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lepresence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2초

온라인 웰니스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이용이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nline Wellness Entertainment Contents Use on Psychological Well-being)

  • 문윤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460-469
    • /
    • 2021
  • 많은 현대인들은 질병, 일상생활, 직장, 환경오염 등의 원인으로 스트레스에 시달리게 되면서 일상으로부터 벗어나 신체적, 정신적 여유를 누리는 보다 편안하고 안정된 삶을 원하고 있다. 이러한 삶을 원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게 되면서 사회적으로 웰빙, 웰니스와 같은 용어는 보편화되고 관련 산업도 발전하고 있다. 웰니스 산업 중 웰니스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산업은 가장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영역 가운데 하나로, 본 연구는 온라인 매체를 통해 제공되는 웰니스 콘텐츠가 어떠한 과정을 통해 이용자의 심리적 웰빙 수준을 향상시키는 지를 텔레프레젠스의 매개효과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온라인 웰니스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의 감각, 감정, 인지속성이 텔레프레젠스를 통해 심리적 웰빙과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연구모형으로 제시한다. 305명을 대상으로 웰니스 콘텐츠로써의 명상 앱 체험 경험에 대한 설문조사 데이터를 실증 분석한 결과 연구모형이 가정한 가설이 채택됨을 증명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웰니스 콘텐츠가 이용자의 텔레프레젠스와 구전효과를 유도함을 보여줌으로써 향후 단순한 심신안정용에만 한정되기보다 향후 수익모델로 발전시키기 위한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메타버스의 사회적 기능과 원격실재감이 메타버스 참여 주체의 신뢰를 통해 요청지원 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cial Function and Telepresence on Intention to Offer Support Through Trust of Metaverse Participants)

  • 황인호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29-46
    • /
    • 2022
  • 코로나19는 사회 구성원의 행동 방식을 급격하게 변화시키고 있다. 특히 바이러스의 강력한 전염성은 사회 주체의 현실 세계에서의 네트워킹을 축소 시켰으며, 온라인 플랫폼 중심의 네트워킹을 강화하고 있다. 최근 3D 기술기반 현실적 실재감을 강화한 메타버스는 개인, 기업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업무에 메타버스를 도입한 조직과 조직원의 관점에서 메타버스 활용 향상 방안을 제시한다. 즉, 연구는 메타버스의 사회적 기능과 원격실재감이 메타버스 참여 주체의 신뢰 향상을 통해 사용자의 요청지원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를 업무에 활용하는 조직에 근무하는 조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표본을 확보하였으며, 구조방정식을 적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가설검정 결과, 메타버스의 사회적 상호작용성, 상호호혜성, 그리고 원격실재감이 메타버스 신뢰(플랫폼, 동료, 조직)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메타버스 신뢰가 요청지원 의도를 높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메타버스를 업무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조직 및 구성원들의 메타버스 활용 및 교류 수준을 향상하기 위한 전략적 방향을 제시한다.

화자의 긍정·부정 의도를 전달하는 실용적 텔레프레즌스 로봇 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a Cost-Effective Tele-Robot System Delivering Speaker's Affirmative and Negative Intentions)

  • 진용규;유수정;조혜경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71-177
    • /
    • 2015
  • A telerobot offers a more engaging and enjoyable interaction with people at a distance by communicating via audio, video, expressive gestures, body pose and proxemics. To provide its potential benefits at a reasonable cost, this paper presents a telepresence robot system for video communication which can deliver speaker's head motion through its display stanchion. Head gestures such as nodding and head-shaking can give crucial information during conversation. We also can assume a speaker's eye-gaze, which is known as one of the key non-verbal signals for interaction, from his/her head pose. In order to develop an efficient head tracking method, a 3D cylinder-like head model is employed and the Harris corner detector is combined with the Lucas-Kanade optical flow that is known to be suitable for extracting 3D motion information of the model. Especially, a skin color-based face detection algorithm is proposed to achieve robust performance upon variant directions while maintaining reasonable computational cost.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head tracking algorithm is verified through the experiments using BU's standard data sets. A design of robot platform is also described as well as the design of supporting systems such as video transmission and robot control interfaces.

