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s' experiences

검색결과 664건 처리시간 0.026초

영유아교사의 친밀관계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for Young Children on Their Depression: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ir Self-compassion)

  • 최인숙;채진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201-218
    • /
    • 2020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for young children on their depression and to see whether there would be a mediating effect of their self-compassion. Methods: The subjects were 206 teachers recruited from Seoul and five different provinces who currently worked at the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s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urvey.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frequency, percentages, Cronbach's reliability coefficient and Pearson's correlation using SPSS 25.0 and model 4 provided in The PROCESS macro for SPSS 3.4 version. Results: The findings were as followed. First, the teachers' degrees of anxiety and avoidance for their close relationships were below the median scores. In contrast their degree of self-compassion was above the median score. In addition, their level of depression was relatively low. Second, both of the teachers' anxiety and avoidance for their close relationship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ir depression and their self-compassion, and there were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in both cases. Conclusion/Implications: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early attachment experience connecting the experience in close relationships in the adulthood is important an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o enhance teachers' self-compassion to protect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학교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 분석 - 인천광역시교육청 교원들을 대상으로 - (An Analysis on the Teachers' Perception on School Library Services: Targeting the Teachers in Incheon City Office of Education)

  • 박주현;허우정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581-61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고등학교 교원들의 학교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분석하여 학교도서관 서비스의 내용과 방향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기초정보를 얻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인천광역시교육청 소재 초·중·고등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원 498명을 대상으로 독서실태, 학교도서관 인식과 정서, 학교도서관 이용 경험, 학교도서관 활용 수업 경험, 사서교사의 역할 인식에 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학교급과 학교도서관 근무인력에 따라 학교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과 정서와 경험에 차이가 있었다. 특히 학교도서관 근무인력은 교원들의 학교도서관 서비스 인식과 정서와 경험에 상당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실습과정에서 나타난 예비과학교사의 감정 경험과 감정 표현 규칙, 조절 전략의 탐색 (Exploring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Emotional Experience, Display Rules, and Controlling Strategies During Teaching Practice)

  • 김희경;이나래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31-25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과학교사들이 교육실습 과정동안 겪는 감정경험을 탐색하여 그 특징과 교사교육에의 시사점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3명의 예비 과학교사들에 교육실습 직전과 직후에 감정경험에 관련된 요소에 대한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그 중 9명에게는 실습기간동안 작성한 감정일지를 수집하였고, 실습 후에는 4명의 학생에게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주요한 자료원으로는 교육실습 기간 동안 참여학생들이 교사로서 수업한 녹화 자료와 연구자의 관찰 일지, 참여 학생 스스로 매일 작성하는 감정 일기, 심층면담 자료이다. 분석 결과, 첫째, 연구결과, 예비과학교사들은 교육실습 과정동안 한국인의 기본 감정(Lee et al., 2008)으로 분류되는 25가지 감정을 모두 경험하며 이를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나, 교생실습과정은 예비과학교사들에게 다양한 감정경험의 장임을 보여주었다. 주요한 긍정적 감정경험의 원인은 학생과의 긍정적 상호작용이었다. 반면, 부정적 감정경험에서는 학생, 교사 모두 언급되었다. 예비과학교사들은 학생과의 감정적 상호작용에 대해서는 민감하게 반응하며 중요하게 여긴 것에 반해 지도교사나 학교와의 갈등에 대해서는 어쩔 수 없는 상황으로 여기며 자신에게 귀인하는 특징을 보였다. 또한, 부정적 감정은 긍정적 감정경험보다 3배 정도 많이 언급되어 교육실습과정시 주로 부정적 감정에 대한 자각이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부정적 감정의 발생을 인식했을 때 교생들은 학생에 대해 부정적 감정을 표현하면 안 된다거나 화를 내면 안 된다는 나름의 감정규칙을 공유하고 있었다. 따라서 각자 그리고 상황에 따라 여러 감정조절 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조절 전략에는 크게 내면행위와 외면행위로 나눌 수 있었으며, 내면 행위에는 '다른 학생의 행동을 보면서 위로삼기', '이해를 위해 노력하기', '좋은 점 찾기' 등이 있었다. 외면행위에는 '무시하기', '참기', '포기하기', '회피하기' 등이 나타났다. 물론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감정조절에 실패하여 이로 인해 추가적인 부정적 감정을 경험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른 과학교사교육에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초임보육교사의 웹기반 학습경험, 학습유형, 인터넷 자기효능감이 웹기반 학습신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eb-based Learning Experiences, Learning style, and Internet Self-efficacy on the Beliefs of Beginning Child Care Teachers about Web-based Learning)

