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chnological Convergence

검색결과 529건 처리시간 0.036초

A Comparative Study on Convergence of IT, BT and NT: Focusing on Patent Data

  • LEE, Jeonghwan;LIM, Injong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1호
    • /
    • pp.239-247
    • /
    • 2020
  • Technological convergence is yielding new values and affecting various fields not by single technology but by convergence between technologi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T -BT-NT convergence and differences between technologies in respect of collaboration within (inventor) and between (assignee) organizations. Among the main technologies leading the technological convergence, IT is the most active of converging with other fields. BT is knowledge-intensive and strong cooperative networks are important in this area. NT is applied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upon the basic technology. Using the data on applied and granted patents by Korean applicants in the U.S., this study conducted quantitative analysis and ANOVA to gain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degree of convergence in between IT-BT-NT is continuously increasing since 2002. Second, BT is where the collaboration within and between organizations is the most active among IT-BT-NT. Third, there were certain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convergence according to the years and the fields of technologies in all the IT-BT-NT. Organizations cooperate with other institutions to sustain their competitiveness with limited internal resources. Companies in these fields are recommended to perform diverse strategies to pursue further collaboration with the outside.

현대 과학기술과 군사 기술적 기습 (Modern Technology and Military Technological Surprise)

  • 김종열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5권3_1호
    • /
    • pp.11-22
    • /
    • 2015
  • 군사적 기습의 한 유형인 기술적 기습은 현대 과학기술의 급진전과 함께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전술적 차원과 전략적 차원에서 사용되어 진다. 현대 과학기술은 전쟁의 수단인 무기체계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옴에 따라, 기술적기습의 가능성은 더욱 증가하고 있다. 기술적 기습은 새로운 신기술의 채택, 기존 기술의 신속한 전력화, 그리고 기존 기술이나 무기의 운용방법을 혁신하는데서 기인한다. 이러한 기술적 기습은 두 가지로 분류된다. 이미 기술적 충격으로 다가올 것으로 예견하였지만 충분히 대비하지 못하였거나 대응하기에 시간이 부족한 '알려진 기술적 기습'과, 기습이 발생할 것이라고 조금은 인지하였지만 다른 중요한 기습에 대비하느라 묻혀버린 '생소한 기술적 기습'이다. 이러한 기술적 기습에 대한 사례로서 현대에 발생한 주요한 기술적 기습 9가지를 제시하고 분석하였다. 향후 한국군이 기술적 기습에 대한 대비해야 할 방향으로는 기술적 기습을 담당할 국방 조직의 설치, 기술적 기습에 대한 관리 체계 구축, 그리고 미래 기술적 기습을 생산해 낼 수 있는 군사기술의 혁신이 필요하다.

기술혁신의 연구 동향 분석: SCOPUS DB를 중심으로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Technology Innovation: Focus on SCOPUS DB)

  • 박은미;서정해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120-126
    • /
    • 2020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가 시작됨에 따라 기업의 환경도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기업들은 이제는 과거와는 다른 경쟁 환경하에 놓이게 되었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관련 기술들을 중심으로 상상할 수 없을 정도의 많은 기술적인 혁신들이 일어나고 있다. 기술혁신에 대한 연구도 과거와는 다르게 많이 진행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COPUS 데이터베이스를 중심으로 2015년부터 2019년까지 기술혁신이라는 주제로 한 논문을 검색하였다. 논문중에서 초록을 제공하고 있는 논문 1,043편을 수집하고, 이를 텍스트 마이닝 기법과 LDA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기술혁신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증가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기술혁신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술혁신의 주제 외에도 기술혁신과 관련된 다양한 키워드들도 도출이 되었다.

Empirical analysis of strategy selection for the technology leading and technology catch-up in the IT industry

  • Byung-Sun Cho;Sang-Sup Cho;Sung-Sik Shin;Gang-hoon Kim
    • ETRI Journal
    • /
    • 제45권2호
    • /
    • pp.267-276
    • /
    • 2023
  • R&D strategies of companies with low and high technological levels are discussed based on the concept of technology convergence and divergence. However, empirically detecting enterprise technology convergence in the distribution of enterprise technology (total productivity increase) over time and identifying key change factors are challenging. This study used a novel statistical indicator that captures the internal technology distribution change with a single number to clearly measure the technology distribution peak as a change in critical bandwidth for enterprise technology convergence and presented it as evidence of each technology convergence or divergence. Furthermore, this study applied the quantitative technology convergence identification method. Technology convergence appeared from the separation of total corporate productivity distribution of 69 IT companies in Korea in 2019-2020 rather than in 2015-2016. Results indicated that when the total technological level was separated from the technology leading and technology catch-up, IT companies were found to be pursuing R&D strategies for technology catch-up.

IT제조업 정부 지원 수준이 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T Manufacturing Firms' Technological Innovation Factors -From Government Support Level-)

  • 박태훈;박경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6호
    • /
    • pp.17-22
    • /
    • 2012
  • IT산업 기업 간의 치열한 경쟁 환경에서 기업 생존을 위한 기술혁신은 경쟁력 확보를 위한 필수요소가 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혁신은 기업의 생존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며 다양한 요인들이 기술혁신의 성공을 거두기 위해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정부의 지원 수준이 기술혁신의 성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정부지원 측면에서 IT제조업의 제품혁신 성공을 위해서는 직접적인 기술개발 및 사업화 지원을 위한 자금 지원이 필요하며, 공정혁신을 위해서는 기술인력 지원이나 교육연구 지원 등이 성공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과학기술출연(연)의 기술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 우수기술과 우수조직 사례 (Policy Implications on Strengthening Technology Capacity of Public R&D Institute: Cases of Excellent Technology and Organization)

