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lepresence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7초

이종 서비스에 텔레프레즌스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 (A Mechanism to Provide Telepresence Service Information to Heterogeneous Services)

  • 이윤진;김영한;최선완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2권1호
    • /
    • pp.122-129
    • /
    • 2015
  • 본 논문은 텔레프레즌스 서비스의 멀티미디어 스트림 정보를 IMS(IP Multimedia Subsystem)와 RTCWeb(Real-Time Communication in WEB-browsers)과 같은 이종 서비스에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각 서비스를 연동하기 위한 게이트웨이를 설계하고, 텔레프레즌스를 위한 표준화 워킹그룹 CLUE에서 정의하는 멀티미디어 스트림 정보를 이종 서비스에 제공하는 절차를 제시한다. 또한 실제 CLUE 정보 교환 방법을 적용하고 실험 환경을 구현하여 성능 분석 수행하였고, 기존의 미디어세션 재설립 방법과 비교하여 지연시간은 크게 증가하지 않으면서 많은 정보를 교환할 수 있음을 보였다. 제안된 방법을 통하여 기존의 이종 서비스 단말에서는 텔레프레즌스 서비스의 다양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사용자 기호에 따라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영역에서 응용하여 풍부한 멀티미디어 스트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원격연결형 로봇보조학습에 대한 예비교사의 통합기술수용모델 (UTAUT Model of Pre-service Teachers for Telepresence Robot-Assisted Learning)

  • 한정혜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4권2호
    • /
    • pp.95-101
    • /
    • 2018
  • 언어교육이나 특수교육을 위하여 지능형 소셜 로봇이나 원격연결 로봇을 교육현장에 활용하는 로봇보조학습이 도입됨에 따라 기술수용모델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지능형 소셜 로봇에 대한 통합기술수용모델까지 연구되어 있으나, 원격연결형 로봇보조학습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이 논문은 원격연결형 로봇보조학습이 미래학교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지에 대하여 로봇보조학습을 체험한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통합기술수용모델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추정된 통합모델은 자율 지능형 로봇보다 간결한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에서 이동성, 커뮤니케이션, 외형의 하위요인이 영향을 끼치는 유희성의 중요도가 매우 높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예비교사들은 얼굴영상 원격연결로봇의 자유로운 이동성,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직접 만질 수 있는 외형으로 구성된 유희성을 높인 로봇에 대한 유의미한 수용도를 보였다.

가상피팅 서비스를 활용한 온라인 쇼핑에서의 소비자 심리 평가 과정 -인터렉티브 미디어 효과 이론(TIME)을 중심으로- (Consumer Psychological Evaluation Process in Online Shopping using Virtual Fitting Service -Focusing on the Theory of Interactive Media Effects (TIME)-)

  • 김윤정;쉬원윈;오경화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1157-1176
    • /
    • 2023
  •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psychological evaluation that consumers undergo when accepting virtual fitting services while shopping online. The Theory of Interactive Media Effects (TIME) was applied to determine the impact of the perceived affordance of media on consumer response through immers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female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and 271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interactivity and immediacy had a positive effect on telepresence. Telepresence, in turn, affected perceived usefulness and enjoyment, which then significantly affected purchase intention. In addition, some paths confirmed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 innovativeness. In consumers with high innovativeness, interactivity was found to have a greater influence on telepresence and perceived usefulness had a more significant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than in consumers with low innovativeness. Conversely, in consumers with low innovativeness, perceived enjoyment was found to have a greater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than in consumers with high innovativenes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expands research on customer perception of virtual fitting services within online shopping platforms.

텔레프레즌스 서비스를 위한 몰입도 분석 기술 (Engagement Analysis Technology for Tele-presence Services)

  • 윤현진;한미경;장종현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2권5호
    • /
    • pp.10-19
    • /
    • 2017
  • A Telepresence service is an advanced video conferencing service at aimed providing remote users with the feeling of being present together at a particular location for a face-to-face group meeting. The effectiveness in this type of meeting can be further increased by automatically recognizing the audiovisual behaviors of the video conferencing users, accurately inferring their level of engagement from the recognized reactions, and providing proper feedback on their engagement state. In this paper, we review the recent developments of such engagement analysis techniques being utilized in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human-robot interaction, content evaluation, telematics, and online collaboration services. In addition, we introduce a real-time engagement analysis framework employed in our telepresence service platform for an increased participation in online group collaboration settings.

A study on the new method of force reflection control for the teleoperated mobile robot

  • Hong, Sun-Gi;Lee, Ju-Jang;Kim, Seungho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6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국내학술편); 포항공과대학교, 포항; 24-26 Oct. 1996
    • /
    • pp.1523-1526
    • /
    • 1996
  • This paper presents a new method of force reflection in the teleoperated mobile robot control: artificial force feedback. Generally it is well known that force feedback from slave to master increases the reality with which the operator interacts with the environment. In the applications of the teleoperated mobile robot, however, such a force feedback control algorithm has rarely appeared in the literature because the contact force between the environment and the mobile robot is not available. In this paper, a method of artificially generating the feedback force for the teleoperated mobile robot is presented in order to improve the task performance. The computed artificial force feeds into the new designed joystick so as to increase the telepresence of the environment. Through simulations, we confirm the validity and effectiveness of our algorithm.

