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r evaluation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3초

쌀가루 및 율무가루의 배합비율, 입자크기 및 수침시간에 따른 율무죽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Job′s tear gruel by various mixing ratio, particle size and soaking time of Job′s tear and rice flour)

  • 이정은;서문희;이현규;양차범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93-199
    • /
    • 2002
  • 죽류의 편의 식품화 및 전통죽의 개발일환으로써 영양적으로 우수한 율무를 이용하여 율무죽을 개발하고자 특성을 조사하였다. 즉, 죽 제조시 쌀가루와 율무가루의 배합비율, 입자크기 및 수침시간에 따른 amylograph 특성을 Brabender visco-amylograph로 측정하였으며, 또한 관능적 특성 및 저장기간동안 율무죽의 품질특성변화를 연구하였다. 쌀가루 및 율무가루의 배합비율에 따른 율무죽의 amylograph 특성을 보면 호화개시온도 및 최고점도는 율무가루의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낮아졌다. 쌀가루 및 율무가루의 입자크기에 따른 amylograph 특성을 보면 호화개시온도는 입자의 크기가 미세할수록 낮았으나 최고점도 및 consistency는 입자의 크기가 미세할수록 높았다. 쌀가루 및 율무가루의 수침시간에 따라서 호화개시온도는 수침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약간 낮아졌으며 5$0^{\circ}C$의 냉각점도 및 consistency도 수침하지 않은 시료가 가장 높았고 수침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낮았다. 쌀가루와 율무가루의 배합비율에 따른 율무죽의 관능검사 결과 율무가루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색의 기호도는 저하되었으나 구수한 맛은 높게 평가되었고 전반적인 기호도는 쌀가루와 율무가루의 배합비율이 50:50인 경우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율무죽을 제조한 다음 4$^{\circ}C$ 온도에서 14일 저장하는 동안 율무죽의 pH 및 점도 변화는 쌀가루와 율무가루 배합비율, 입자크기 및 수침시간에 따라 저장 초기에서 저장 6일까지 약간 증가하는 현상을 나타내었으나 저장 6일 후에는 감소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쌀가루와 율무가루를 이용한 죽의 제조시 고려되어야 할 배합비율, 입자크기, 수침시간에 따른 특성, 관능적 특성 및 저장성을 살펴보았으며 추후 산업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할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수술 전 검사 시기에 따른 자기공명영상과 관절경상의 회전근 개 파열의 크기 비교 (Comparison of Preoperative Magnetic Resonance Image (MRI) and Arthroscopic Rotator Cuff Tear Size according to Timing of MRI)

  • 박창민;채승범;최창혁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6권1호
    • /
    • pp.10-16
    • /
    • 2013
  • 목적: 회전근 개 파열 환자에서 수술 전 시행한 자기 공명 영상 검사를 수술까지 경과되는 시간을 기준으로 분류하고 수술 시 관절경상의 회전근 개 파열의 크기와 비교하여 자기 공명 영상 재검사의 필요 여부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10예에서 수술 전 시행한 자기 공명 영상 검사를 시기에 따라 수술 전 1개월(A군, 평균 16일, 44예), 1개월~6개월(B군, 평균 91일, 41예), 6개월~1년(C군, 평균 230일, 25예)으로 분류하여 관절경하 회전근 개 파열의 전후방 크기(길이) 및 내측 퇴축의 크기(너비)를 비교하였다. 결과: A, B, C군에서 관절경상 파열의 크기가 더 크게 나타났으며 A군에서 시행한 자기 공명 영상과 관절경의 회전근개 파열의 크기 차이는 길이와 너비 각각 3.6(${\pm}1.2$) mm, 0.6(${\pm}0.4$) mm, B군에서는 4.2(${\pm}1.7$) mm, 2.4(${\pm}1.1$) mm, C군에서 4.5(${\pm}2.1$) mm, 3.0(${\pm}1.5$) mm의 차이를 보였다. 각 군간 파열의 길이 및 너비는 자기 공명 영상 검사와 수술까지의 시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 수술 1년 이내에 시행한 자기 공명 영상 검사상 회전근 개 파열의 크기는 관절경 소견과 유사하였으며 수술 시 추가적인 자기 공명 영상 검사는 필요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Serial comparison of outcomes between full-thickness rotator cuff tear and partial-thickness rotator cuff tear

