, 엽수, 줄기직경, 생체중 등 절화의 생육이 양호하였다. 따라서 시설 내에서 국화 '백마'를 재배시 자연+Fan환기와 난방처리는 흰녹병을 크게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화의 생육에도 효과적이었다.

Puccinia dieteliana에 의한 큰까치수영녹병 (Rust of Lysimachia clethroides Caused by Puccinia dieteliana)

  • 김성환;이태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96-198
    • /
    • 2008
  • 2008년 9월 덕유산국립공원의 황골계곡과 적상산 안국사 주변에서 큰까치수영의 잎에 녹병이 심하게 발생하였다. 잎의 앞면에는 황갈색의 작은 반점을 형성하며, 잎의 뒷면에는 병이 진점됨에 따라 표피가 터지면서 병반부에서 흑갈색의 많은 겨울포자퇴가 형성되었다. 겨울포자는 곤봉형 또는 방추형이고 황갈색을 띠며, 크기는 $38{\sim}62\;{\times}\;14{\sim}22\;{\mu}m$ 정도이다. 겨울포자의 윗부분은 대부분 둥글거나 둔한 모양의 돌기가 있으며, 아랫부분은 점차 가늘어진다. 또한 포자병은 거의 탈락하지 않고, 투명하며, 길이는 $75{\mu}m$에 이른다. 이 녹병균의 기주특이성 및 균학적 특징을 조사한 결과 Puccinia dieteliana로 동정하였으며, 이 녹병균에 의한 병을 큰까치수영녹병으로 명명한다.

All-IP 이동 통신망에서 HSS 시스템의 효과적인 백업과 실시간 이중화 기법 (Effective Backup and Real-Time Replication Techniques for HSS System in All-IP Mobile Networks)

  • 박성진;박형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795-804
    • /
    • 2009
  • 디지털 이동통신 서비스의 가입자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HSS(Home Subscriber Server) 시스템은 사용자의 콜처리를 위한 기본 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 인증과 운영 등에 관한 추가적인 정보를 제어하기 위해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주기억장치에 상주시켜 운영하는 주기억 장치 데이터베이스(main memory database system)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신뢰성과 안정성이 중요시되는 HSS-DBS의 경우, 초기 로딩시간이 길고 메모리 손실시 그 영향이 훨씬 크기 때문에 보다 안전한 데이터의 저장 방식과 백업 기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HSS 시스템의 안전성과 성능을 고려한 효율적인 백업 이중화 기법을 제시하였다. 제안한 쉐도잉 백업 기법을 통해 위치 등록으로 인한 실시간 백업의 과부하를 최소화하고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지연 회복시킴으로써 오류 발생 시 신속하게 복구할 수 있으며 원격 서버에 실시간으로 백업하는 백업 이중화 기법을 통해 안정적인 시스템 운영을 보장한다.

Puccinia sp.에 의한 이팝나무 잎녹병 발생 및 중간기주 보고 (First Report of Rust Disease on Fringe Tree by Puccinia sp. and Its Alternative Host)

  • 유난희;박애란;윤혁준;손연경;이병희;김진철
    • 식물병연구
    • /
    • 제26권3호
    • /
    • pp.179-182
    • /
    • 2020
  • 2018년 7월 전라남도 강진군의 가로수 전체 이팝나무에 심각한 녹병증상이 발견되어 잎을 채집하였다. 채집한 이팝나무 잎 앞면에서 황색 및 갈색의 병반과 잎 뒷면에서 황색의 녹포자기가 관찰되었고, 현미경아래에서 41.2 ㎛ 크기의 구형 녹포자와 28.84 ㎛ 크기의 구형 하포자가 확인되었다. 이팝나무 녹병균의 부분 small subunit rRNA,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1, 5.8S rRNA, ITS2, 부분 large subunit rRNA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계통학적 유연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나무 녹병균으로 보고 되어져 있는 Puccinia kusanoi와 가까운 근연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2019년 5월 무위사로 이팝나무 주변에 식재된 대나무에서도 녹병 병징이 관찰되었고, 잎 뒷면에서 동포자퇴와 동포자를 확인하였으며, 대나무에서 채집한 동포자의 염기서열 분석 결과, 이팝나무 녹병균과 100% 일치하였다. 본 논문은 대나무 녹병균으로 알려진 P. kusanoi와 근연관계가 가까운 새로운 종 Puccinia sp. JCK-KCFR1 strain (MT729824)가 국내에서 이팝나무와 대나무를 기주교대하며 녹병을 발생시키는 것을 처음으로 보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