Perceptions of Presence as Antecedents to E-tail Shopping - An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 Park, Jee-Sun;Hyun, Jong-Han;Fairhurst, Ann;Lee, Kyu-Hye
    • 복식문화연구
    • /
    • 제20권3호
    • /
    • pp.451-462
    • /
    • 2012
  • Drawing on the literature on TAM and presence, this study proposes a model of the extended TAM by identifying factors that affect the motivations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online consumers' acceptance of an e-tail website. This study conceptualizes that consumers' perceived presence variables such as telepresence and social presence are the antecedents to the motivations of TAM. Empirical tests using regression analyses generally supported the proposed model. The overall conclusion from the current data is that our integrated model is useful in understanding consumers' acceptance of an apparel e-tail website. The findings show that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interest motivations act as strong determinants of consumers' attitude toward an e-tailer, which leads to their behavioral intentions about the e-tailer. This suggests that apparel e-tailers should consider these three motivations when they design their websites. As one way to influence these three factors, this study showed the role of perceived presence in the usage of an apparel e-tail website. The findings suggest that online consumers' perceptions of "being there" and "socialness" stimulate their perceptions of usefulness and interest in the website use. Thus, e-tailers should consider effective ways to increase consumers' perceived presence.

Distributing data in Virtual-reality: factors influencing purchase intention of cutting tools

  • JITKUSOLRUNGRUENG, Nitichai;VONGURAI, Rawin
    • 유통과학연구
    • /
    • 제19권9호
    • /
    • pp.41-52
    • /
    • 2021
  • Purpose: Virtual reality is a unique technology to distribute data and demonstrates user's understanding towards complex product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virtual reality on real world purchase intention of automotive cutting tools in Thailand's exhibitions. Hence, the research framework was constructed by telepresence, perception narrative, authenticity, trustworthiness, functional value, aesthetics, and purchase inten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Samples were collected from 500 visitors who participated in the selected top two metalworking exhibitions. Mix sampling approach is applied by using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of purposive or judgmental sampling, quota sampling, and convenience sampling method, respectively to reach target sample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were used to analyze and confirm goodness-of-fit of the model and hypothesis testing. Results: The results indicate that authenticity, functional value, and trustworthiness induced higher experiential value towards purchase intention. Those variables are stimulated by telepresence and perception narrative towards VR experience. Conclusions: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towards VR experience on engineering cutting tools rely on consumer's sense of authenticity, trustworthiness, and functional value. Hence, marketing practitioners in automotive companies are encouraged to develop VR which focusing on significant factors to enhanc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How Customers Perceive Virtual Mirror Technology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nvironment

  • JO, Junghee;CHO, Yoon C.
    • 융합경영연구
    • /
    • 제10권4호
    • /
    • pp.1-12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customers perceive virtual mirror technology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nvironment. In particular, this study investigated how virtual mirror technology affects customer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use that are rarely examined in previous studies. Research questions include how proposed variables including sensory stimulation, enjoyment, product quality, telepresence, interactivity, and immersion affect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use and how satisfaction affects intention to us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and applied factor and regression analyses to test hypothese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found that effects of sensory stimulation, telepresence, and immersion on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while effects of enjoyment, product quality, and immersion on intention to use were significant. Therefore, variables affecting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use were different, while effects of immersion were significant both on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use. Conclusions: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role of virtual mirror technology helps customers determine product quality and increase satisfaction level, while it also helps customers enjoy shopping and increase intent to use the serv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how to foster better relationship with customers by applying advanced technologies.

