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chnology-Engineering

검색결과 93,090건 처리시간 0.113초

Kano모형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카 기능의 고객 만족도 분석: 신기술 사용경험 유무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Customer Satisfaction Analysis of Smart Car Features Using the Kano Model: in Control Effect of the Comprehension or Experience of Emerging Technologies)

  • 강영태;정규석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4호
    • /
    • pp.155-168
    • /
    • 2018
  • 본 논문은 스마트 카의 다양한 기능 중 30개를 선별하고 이에 대한 고객의 요구사항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각 기능의 실질적 효과와 소비자가 인식하는 만족도가 비선형적 관계라는 가정 하에, Kano모형을 분석의 주요 도구로 사용하였다. 또한 기존의 Timko 계수를 활용하여 이들 간의 표준편차를 이용한 Timko분산과 Kano 품질속성의 분포를 표시하는 Kano분포지수의 두 지수를 새로이 설정하여 분석 결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분석 모형을 제시하였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전통적 Kano식 질문은 일반 고객들을 설문대상으로 채택하는 경우, 스마트 카와 같이 아직 일반화가 덜 되었거나 또는 대중화가 진행 중인 신기술의 품질 평가에 한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스마트 카의 품질요소와 같이 신기술을 활용한 품질요소들은 Kano식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일반적인 상품이나 서비스와는 다른 분석 방식, 즉 일정 통제 변수를 활용해야 다양한 품질속성의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계량적으로 밝혔고 이를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스마트 카의 기능이라는 아직 국내에서 연구사례가 희소한 분야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13개의 응답자 그룹으로 분류하고 계량적 지수로 분석을 시도한 최초의 연구 사례로 볼 수 있다. 다른 유사한 신기술 분야를 대상으로 한 일반적 소비자 연구에 본 연구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수직관내 발달 유동의 층류혼합대류 연구 (Study on Laminar Mixed Convection of Developing Flow in Vertical Pipe)

  • 고봉진;정범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4권5호
    • /
    • pp.481-489
    • /
    • 2010
  • 수직관내 발달 유동의 층류혼합대류에 관한 본 연구는 Re 1,000에서 3,000, $Gr_H\;10^5$에서 $10^8$, Pr 2,000 에서 7,000 그리고 종횡비 1부터 7에 대한 범위에 대해서 수행되었다. 유사성(Analogy)의 원리를 이용하여 수직관내 발달 유동의 층류혼합대류 열전달계를 물질전달계로 모사하였다. 물질전달계로써 Nu 수는 기존의 문헌들의 그것들보다 상당히 큰 값이었는데, 이는 본 실험의 높은 Pr 수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의 종횡비는 완전발달 할 만큼 크지 않았기 때문에, 실험 결과는 긴 수직관내 혼합대류 유동보단 평행평판에서의 혼합대류 유동과 유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서 낮은 종횡비와 $Gr_H$ 수를 갖는 수직관내 발달 유동의 층류혼합대류 유동은 수직 평판에서의 층류혼합대류 유동과 유사한 거동을 보인다는 것이다. 그리고 종횡비와 $Gr_H$ 수가 증가할 때 유체의 거동은 수직관내 완전발달 유동과 유사한 현상을 보였다.

Expert Team on Climate Change Detection and Indices (ETCCDI)를 이용한 강원지역 극한기상특성의 변화 분석 (Analysis of Extreme Weather Characteristics Change in the Gangwon Province Using ETCCDI Indices)

  • 강건국;이동섭;황석환;김병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7권12호
    • /
    • pp.1107-1119
    • /
    • 2014
  •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로 인한 부정적 영향에 대한 우려가 증가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기후변화로 연평균 강수량이 1910년대 1,155mm에서 2000년대 1,375mm로 약 19% 증가했으며 21세기말에는 약 17%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최근 10년간 1일 100mm 이상 집중호우의 발생빈도는 총 385회로, 70~80년대 222회에 비해 1.7배나 증가하는 등 기후변화로 인해 극한기상의 변화가 심해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강원지방의 경우 대부분 지역이 산악으로 구성되어 있어 다른 어느 지역보다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을 크게 받을 것으로 예상되며, 높은 태백산맥으로 인해 영서 및 영동으로 구분되어 산악 및 해양성기후를 모두 가지고 있는 특이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강원지방의 기후가 최근 어떤 특성변화가 있는지 ETCCDI (Expert Team on Climate Change Detection and Indices) 지수를 이용하여 정량화하고자 한다.