  • Park, Jin-Young;Chung, Kyung-Tae;Yoo, Moon-Jib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6권1호
    • /
    • pp.72-79
    • /
    • 2003
  • Purpose: To compare the results of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and subacromial decompression in partial thickness rotator cuff tear (PTRCT) with those in full thickness rotator cuff tear (FTRCT). Subjects and method: Of the 46 patients who were rested of the rotator cuff tear based on the operational findings, 42 patients who were able to receive a serial follow-up for 2 years were selected as the study subjects.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at the time of the operation was 55 years, and the mean duration of the follow-up was 34 months. The subjects included 22 cases of PTRCT and 20 cases of FTRCT. In terms of rotator cuff repair, the average number of tendon to tendon repair (TTR) was 1 in both PTRCT and FTRCT, and that of tendon to bone repair (TBR) was 1 and 3 in PTRCT and FTRCT, respectively. The average number of use of suture anchor was 1 and 2 in PTRCT and FTRCT, respectively. The level of shoulder pain and function of the subjects were measured using shoulder functional evaluation score of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ociety (ASES score) at before and 2 years following the operation. Results: At the final follow-up following the operation, PTRCT group showed changes in scores from 7.2 to 0.9 on average pain score and 34 to 91 on ASES score, whereas FTRCT group showed changes in scores from 7.6 to 1.2 on pain score and 29 to 88 on ASES scor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P > 0.05). The average range of motion of shoulder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th groups at the final follow-up in comparison with the pre-operative time point. The evaluation at the final follow-up showed that 93% of the total subjects showed good or excellent results, and 95% showed satisfactory results from the procedure with regard to pain reduction and functional outcomes. Two cases of the 3 fair results were caused by acromioclavicular arthritis. Conclusion: It may be anticipated that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and subacromial decompression may bring satisfactory post-operative outcomes in both PTRCT and FTRCT on pain relief and functional recovery. However, careful preoperative examination of the acromioclavicular joint is critical to avoid failures of these procedures.

65세 이상 고령 환자의 대형 및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한 봉합술 (Repair of Large to Massive Rotator Cuff Tears in the Elderly Patients)

  • 정홍준;전재명;전인호;권준;하상호;양성욱;이지호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5권2호
    • /
    • pp.91-98
    • /
    • 2012
  • 목적: 65세 이상 고령 환자의 대형 및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에서 관혈적 회전근 개 봉합술의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9월부터 2010년 3월까지 대형 및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로 관혈적 견봉 성형술 및 회전근 개 봉합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65세 이상이고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147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형 파열이 67예, 광범위 파열이 80예였으며 평균연령은 69.6세였다. 임상평가는 수술 전과 후 근력, 운동 범위, ASES 점수, Constant 점수를 측정하였고, 87예에 대해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시행하여 건의 연속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ASES 점수는 50.4점에서 88.9점, Constant점수는 47.1점에서 75.2점, 극상근 근력은 51.1%에서 80.8%, 외회전근 근력은 64.5%에서 83.1%, 관절 운동범위는 전방거상이 117.4도에서 153도, 외회전은 23.64도에서 41.8도로 회복되었다. 자기공명영상 추시 검사를 시행한 87예 중 20예에서 재파열이 발생하였고, 1예를 제외하고 모두 광범위 파열에서 재파열이 발생하였다. 결론: 65세 이상 고령 환자에서 회전근 개 파열의 크기가 크더라도 적극적으로 봉합술의 시행을 고려하는 것이 임상적 결과를 호전시키기 위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하방 관절낭 내로 감돈된 내측 반월상 연골의 판상파열 - 2예 보고 - (Incarcerated Flap Tear of the Medial Meniscus into the Inferior Joint Capsule - A Report of Two Cases -)

  • 김병국;이윤석;이동훈;최원철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6-70
    • /
    • 2013
  • 반월상 연골판의 판상 파열은 흔히 관절 내 전위에 의한 증상을 유발하여 수술적 치료를 요하며 특히 파열된 분절이 관절낭 내로 감돈될 경우 자기공명영상 검사 및 관절경수술 시 파열 부위 진단에 실패할 우려가 있으며, 임상적인 특징과 치료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 없다. 저자들은 관절낭 내 감돈된 내측 반월상 연골판 판상 파열에 대한 치험 2예를 보고하는 바, 특징적인 임상 양상의 확인을 통한 이와 같은 병변에 대한 의심이 정확한 수술 전 진단에 있어 중요함을 강조하고자 한다.

