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ing learning Community

검색결과 273건 처리시간 0.028초

사서 계속교육을 위한 전문가학습공동체 도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for Continuing Education of Librarians)

  • 강지혜;소병문;정영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181-198
    • /
    • 2024
  • 교수·학습 패러다임의 전환에 따라 비정형 학습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주도로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전문가학습공동체를 사서를 위한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적용해보고자 관련 문헌과 사례를 분석하였다. 국내외의 사서와 타 분야의 전문가학습공동체 7개의 운영 사례를 선정하여 학습공동체 구성, 운영 형식과 방법, 학습 내용, 지원 체계 등을 분석하였다. 문헌 검토와 사례 분석을 종합하여 (가칭)사서학습공동체의 개념을 정의하고, 사서학습공동체 구성 및 운영을 위한 시사점으로 구성의 자발성과 다층위성, 학습공동체 운영 형식의 다양성, 학습 내용의 현장성을 도출하였다. 사서학습공동체의 원활한 운영과 활성화를 위한 지원 체계로는 운영기관의 프로그램 운영의 지속성, 소속기관의 지지와 협조, 교육 및 연수 프로그램,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활성화를 위한 성과 확산과 환류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학교 목공 교육의 당면과제 및 대안 -초등 목공 교육을 중심으로- (Current Problems and Their Alternatives of Woodworking Education in School)

  • 김용익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04-413
    • /
    • 2009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current problems and to propose alternatives of woodworking education in school.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Even though woodworking in school has a lot of merits, it has not been fully established yet. Current problems in school woodworking were identified as the absence of educational philosophy of woodworking, unambiguous education objectives, incongruity of educational contents and hierarchy, inadequate quality of teachers, poor surroundings for practice, lack of ancillary materials for teaching and learning, and the absence of community for interchanging information. It was proposed that educational philosophy of woodworking and concrete education objectives should be set up, educational contents should be organized in a proper level, and surroundings for practice should be improved. And, it was also proposed that teacher education should be made to upgrade qualities of teachers, ancillary materials for teaching and learning should be developed, and community for interchanging information should be set up.

  • PDF

Relationship among necessity, importance of creative teaching methods, and strengthening core competencies

  • Choi, Hye-Jung;Park, Jung-Hyun;Kim, Min-Jeo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9호
    • /
    • pp.169-176
    • /
    • 2022
  • 본 연구는 대학에서 창의적 교수법의 필요도와 중요도에 대한 인식과 핵심역량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네이버 온라인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총 142명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창의적 교수법의 중요도, 핵심역량의 하위요인인 현장실무역량, 문제해결역량, 융복합역량, 의사소통역량, 직업윤리, 공동체의식과 창의적 교수법 필요도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교육은 현장에서 실제 할 수 있는 능력인 핵심역량 향상에 초점을 맞추어 액션러닝, PBL 등과 같은 창의적 교수법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적용해야 할 것이다.

교사학습공동체 과학 교사의 PCK 요소 간 상호작용 (Interactions among Component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cience Teachers in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 양정은;최애란
    • 대한화학회지
    • /
    • 제66권1호
    • /
    • pp.15-30
    • /
    • 2022
  • 본 연구는 과학 실천 수업을 위한 교사학습공동체 중학교 과학교사들의 PCK 요소 간 상호작용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하는 5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사전·사후 설문과 면담, 교사학습공동체 논의 녹음, 수업계획안, 수업 영상, 수업 일기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질적 분석을 하였다. 교사학습공동체 교사들의 과학 실천 수업 PCK 요소 간 상호작용은 일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단방향 상호작용과 서로 영향을 주기도 하고 받기도 하는 양방향 상호작용의 두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이 일회성으로 그치거나 연쇄적으로 일어나기도 했으며, 양방향 상호작용의 경우에는 교사학습공동체 한 모임에서 동시적으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거나, 교사학습공동체 여러 모임을 거쳐 연속적으로 양방향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본 연구는 교사학습공동체의 협력적 학습 맥락이 다양한 PCK 요소 및 하위요소 간 여러 가지 상호작용을 복합적으로 촉진하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가정과교사의 교직 의식과 교직 활동 수행 방식 (Home Economics teacher's conscious teaching and modes of teaching performance)