생태수리학의 의의와 전망 (Ecohydraulics - the significance and research trends)

  • 우효섭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3권10호
    • /
    • pp.833-843
    • /
    • 2020
  • 생태수리학은 수생생태학을 한 축으로, 지형학, 수문학, 유체동력학 등을 또 다른 한 축으로 1990년대 초 탄생한 다학제간 연구분야이다. 생태수리학을 흐름, 유사이송, 지형, 동식물, 수리구조물 등 5가지 주요인자 간 상호 관계나 작용을 기준으로 구분하면 서식처수리( 환경유량 포함), 식생수리, 생태통로수리, 부영양화수리, 생태복원수리의 5개로 나눌 수 있다. 지난 20여 년간 관련 국제논문집에 게재된 생태수리학 관련연구는 물고기반응, 수리모델링, 물리서식처반응 분야에 치우쳤으며, 이는 아직 진정한 학제 간 상호반응적 연구단계로 진입하지 못했음을 의미한다. 한편 1997년 이후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에 게재된 생태수리학 관련논문 수는 전체의 3% 수준에 불과하며, 생태수리학과 더 밀접한 응용생태공학회 논문집에 게재된 논문 수도 20% 수준에 머물렀다. 이 두 논문집에 게재된 논문들은 주로 서식처수리, 식생수리, 생태복원수리 분야이었으며, 난류모의를 포함한 동적 흐름모의, 동물유영모의, 부영양화수리 분야는 사실상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의 하천특성 및 생태수리학의 사회적 수요를 고려하여 앞으로 연구개발이 시급한 분야는 1) 국내하천 여건에 맞는 환경유량의 평가기법, 2) 화이트리버의 그린리버 변화현상을 평가할 수 있는 동적 홍수터식생모형(DFVM)의 개발, 3) 정수역 및 유수역에서 수리조건 중심으로 조류생성을 평가할 수 있는 모형개발, 4) 하천지형복원이나 소형 보/댐의 가동정지(decommissioning) 및 철거에 따른 물리/화학/생물적 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모형개발 등이다.

원격상관 기후지수를 활용한 1개월 선행 댐유입량 예측 (One-month lead dam inflow forecast using climate indices based on tele-connection)

  • 조재필;정일원;김철겸;김태국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9권5호
    • /
    • pp.361-372
    • /
    • 2016
  • 신뢰성 있는 댐유입량의 장기예측은 효율적인 댐운영에 필수적이다. 2000년대 이후 엘리뇨-남방진동(ENSO) 등의 전구기후지수와 지역수문기후와의 원격상관성이 규명되면서, 이를 활용한 미래의 수문조건을 예측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안동댐유역을 대상으로 미국 NOAA에서 제공하는 40개 전구기후지수의 원격상관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1개월 선행 댐유입량의 예측성능 및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 원격상관을 통해 강수와 기온을 예측하고 SWAT 모델을 이용하여 예측 댐유입량을 산정하는 방법(SWAT-Forecasted), 직접 댐유입량을 예측하는 기법(CIR-Forecasted), 예측시점의 관측값이 과거자료에서 해당하는 순위(rank)에 근거한 방법(Rank-Observed)을 비교하였다. 결과적으로 통계적 방법으로 댐유입량을 직접 예측하는 접근 방식(CIR-Forecasted)이 12월을 제외하고는 다른 방법에 비해 우수한 예측성을 보였다. 이것은 강수량 및 기온 예측정보를 일단위로 상세화하는 가정과 유출모델링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확실성이 예측결과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는 원격상관기반의 1개월 선행 댐유입량 예측이 안동댐 운영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시사하였다.