  • 윤갑정;김미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26
    • /
    • 2014
  • 본 연구는 초임보육교사의 웹기반 학습경험, 학습유형, 인터넷 자기효능감이 웹기반 학습신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P시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초임보육교사 21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자료분석은 t 검증, ANOVA, 상관분석,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초임보육교사의 웹기반 학습경험 중 온라인교사 커뮤니티 이용 유무와 빈도에 따라 웹기반 학습신념에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초임보육교사의 학습유형에 따라 웹기반 학습신념에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융합형의 교사들이 웹기반 학습의 어려움에 대한 신념이 높았다. 셋째, 초임보육교사의 인터넷 자기효능감은 웹기반 학습신념과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인터넷 자기효능감이 높은 교사들이 웹기반 학습의 행동적 신념과 맥락적 신념이 높았다. 넷째, 초임보육교사의 웹기반 학습신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행동적 신념, 맥락적 신념, 어려움 신념에 따라 그 영향요인이 달랐으며 주로 온라인교사 커뮤니티 이용과 인터넷 자기효능감이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초임보육교사의 웹기반 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신념을 높이기 위해 이들의 웹기반 학습경험과 인터넷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 모색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단위학교 초등과학영재학급 영재교사의 영재교육 운영에 대한 현상학적 탐색 (A Phenomenological Study of Gifted Class Management by the Teachers of Elementary Gifted Class in Science)

  • 주연정;여상인
    • 영재교육연구
    • /
    • 제24권6호
    • /
    • pp.935-95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 초등과학영재학급의 영재교사를 대상으로 이들의 영재교육 운영에 대한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저소득층 밀집지역에 위치한 단위 학교 초등과학영재학교 영재교사 4명이며, 연구 참여자에게 인터뷰를 실시하고 현상학적 연구 방법인 Giorgi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이들의 영재교육 운영 경험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영재교사들의 느낌, 생각, 행동, 생활변화를 중심으로 연구 참여자의 경험을 분석한 결과 총 123개의 유의미한 진술을 도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총 26개의 주제와 12개의 중심의미를 규명하였다. 이렇게 분석된 중심의미와 주제를 토대로 영재교사의 경험이 가지는 의미에 대하여 상황적 구조적 진술과 일반적 구조적 진술을 하였다. 단위학교 초등과영재학급 운영에서 영재교사가 경험하는 문제점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단위학교 수준에서의 영재학급 운영에 대한 개선점 등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소규모학교 과학실험 보조교사의 경험이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 수업 불안 및 과학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Experience as a Science Experiment Assistant Teacher on the Science Instruction Anxiety and the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in Small Scale School)

  • 신애경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09-118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소규모학교 과학실험 보조교사로 참여한 경험이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 수업 불안과 과학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초등 예비교사 21명을 선정한 후 약 10개월 동안 초등학교에서 과학실험 보조교사 업무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예비교사들에게 과학실험 보조 교사로 참여하기 전과 보조교사가 끝난 후에 과학 수업 불안과 과학 교수 효능감을 알아보는 검사를 실시하였고, 검사 결과를 분석한 후 일부 예비교사는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소규모학교 과학실험 보조교사 경험은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 수업 불안도와 그 하위 요소인 과학 수업 상태 불안도 및 과학 수업 특성 불안도 모두를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또한 과학 교수 효능감과 그 하위 요소인 과학 교수 자기 효능감에서는 효과가 있었으나, 과학 교수 결과기대감에서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과학실험 보조교사 경험은 예비교사의 개인적인 경험 및 인식에 따라 그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신규가정과교사의 경험 탐색 (Exploring the Experiences of Novice Home Economics Teachers Using Photovoice)