  • PDF

Isolated Ruptures of the Infraspinatus: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 Lee, Kwang Yeol;Kim, Sae Hoon;Oh, Joo Han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0권1호
    • /
    • pp.30-36
    • /
    • 2017
  • Background: Isolated infraspinatus tear is very rare and clinical features are not as well know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of isolated infraspinatus tear that authors experienced. Methods: Authors reviewed 288 cases of full-thickness rotator cuff tear involving infraspinatus between 2010 and 2015, and retrospectively analyzed six cases of isolated infraspinatus tear. Perioperative clinical characteristics, postoperative functional outcomes of 6 months were investigated. Functional evaluation included visual analogue scale (VAS), range of motions,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score, and Constant score. Results: Calcific tendinitis was accompanied in 4 cases (66.7%). Three of them received steroid injection or aspiration or extracorporeal shockwave therapy. Mean preoperative pain VAS was 7.1 (range, 5-9), and mean postoperative pain VAS at 6 months later was 1.6 (range, 0-5). Preoperative muscle strength by isokinetic muscle performance test showed 52% deficit of abduction and 37.6% deficit of external rotation. All 6 patients had arthroscopic repair of the infraspinatus tendon. All the patients at the 6 months follow-up exhibited clinical improvement in the Constant score (67.8 [range, 45-77] to 89.3 [range, 81-100], p=0.029), and ASES score (52.3 [range, 30-77] to 90.0 [range, 80-100], p=0.002). There was no healing failure on imaging. Conclusions: Isolated infraspinatus tendon tear was frequently accompanied by calcific tendinitis, but pathophysiologic relationship should need more study. To rule out neurogenic etiology,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electromyography would be helpful. Arthroscopic infraspinatus tendon repair and supraspinatus debridement showed relatively good result in painful shoulder.

조선소 용접복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Welding Clothes in Shipyards)

  • 강희정;최혜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1169-1178
    • /
    • 2008
  •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compiled by conducting interviews and preliminary surveys, and then handed out to a total of 270 welders working in shipyards to investigate their opinions on welding clothes. By which investigation, it was intended to understand their dissatisfactions and issues with conventional welding clothes and then propose of such welding clothes as may offer better fit and suitability. A total of twenty welding suits were collected to find the locations and degrees of wear and tear. Due to too large differences in the locations and degrees of wear and tear among the clothes, the evaluation was focused on ten suits out of the twenty suits collected. The researcher’s subjective judgment was used to select the nineteen most severely damaged parts, which were then photographed in a uniform distance and evaluated by a group of experts in terms of the degree of damage in order to locate most severely damaged parts and select adequate materials for those parts in designing an experimental suit. Based on two above evaluations, the experimental welding suit was produced in consideration of the design, materials and patterns. A lab evaluation and a site evaluation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experimental suit and other conventional suits, a lab evaluation and a field evaluation were performed.

관절경하 내측 반월상 연골 후각부 뿌리 파열의 수정된 견인 봉합술후의 임상적 결과 (The Clinical Results of Arthroscopic Modified Pull-Out Suture for Root Tear of Posterior Horn of Medial Meniscus)