메타버스 쇼핑 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S-O-R 모델을 기반으로 (Factors Affecting User Intention towards Metaverse Shopping: An Application of the S-O-R model)

  • 진유정;김은진
    • 지능정보연구
    • /
    • 제29권2호
    • /
    • pp.303-321
    • /
    • 2023
  • 메타버스 쇼핑은 새로운 형태의 소셜커머스로 최근 그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S-O-R 모델을 기반으로 메타버스 쇼핑의 사용자 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텔레프레즌스, 엔터테인먼트, 개인화 추천 및 사회적 상호작용이 메타버스 쇼핑에서의 플로우 경험과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만족도와 플로우 경험은 사용자 이용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메타버스 쇼핑의 사용자 경험 개선과 사용자 이용 의도 증대를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모바일 상거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미래형 VR 이미지 프레젠테이션 기술 (Futuristic VR image presentation technique for better mobile commerce effectiveness)

  • 박지섭
    • 트랜스-
    • /
    • 제10권
    • /
    • pp.73-113
    • /
    • 2021
  • VR 이미지는 상상력을 불러일으켜 소비자의 태도와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실 기반의 닫힌 루프 3D 영상 (이하 Virtualgraph)을 소개한다. 그리고 이러한 이미지가 모바일 커머스 환경에서 소비자의 연상을 증가시킬 수 있는지, 제품의 시각적 이미지의 높은 원격 현전성이 해당 제품의 구매 의도를 높일 수 있는지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서 우리는 원격 현전성, 지각된 가치 가격, 지각된 음식의 질, 시각적 이미지의 생생함에 대한 질문지(VVIQ)로 구성된 모델을 개발하였다. 우리는 Virtualgraph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한 후 인터뷰와 설문 조사를 수행하였다. 실험, 설문 조사, 인터뷰 결과 우리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사용자는 정지 이미지보다 Virtualgraph로 연상을 더 잘한다. 둘째, 신선 식품의 지각된 품질이 만족스럽다면 증가된 연상은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증가된 연상은 상품을 높게 평가하게 하며, 신선 식품의 지각된 품질이 좋다면 그 평가는 더 높아진다. 인터뷰에서 우리는 Virtualgraph를 사용한 실험 그룹이 구매 의도가 더 높고 제품을 더 비싼 것으로 인식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험 그룹이 제품 이미지를 더 선명하고 생생하게 인식하였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모바일 쇼핑몰에서 Virtualgraph를 사용할 때의 전략적 시사점에 대해서 논의한다.

스마트워크 표준화 동향 - 텔레프레즌스를 중심으로 - (Standardization Trends on Smart Work - Focused on Telepresence -)

  • 현욱;강신각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6권2호
    • /
    • pp.42-49
    • /
    • 2011
  • 스마트폰의 확산과 초고속 네트워크의 활성화, ICT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언제 어디서나 유연하게 근무할 수 있는 여건이 성숙되어 가고 있으며, 새로운 원격 업무환경 도입을 통해 저출산, 고령화 등의 사회문제에 대한 해소는 물론 GHG 가스의 배출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스마트워크에 대한 관심이 더해가고 있다. 본 고에서는 스마트워크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요소 기술들과 국제표준화 기구에서 최근 추진되고 있는 관련 표준화 동향에 대해 소개한다.

  • PDF

VR 영화에서 암묵적 프레임의 존재 (The Existence of Implicit Frames in VR Movies)

  • 김태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272-286
    • /
    • 2018
  • VR영화는 일반영화에서의 스크린 화면과 관객과의 관계가 전혀 다르게 형성된다. 관객이 곧 카메라가 되고 카메라의 시점의 주체가 되기 때문에 1인칭 시점에 대한 고찰과 서사를 전달하는 프레임의 편집을 대체할 VR영화만의 프레임 이론이 필요하다. VR영화의 서사전달기능을 하는 프레임의 존재를 드러나지 않으면서 상징적 서사기능을 한다는 의미로써 '암묵적'프레임이라 명명하고 이와 관련된 이론적 배경으로 원씬 원컷으로 제작된 쇼쿠로프감독의 <러시아방주>와 외화면적 요소, 제4의 벽의 개념을 가져올 수 있다. VR영화 속 관객은 현존하지만 동시에 화면 안에서 부재하는 역설적인 딜레마를 가지고 서사에 몰입하게 되면서 하이퍼리얼리티를 겪는다. VR영화 공간에서 시선을 움직이는 시선의 블로킹, 실제와 가상사이의 현존을 묶어주는 원격현존의 속성을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