  • 전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9-38
    • /
    • 2024
  • 이 연구의 목적은 신규가정과교사로서의 교사생활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있다. 연구내용은, 신규가정과교사는 첫 1년 동안의 교사생활에서 무엇을 경험하며 이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이다. 연구방법론은 포토보이스를 활용하였다. 연구참여자는 2022년 가정과교사 중등교사 임용시험에 합격한 후 3월부터 수도권 중학교에 근무하는 신규가정과교사 3명이며, 2022년 2월~2023년 1월에 걸쳐 서면 인터뷰(2월, 1회), 포토보이스(3월~12월, 9회, 총 81장의 사진과 사진별 현장 노트), FGI(여름방학과 겨울방학)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주제 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신규가정과교사의 내러티브는 크게 가정과교사 이야기와 신규교사 이야기로 구분되었다. 신규가정과교사는 가정과교사로서, '가정교과는 실천교과이다', '가정과교사는 변화를 만드는 교사이다', '가정교과는 학교 현장에서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고 있다'의 하위주제로 자신들의 내러티브를 구성하였다. 또 신규교사 이야기의 하위주제는 '이제 정말 시작이구나', '교직은 멋진 직업이다', '좋은 교사가 되겠다'이다. 이 연구는 신규가정과교사의 첫 1년을 그들의 목소리로 생생하게 탐색함으로써 신규교사의 학교생활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였고, 연구전략이자 교육전략인 포토보이스의 가능성을 넓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보육교사의 언어발달지체 유아 지원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s in Teaching Young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 Delays)

  • 이연우;김소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85-106
    • /
    • 2024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eaching young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 delays. Methods: Eight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experience teaching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 delays were interview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ranscription, coding, and theme generation processes, resulting in three main themes and seven sub-themes. Result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mentioned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due to language development delays, the need for communication support with peers, and a lack of support from families. Second, the guidance for young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 delays was provided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children and through collaboration among various stakeholders. Third, early childhood teachers requested tailored training for teaching young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 delays. They also called for the establishment of a cooperative system amo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families, and specialized agencies. Conclusion/Implication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a discussion was conducted on the support needed for guiding young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 delays, and suggestions were made for further research in this area.

지구과학 교사의 천체 관측 활동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Earth Science Teachers' Experiences of Astronomical Observation Activities )

  • 엄흥진;심현진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6권2호
    • /
    • pp.195-211
    • /
    • 2022
  • 이 연구에서는 5명의 지구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통해 천체 관측 활동 경험이 가지는 의미를 현상학적으로 탐색하였다. 연구 참여자에게 Seidman의 3단계 면담법을 수정하여 개발한 질문지를 제공하고, 반구조화된 면담을 거쳐 자료를 수집하였다. 면담 자료의 분석을 거쳐 천체 관측 활동의 교육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교사들은 교원양성과정에서 수강한 관측 천문학 실습 강의를 통해 천문학과 관측에 대한 체계적인 기초 지식을 형성하였고, 교사가 된 이후에는 주로 동료 교사들의 도움을 얻어 실질적으로 천체 관측 활동을 수행하는 요령을 익혔다.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천체 관측 활동을 기획하고 실행하면서 교사들은 학생의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진로에 대한 인식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하였고, 따라서 천체 관측 활동의 교육적 가치를 높이 평가하였다. 천체 관측 활동은 교사 본인에게도 매우 큰 보람과 만족감을 주는 활동이고, 지구과학 교사로서의 자긍심을 고취하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교사들은 학교 현장에서 관측 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내적/외적인 장애 요인으로 인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교사들이 천체 관측 활동을 시도하거나 지속하기 위해서는 내적 장애 요인의 해결이 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위해서는 적절한 시기의 연수를 통한 내용적 지원으로 자신감을 북돋아 주고, 교사 연구회와 같은 동료 집단에서 경험을 공유할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보육교사의 직업적성 및 책임감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eachers' Vocational Aptitude and Sense of Responsibility on Their Teaching Efficac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 채진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57-72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eachers' vocational aptitude and sense of responsibility on their teaching efficac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259 teachers in ECEC were recruited from 19 daycare centers and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percentage, Pearson's correlations, and stepwise regression using SPSS 18.0.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teaching efficac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age, the number of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 and education levels. Second, all degrees of teachers' vocational aptitude, sense of responsibility, and their teaching efficacy were higher than the median points. Second, teachers' efficacy relating with running class was affected most by the ability of safe management in vocational aptitude, and teaching methods in sense of responsibility. For teachers' efficacy relating to teaching, acceptability/sensitivity in vocational aptitude and motivation had the most impact. The implication was discussed in order to figure out the ways to increase teachers' effic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