  • 김승희;채정현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6권3호
    • /
    • pp.263-282
    • /
    • 2018
  • This study is us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home economics teachers that could to help develop personal development in home economics teacher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150 home economics teachers who belong to either the home economics teachers' study association or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essociation. The survey was processed with frequency analysis, standard deviations, factor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reliability analysis using SPSS 12.0 depending on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r home economics teachers' conscious teaching, they build their own identities as experts, and have a vocation and sense of duty for their job. The culture of research and investigation community to study education and to maintain collaborativ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of home economics teachers' associations has evolved. Second, home economics teachers have the ability to analyze and manage students' demands in order to perform teaching activities, and understand individual student characteristics. They understand new study trends and curriculum, develop sources for class, use appropriate teaching and learning theories, and create students' reflective activities. In addition, they grow their learning ability as specialist and study in self-oriented ways.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을 한 초임중등과학교사의 과학 탐구에 대한 이해 (Understanding of Scientific Inquiry Developed by Beginning Science Teachers i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 김유림;최애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21-232
    • /
    • 2019
  • 과학 교육에서는 탐구 중심 과학 수업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사들의 과학 탐구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교육 현장에서 과학 탐구 수업이 그 의미대로 실행되지 못하고 있다고 여러 선행 연구에서 언급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사학습공동체에서 과학 탐구 수업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자발적으로 설정하고 1년 이상 과학 탐구 수업 계획, 실행 경험 공유, 반성을 함께 한 5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과학 탐구에 대해 어떠한 이해를 갖고 있는지, 과학 탐구에 대한 이해가 어떻게 변화되었다고 인식하는 지를 개방형 설문과 개별 면담 자료를 통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모든 교사들은 과학 탐구를 '과학자가 하는 일'로 설명하였으며 구체적으로는 '자연 현상에 대한 궁금증을 과학적 탐구 기능을 수행하여 해결하는 과정', '과학 실천을 하여 과학지식을 구성하는 과정'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또한, 학생들이 과학자의 탐구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과학 탐구라고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참여한 두 명의 교사는 과학 탐구가 과학자 또는 학생이 과학을 하는 과정이라는 이해를 기반으로 과학 탐구를 교수-학습 방법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교사들은 교사학습공동체 활동 전에는 과학 탐구가 실험과 동일하거나 손으로 조작하는 활동이 필수라는 탐구에 대한 제한적인 이해를 가지고 있었으나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해 다양한 방법의 과학 탐구가 있으며, 실험을 수행하는 것뿐만 아니라 모형을 개발하거나 사용하여 현상을 설명하고, 학생들 간 증거 기반의 논의에 참여하는 것도 중요한 과학 탐구 과정이라는 발전된 이해를 가지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과 사회 탐구 학습을 위한 웹 기반 코스웨어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eb-based Courseware for Learning Local Community through the Internet)

  • 송수연;이기준;인치호
    • 정보학연구
    • /
    • 제5권2호
    • /
    • pp.1-9
    • /
    • 2002
  • 본 논문은 지역과 사회 탐구 단원을 학생들이 살고 있는 지역 사회인 영월군으로 재구성하고, 이를 웹 기반으로 하는 코스웨어로 구현하여 영월 지역 사회를 조사하고 평가하는 내용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학교 인터넷을 통하여 개별적으로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을 하게 하고, 또 전자 메일을 통하여 보고서나 평가 답안을 교사에게 전송하게 하는 상호 작용적인 학습 활동과 피드백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학생들이 자신이 살고 있는 영월 지역사회를 이해하는데 큰 효과를 가져왔으며, 나아가 학생들이 지역사회의 발전과 보존을 위해 노력하는 자세를 갖도록 하였다. 이러한 웹 기반 코스웨어 방법이 모든 학교에서 이루어진다면 중학교 학생들에게 자기가 살고 있는 지역 사회와 문화 학습과 인터넷을 이용한 자기 주도적 학습과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 향상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협동학습(Cooperative Learning)을 적용한 보건교육 수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rehensive Approach to Health Education: Cooperative Learning)