  • 조진호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7-43
    • /
    • 2012
  • 목적: 내측 반월상 연골 후각부 뿌리 파열의 치료에 있어서 수정된 Pull-Out 봉합술을 시행한 후 임상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3월부터 2011년 2월까지 내측 반월상 연골 후각부 뿌리 파열의 치료에 있어서 수정된 Pull-Out 봉합술을 시행 받은 환자 74예 중 최소 12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고 동반 질환이 있는 환자를 제외한 4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49.5세 였다. 체중 부하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Kellgren과 Lawrence분류상 정상이나 초기 퇴행성 관절염(1-2군)이며, 체중 부하 방사선 하지 scanogram검사에서 역학적 축을 측정하였을 때 내반 변형이 없거나 5도 이내의 경도의 내반 변형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골 손상의 정도는 수술 중에 Outerbridge 분류를 사용하였으며, 임상적 결과는 Lysholm knee score를 사용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상 Lysholm Knee Score는 술전 63.9점(범위; 53~78점)에서 술후 86.3점(범위; 72~94점)으로 향상 되었다 (p>0.05). 봉합술이 완전 실패한 경우는 40예 중 3예였다. 이는 현재 경과 관찰중에 있다. 관절연골 병변은 20예에서 내측 대퇴골 체중 부하 부위에 있었고, Outerbridge 분류상 1기 12예, 2기 5예, 3기 3예였다. 결론: 내측 반월상 연골 후각부 뿌리 파열의 치료에 있어서는 먼저 환자의 관절염이나 내반 변형 같은 동반 질환 여부를 가려내는 것이 중요하며, 경도의 관절염이나 내반 변형이 있는 40~60대 중년의 환자에서 수정된 Pull-Out 봉합술을 시행할 경우 비교적 양호한 임상적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견관절 Scoring System의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Shoulder Scoring Systems)

  • 태석기;조성구;정영복;진휘재;김종원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4권2호
    • /
    • pp.173-180
    • /
    • 2001
  • Aim: To evaluate validity and responsiveness of four shoulder scoring systems. Material and Method: Twenty-five cases of shoulder instability(22 traumatic, 3 non-traumatic) and twenty-three cases of rotator cuff tear(12 small or medium, 10 large or massive) treated surgically were evaluated with the Shoulder Function Score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Penn FS), Constant Score, UCLA Shoulder Rating Scale and Simple Shouler Test(SST), preoperatively and at final follow-up. The average follow-up was 16.0 months in instability group and 17.5 months in rotator cuff tear group. Using the SPSS program, Pearson linear correlation coefficiency(PLCC) between the scores were calculated. And to assess the construct validity, PLCC between patients' satisfaction and the scores were also calculated. Responsiveness was measured by the standardized response mean(SRM). Result: In instability group, correlation between the scoring systems was low preoperatively except between Constant and SST, but high after operation. Patients' satisfaction with the scores showed low PLCC preoperativley, but high PLCC postoperatively. SRM was high in PENN and UCLA, but when the satisfaction segment of the score was eliminated from UCLA, the SRM was the lowest. In rotator cuff tear group, there was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scores not only preoperatively but postoperatively. And the patients' satisfaction matched well with the scores. SRM was particularly high in UCLA and SST. Even when satisfaction segment was eliminated from UCLA, the SRM was still the highest. Conclusion : Evaluation by the 4 scoring systems investigated in the study showed less consistency in instability than rotator cuff tear in terms of correlation and validity. Responsiveness was generally higher in rotator cuff tear group than in instability group except for Pennsylvania Shoulder Function Score. Therefore it is construed that use of any among the four scoring systems doesn't make difference in evaluation of rotator cuff lesions. However in instability group, care is needed because different result may be obtain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a scoring system.

  • PDF

회전근 개 파열의 관절경적 치료 시 관절된 관절와 상완관절의 동반 변화 -파열의 정도에 따른 차이- (Associated Changes During Arthroscopic Evaluation of the Glenohumeral Joint in Rotator Cuff Tear - Comparison According to Tear Size -)

  • 최창혁;권굉우;김신근;이상욱;조명래;고상봉;김태훈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7권1호
    • /
    • pp.5-9
    • /
    • 2004
  • 회전근 개 파열과 동반된 관절 내 변화의 전체빈도는 활액막염 (63%), 관절순 이상(54%), 이두박 건 활차의 이상(53%), 이두박 건 이상(41%), 상완골두(30%) 및 관절와(20%) 순 이었으며. 이두박 건 장두, 이두박 건 활차, 관절와의 관절염 변화 등의 경우 2군에서 호발하였다. 또한 수술 시 치료가 필요했던건 주 변화의 경우는 2군에서 이두박 건 활차, 골두, 관절순 및 활액막에서 빈도가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