LiCl 및 LiCl-${Li_2}O$ 용융염에서 Fe-Ni-Cr 합금의 부식거동 연구 (A Study on the Corrosion Behavior of Fe-Ni-Cr Alloys in Molten Salts of LiCl and LiCl-${Li_2}O$)

  • 조수행;장준선;홍순선;신영준;박현수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0권7호
    • /
    • pp.471-477
    • /
    • 2000
  • Fe-Ni-Cr 합금의 용융염 부식거동을 $650~850^{\circ}C$ 온도범위에서 조사하였다. 용융염 LiCl에서 Cr을 포함하지 않는 KSA(Kaeri Superalloy)-1 합금은 Fe의 내부산화가 발생하고, Cr을 포함한 KSA-4, Incoloy 800H와 KSA-5는 LiCrO$_2$의 치밀한 보호막이 형성되었다. 혼합용융염 $LiCl-LiO_2$O에서 KSA-1은 Fe의 내부산화, KSA-4는 Cr의 내부산화가 발생하였고, Cr 농도가 높은 Incoloy 800H와 KSA-5는 $LiCrO_2$의 다공성 피 이 형성되었다. 혼합용융염 $LiCl-Li_2$O 에서는 Cr 농도의 증가에 따라 부식속도가 증가하였으며, 부식속도는 시간의존선을 8%Cr 이하의 합금에서는 포물선법칙, 8%Cr 이상의 합금에서는 직선법칙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현상은 Li$_2$O에 의한 보호성 산화물 $Cr_2O_3$의 염기성 용해기구로 설명할 수 있다.

  • PDF

경기도 김포, 인천 서구지역 소하천의 PCE 탈염소화 군집의 선별 및 다양성 분석 (Analysis of Microbial Community During the Anaerobic Dechlorination of Tetrachloroethylene (PCE) in Stream of Gimpo and Inchon Areas)

  • 김병혁;백경화;조대현;성열붕;안치용;오희목;고성철;김희식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40-147
    • /
    • 2009
  • 경기도 김포 지역과 인천 서구 지역공단 주변에 위치한 소하천의 저니(sediment)에서 난분해성 염소화합물인 PCE (tetrachloroethylene)의 혐기성 탈염소화 능력이 있는 군집을 선별하고, 탈염소화에 관여하는 미생물을 탐색하였다. 혐기성 탈염소화 능력을 조사하기 위해 전자공여체로 lactate를 사용하여 혐기성 회분식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탈염소화 능력을 가진 군집을 선별하였다. 선발된 미생물군집은 분자생물학적 기법인 16S rRNA gene의 Polymerase chain reaction-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PCR-DGGE) 기법과 탈염소화 미생물을 선택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species-specific primer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총 16개의 시료 중에서 접종 8주 만에 3개의 시료에서 ethene까지 탈염소화시켰으며, 4개의 시료에서 cis-1,2-dichloroethene (cis-DCE)까지 탈염소화시켰다. 또한, 16S rRNA gene을 이용한 PCR-DGGE와 탈염소화 species-specific primer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PCE 탈염소화 시료 내에는 Dehalococcoides sp.와 Geobacter sp.가 주로 존재하였으며, Dehalobacter sp.도 일부 시료에서 검출되었다.

웹방화벽 기술동향 파악 및 시험방법론 (Web application firewall technology trends and testing methodology)