  • 김은주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51-177
    • /
    • 2004
  • Recently, the educational community has attempted to implement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In approaching multiple intelligences, teachers have applied the same structural approach which has been so successful with cooperative learning. Cooperative learning is easy to learn and implement, fun for teachers and students, and produce profoundly positive outcomes along a remarkable number of dimensions. Different structures are designed for different outcomes, including enhanced mastery of subject matter, improved thinking skills, team building, class building, development of social character and social skills, communication skills, classroom management, classroom discipline, and development of and engagement of each of the multiple intelligences. Cooperative learning is becoming an increasingly popular teaching strategy. In this study, it is aimed to clarify the application of cooperative learning in health education. Cooperative Learning in health education enhances student learning by: 1) providing a shared cognitive set of information between students, 2) motivating students to learn the material, 3) ensuring that students construct their own health knowledge, 4) providing formative feedback, 5) developing social and health group skills necessary for success outside the classroom, and 6) promoting positive interaction between members of different cultural and socio-economic groups. Cooperative Learning structures and techniques in health education are following. Flash Card, Focused Listing, Structured Problem-solving, Paired Annotations, Structured Learning Team Group Roles, Send-A-Problem, Value Line, Uncommon Commonalities, Team Expectations, Double Entry Journal, Guided Reciprocal Peer Questioning, What if. Because the purpose of health education is the practice, therefore health specialists have to guide powerful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 The application of cooperative learning in health education may improve its effectiveness.

교사학습공동체 교사들의 과학 실천 기반 수업을 위한 PCK 구성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ce Practice-Based Instruction Developed by Science Teachers in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 양정은;최애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565-58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과학 실천 수업을 위한 교사학습공동체를 형성한 5명의 중학교 과학 교사들이 1년간의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해 과학 실천 수업에 관한 어떠한 PCK를 구성하였는지 분석하였다. 교사학습공동체에서 교사들은 협력적인 수업 설계, 수업 실행 공유 및 성찰을 반복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전·사후 설문과 면담을 시행하고, 교사학습공동체 모임에 참여 관찰 및 녹음을 하고, 수업계획안, 과학 실천 수업 녹화 영상, 수업 일기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PCK 이론적 틀에 기반하여 연역적으로 분석하고 다시 귀납적 분석을 통해 그 범주를 정교화하고 수정하여 본 연구의 교사들이 과학 실천 교육과정, 과학 실천 교수 전략, 학생의 과학 실천 학습, 과학 실천 학습평가의 네 가지 PCK 요소에 포함된 총 11개 하위 요소의 PCK를 구성한 것을 밝혔다. 본 연구의 교사들은 과학 실천 교육과정에 관한 지식으로 과학 실천 교육과정 자료에 관한 지식, 핵심 개념 선정 및 교육과정 구조화에 관한 지식을 구성하였고, 과학 실천 교수 전략에 관한 지식으로 과학 실천 특이적 전략, 과학 실천 활동 선정 및 구조화 전략, 과학 실천 학습 가이드 전략에 관한 지식을 구성하였다. 학생의 과학 실천 학습에 관한 지식으로 과학 실천 선지식, 과학 실천 수행 어려움, 과학 실천 동기, 과학 실천 수행 다양성에 관한 지식을 구성하였고, 과학 실천 학습 평가에 관한 지식으로 과학 실천 학습 평가내용, 과학 실천 학습 평가 방법에 관한 지식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교사들이 구성한 과학 실천 수업 PCK는 학생들의 과학 실천을 통한 핵심 개념 학습을 위해 고도로 구조화된 지식으로 사료된다.

수학 수업의 성찰적 실천을 위하여 : 학교 안 수학교사 학습공동체 운영 사례 연구 (For the Reflective Practice of Math Classes : Case Study on the Learning Community of Math Teachers in a School)

  • 오택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8권1호
    • /
    • pp.105-126
    • /
    • 2016
  • 수학 수업은 특정 교실의 학생과 교사의 독립적인 영역으로 간주되어 왔다. 최근 수업 전문성 신장에 관한 논의에서는 수학 수업의 개선을 위해 교사공동체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는 관점이 확산되고 있다.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학습공동체의 조직과 운영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사항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학교에서 학습자의 참여를 촉진하는 수학 수업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학습공동체의 운영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학습공동체를 통해 수학 및 수학 수업에 대한 신념과 목표를 공유하게 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자신과 동료의 수업에 대한 성찰하고 그 결과를 자신의 수업에 반영하여 수업 개선을 실천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실질적인 수업 개선을 위해 학교 안에서 학습공동체를 통하여 교사들에게 수업을 대상화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