  • PDF

원격지 현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무인차량 원격조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leoperation of the Unmanned Grounded Vehicle for Improving Telepresence)

  • 이태곤;유지환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553-558
    • /
    • 2010
  • In this paper, we proposed a teleoperation scheme of unmanned grounded vehicle to improve telepresence. Especially, bilateral control architecture for transmitting realistic steering feeling to the remote driver is investigated. System architecture of the teleoperated remote vehicle is introduced with visual, auditory and kinesthetic haptic channel. Several bilateral control architectures are proposed for transmitting remote steering feeling, and subject tests are done to evaluate the performance. Position-force bilateral control architecture with returning torque compensation algorithm shows best performance.

텔레프리젠스 로봇보조학습 사례 연구를 통한 융합기술 (Convergence Technologies by a Long-term Case Study on Telepresence Robot-assisted Learning)

  • 임미숙;한정혜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106-113
    • /
    • 2019
  • 이 논문은 개인 대상으로 장기간의 원격영상 교육을 실시한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융합기술에 대한 제언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로봇보조학습을 포함한 원격영상교육 경험이 있는 교수학습자를 대상으로 텔레프리젠스를 노트북, 스마트폰 로봇, 그리고 음성인식 피드백이 제공되도록 제작한 패드형 로봇으로 실험 설계하여 5개월간 원격수업 방식에 임의할당을 통해 진행하고, 과제 수행도를 측정함과 동시에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학습자는 기존 연구와 마찬가지로 텔레프리젠스 로봇보조학습의 과제수행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학습의 몰입도와 집중을 위하여 음성송출 피드백 외에 원격교수자와의 시선 맞춤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원격 교수자는 원격교육의 영상입력 추가와 음원추적 자동 제어 기능을 요구했다.

가상세계 메타버스 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혁신확산의 관점에서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the Virtual World Metaverse: An Innovation Diffusion Perspective)

  • 박천호;이채현;정성미;최정일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41-56
    • /
    • 2023
  • Metaverse is a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where virtual and reality interact and co-evolutionize, and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activities are carried out in it to create value. Among the types of metaverse, the virtual world metaverse is expected to bring innovation beyond time and space in all areas of industry and society following the Internet.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factors affecting consumer's intention to use the virtual world metaverse by an innovation diffusion perspective. It was analyzed as an expa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by setting relative advantages, ease of use, and visibility among the attributes of the innovation diffusion, and social presence, telepresence, and interactivity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rtual worlds as factors. The proposed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were verified through a PLS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based on a survey of 216 people. Studies have shown that relative advantage, telepresence, and interactivit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njoyment, but visibility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njoyment. It was found that ease of use had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enjoyment, social pres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njoy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respective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mpirically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the virtual world metaverse by dividing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at induce consumer behavior into perceived usefulness which is an extrinsic motivation and perceived enjoyment which is an intrinsic motivation.

혼합현실 콘텐츠의 현황과 발전방향 (The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Mixed Reality Content)

  • 김희영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6호
    • /
    • pp.181-206
    • /
    • 2017
  • 오늘날 일상에서의 인터넷과 스마트폰처럼 가까운 미래에는 현실과 가상이 공존하는 혼합현실 환경 속에서 살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구체화하고 있는 혼합 현실의 개념을 바탕으로 관련 콘텐츠가 확장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혼합현실 콘텐츠의 현황과 분석을 통하여 발전방향을 고찰하고자 한다. 혼합현실 콘텐츠 방식은 웨어러블 기기 착용 방식과 기기 착용이 없는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웨어러블 기기 착용 방식의 대표적인 사례인 머리에 착용하는 혼합현실 웨어러블 기기인 홀로렌즈(HoloLens)를 분석하고 기기 착용이 없는 방식의 사례인 텔레프레즌스 아바타로 영상을 합성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인 룸투룸(Room2Room)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혼합현실의 콘텐츠는 현실, 가상현실, 그리고 증강현실의 인터랙티브한 결합을 통한 확장된 정보 활용과 더욱 더 자연스러운 현실감을 구현하는 방향으로 발전될 것이다. 혼합현실 콘텐츠의 발전전망으로써, 머리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편의성과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면 혼합현실 디바이스 사용자의 확대를 통해 대중화될 것이다. 편의성을 증대하기 위해 웨어러블 혼합현실 디바이스를 통합할 수 있는 방식을 구축하고, 여가 활용 콘텐츠의 다양화를 통해 혼합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환경이 조성될 것이다. 텔레프레즌스 아바타는 장소의 한계를 벗어나 언제 어디서나 출현 가능한 혼합현실 콘텐츠로써 모바일 홀로그램 아바타 형태로 발전될 것으로 전망된다. 텔레프레즌스 아바타의 다른 발전가능성은 사용자의 생각대로 움직이는 아바타와 증강휴먼기술과 혼합현실의 결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