  • 조인준;김선영;김찬중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32-138
    • /
    • 2012
  • 기존 방화벽은 네트워크 계층의 보안은 지원하나 더 상위계층인 애플리케이션 계층의 취약한 웹 어플리케이션 보안은 지원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웹 애플리케이션의 취약점을 방어할 수 있는 웹방화벽(Web Application Firewall)은 기업의 중요한 보안문제를 해결하는 해결사로자리 매김하고 있으며, 차세대에 각광받는 보안시스템으로 국내 외 시장에서 매우 활발한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아직 웹방화벽의 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는 표준이 제시되지 않아 웹방화벽 제품들을 신뢰하고 선택하기엔 어려움이 있다. 기업에서는 자체적으로 BMT를 실시하기도 하나 개인은 성능테스트의 비용문제와 기술력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웹방화벽 업체가 실질적으로 활용 가능한 BMT 평가 모델을 개발하였다. 제품 평가 기준인 ISO/IEC 9126에 의하여 8가지 제품 특성별로 웹방화벽의 성능과 특성에 맞는 항목을 도출하였다. 이로써 자사에서 평가해야 할 웹방화벽의 성능 테스트에 대한 부담을 해소할 수 있고 국내관련분야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고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회복함으로 해외 제품에 대한 의존도를 감소할 수 있다.

  • PDF

안드로이드 인텐트의 보안 취약성 탐지 및 차단 기법 (Detection and Blocking Techniques of Security Vulnerability in Android Intents)

  • 윤창표;문석재;황치곤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66-668
    • /
    • 2013
  • 최근 스마트 기기의 빠른 보급과 더불어 스마트 기기의 운영체제에서 동작하는 악성코드의 종류와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시스템 권한에 대한 접근이 용이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의 경우 악성코드에 노출될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다. 안드로이드에서 제공하는 전역 메시지 시스템인 인텐트를 이용하면 어플리케이션들 간의 상호 접근이 가능하며, 디바이스에 의해 가공된 데이터의 접근이 가능하다. 인텐트는 컴포넌트의 재사용성 측면에서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편의성을 제공하지만 보안 관점에서 위험 요소로 지적될 수 있다. 따라서 악의적인 목적으로 인텐트를 사용하면 보안에 취약한 상태를 쉽게 유도할 수 있다. 즉, 스마트 기기를 제어할 수 없는 상황으로 만들거나 시스템 자원을 소비하는 등 인텐트를 수신하여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이 취급하는 자원에 접근하여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시스템 권한을 획득한 경우 악성 코드를 통해 브로드캐스트 인텐트를 악용하면 스마트 기기의 제어 및 개인 정보 유출과 같은 위험도는 더욱 커지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인텐트 패턴 검사로 인텐트 발생을 모니터링하고 검증되지 않은 패턴의 인텐트에 대해 탐지하고 차단하는 안드로이드 인텐트의 보안 취약성 대응 기법을 제안한다.

  • PDF

누리과정에 적용할 교육로봇의 가상환경 3D AR 연구 (Study on 3D AR of Education Robot for NURI Process)

  • 박영숙;박대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09-212
    • /
    • 2013
  • 교육부가 중점 추진하는 누리과정은 교육과 보육에 대한 국가차원의 표준화된 교육과정으로서 취학전 교육의 질을 제고하고, 생애 초기의 공정한 출발선을 보장하며 전 영역에서 창의 인성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영유아기 누리과정의 창의교육을 위한 곤충로봇을 개발하여 흥미와 교육효과를 높였다. 기존의 지면을 사용한 조립도와 온라인 홈페이지를 이용한 교육용 로봇의 조립과 학습에 VR을 이용하여 조립과 교육내용학습에 효과를 높였다. 유아들이 로봇을 학습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관심과 학습의 동기가 필요하며 정보기반사회에서의 정보기술을 활용한 창의적인 학습 또한 필요하다. 증강현실에서 사용될 마커는 로봇에 관한 3차원의 모델정보를 연계하여 증강하고, 이는 마커를 통하여 증강현실의 대상 마커와 카메라와의 상대 좌표계 변환을 구하고, 그 마커내의 패턴을 이용하여 미리 정의된 패턴 중 무엇인지에 대한 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논문을 통하여 교육용 조립로봇의 현실세계에서의 창의교육과 증강 가상환경으로 표현되는 스마트교육을 융합하여 새로운 형태의 첨단 스마트교육을 제시하여 국가인재의 조기육성을 통한 인재대국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