  • 이옥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203-212
    • /
    • 2017
  • 불확실한 환경 하에서 국가 발전과 산업기반 조성에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세계적인 수준의 기술역량 확보는 필수적이다. R&D 탁월성에 기반을 둔 기술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국가R&D시스템의 중요한 R&D주체인 출연(연)을 대상으로 우수기술 혹은 우수조직 현황을 살펴보는 탐색연구를 실시하였다. 출연(연) 사례를 관통하는 개념으로 세계 최고의 기술 확보를 들 수 있으며, 세계 최고에 대한 측정기준은 분야 특성상 다를 수 있으나 해당분야에서 최고의 기술역량을 확보하고자 하는 노력은 글로벌 선도기술, 기관중점과제, 세계적 혁신기술, World Class Laboratory 제도, 글로벌 수월성 연구그룹 등의 사례에서 일관되게 관찰된다. R&D주체들의 기술역량 강화를 위해 해당분야에서 탁월한 기술성과 창출이 가능하도록 조직의 기술역량 발굴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며, 기술역량 발굴노력을 연구사업, 신성장동력 발굴 등의 형태로 구체화 시키고, 세계 최고임을 인정하는 조직 내부의 공감대 형성이 중요하다.

중소기업의 외부 기술 정보 네트워크의 다양성과 매출 성장 : 생산성 향상의 매개 효과와 최고경영자가 주도하는 기술 개발의 조절 효과 (SMEs' External Technological Information Network Diversity and Sales Growth : The Mediating Impact of the Productivity Improve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Technology Development Driven by CEO)

  • 허용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9호
    • /
    • pp.147-153
    • /
    • 2017
  •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외부 기술 정보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 흐름의 깊이를 더하기 위해 외부 기술 정보네트워크의 다양성이 중소기업의 기술개발로 인한 매출 증대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 뿐만 아니라, 이러한 직접인 영향에 대한 생산성 향상의 매개 효과와 최고 경영자가 주도하는 기술 개발의 조절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2,200개의 한국 중소기업 데이터를 사용한 최소자승 회귀분석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본 연구는 제공한다. 첫째, 중소기업의 외부 기술 정보네트워크의 다양성은 기술 개발로 인한 매출 성장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둘째, 중소기업의 생산성 향상은 외부 기술정보 네트워크의 다양성이 매출 성장에 미치는 이러한 정(+) 영향을 부분 매개한다. 셋째, 최고경영자가 주도하는 기술개발은 중소기업의 외부 기술 정보 네트워크의 다양성이 매출 성장에 미치는 정(+)의 영향을 조절한다.

융복합시대의 기술적 기업가정신, 흡수역량과 창의성과 간에서 동기부여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Motivation in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Absorption Capacity and Creative Product in the Convergence Era)

  • 조용화;한병철;김은경;송찬섭;이선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2호
    • /
    • pp.243-256
    • /
    • 2018
  • 본 연구는 조직의 창의성과를 높이고 외부 지식의 활용을 위한 방안으로 기술적 기업가정신과 흡수역량(잠재흡수역량, 실현흡수역량), 창의성과의 관계를 실증 분석하고, 동기부여의 조절 효과를 밝히고자 한다. 이러한 변수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문헌 연구를 통해 연구모형 및 가설을 설정하였고, 경북의 전자 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487부의 설문지를 수집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기술적 기업가정신은 창의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과 기술적 기업가정신에서 흡수역량, 창의성과로의 절차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기술적 기업가정신과, 잠재흡수역량의 관계에서 내재적 동기부여의 조절효과와 잠재흡수역량, 실현흡수역량의 관계에서 외재적 동기부여의 조절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외부 지식의 활용과 창의성과를 제고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기술혁신 역량과 기술사업화 역량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수도권 소재 뿌리기업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Effect of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y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on Corporate Performance; Focused on Corporate Ppuri Companies in the Metropolitan Area)

  • 서선영;윤선중;서종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235-252
    • /
    • 2022
  • 본 연구는 뿌리기업의 기술혁신 역량과 기술사업화 역량이 기업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와 금속 중심 공정기술 분야와 신소재·플랫폼 공정기술 분야의 두 집단 간에 기업성과의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표본은 국가뿌리산업진흥센터 등의 자료를 이용하여 설문지 플랫폼을 통한 온라인 조사를 진행하였다. 분석 방법은 기초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두 집단 간 평균 차이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첫째, 금속중심 공정기술 분야보다 신소재 플랫폼 공정기술 분야가 기업성과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술혁신 체제, 기술축적 역량, 마케팅 역량, 생산화 역량이 비재무적 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연구개발 역량, 기술축적 역량, 제품화 역량, 마케팅 역량이 재무적 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정기술 플랫폼 분야가 비재무적 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Characteristics of ICT-Based Converging Technologies

  • Kim, Pang Ryong
    • ETRI Journal
    • /
    • 제35권6호
    • /
    • pp.1134-1143
    • /
    • 2013
  • The rising pace of technological change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 has provoked technological convergence by providing a new mode of diversification. This paper investigates the nature of ICT-based converging technologies by examining comparative empirical evidence on converging versus nonconverging technologies in relation to the following issues: patent application trends, concentration across technologies, the concentration of patenting activity across firms, R&D efforts, and a technology impact index. For this study, a new operational definition of ICT-based converging technology is derived, and a massive quantity of patents, up to around 600,000, is analyzed. This study follows the 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 as well as the modified European Commission's industry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classification of technologies and industries,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