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Infant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26초

유아음악활동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about Early Childhood Music Activity)

  • 김지영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89-397
    • /
    • 2008
  • This study is investigating the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early childhood music activity. The subjects are early childhood teachers(N=217) working at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in Jeonbuk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 questionnaire and analyzed with the tests of frequency, Cronbach's $\alpha$, t-test, ANOVA and Duncan.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being aware of importance of infant music activity in the order of "aesthetic exploration", "artistic expression", and "art appreciation". Second, according to teachers' working place, the teachers have no differences of perception in early childhood music activities, while, according to children's age in the class which the teachers are taking charge of, they show differences of perception in the activities of "exploring movements " and "respect for artistic expression". Third, according to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career, they have difference of perception in "singing" activity only, while according to their education level, they have no differences of perception in all music activities. According to teachers' age, they have differences of perception in the activities of "aesthetic exploration", "exploring sound", and "singing".

어린이집 교사의 개인변인과 기관변인에 따른 직업행복감 연구 (A Study on Childcare Teacher's Career Happiness according to Personal and Organizational Variables)

  • 강은진;김정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1-39
    • /
    • 201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dition of career happiness according to personal and organizational variables of childcare teachers. Method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035 teachers were surveyed. The validity of the career happiness survey tool was examined through previous research, expert review, and factor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individual variables influencing career happiness of childcare teachers were mainly age,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career happiness of teachers over 40 years old and teachers under 29 years old. Second, the teachers at home daycare centers showed a high level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working hours. The teachers at workplace daycare centers have a good balance between work and life, and teachers at corporate group daycare centers have a high sense of happiness about income. The childcare teacher's career happiness was generally higher than infant teachers, and the support of the assistant teacher had an effect on the career Happiness of the teachers.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separate teacher support is needed to increase the career happiness of teachers according to their age and institutional variables.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어린이집교사 온라인 상담의 내용분석 (Text Mining Analysis of the Online Counseling Contents of Nursery School Teachers)

  • 전지원;임선아;정윤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253-272
    • /
    • 2020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ounseling contents of daycare center teachers by using text min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s to find the necessary support directions for daycare teacher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care. Methods: Five hundred thirteen cases of counseling recorded on the open bulletin board of online counseling (Naver Bands for Nursery Teacher Counseling) were collected, and frequency analysis, centrality solidarity analysis, and machine learning-based topic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NetMiner4.3 program. Results: First, 'teacher-to-child ratio' was highest in the frequency. Second, 'colleagues' were all high in all centrality analysis. Third, machine learning-based topical analysis shows that the topics were categorized as subjects about 'childcare and education', 'working environment that support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working condition', and among them, 'first-time teacher concerns' accounted for 44% of the total counseling content.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implied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high-quality child-care and education to infants by lowering the 'teacher-to-child ratio', and a systematic program is needed to help improve effective communication skill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uch as between parents, fellow teachers, and principals. In addition, self-development and efforts to improve teachers expertise should be prioritized in order to improve infant care quality and quality of teachers.

만2세 미술영역 운영현황 분석과 보육교사의 반성적 인식 탐색 (Analysis of the Daily Teaching Plan and Reflective Thinking of Edu Care Teachers About Art Area)

  • 박수정;배지현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3-3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만2세 일일보육일지에 나타난 연간 미술영역의 운영현황을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제공하여 보육교사의 반성적 인식에 도움을 주어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6명의 보육교사의 일일보육일지 1년 분량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담임교사에게 제공하여 자신의 미술영역 운영에 대한 반성적 인식을 도모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일일보육일지에 나타난 미술영역의 운영현황으로 예술경험에서는 예술적 표현하기가, 표현유형별로는 평면표현이, 미술도구에서는 가위와 테이프가, 평면 바탕재료에서는 종이가, 평면 채색 재료에서는 색연필이, 입체 표현재료에서는 인공재료 사용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둘째, 만2세 미술영역 운영현황 분석결과에 대한 교사의 반성적 인식은 감상이 빠진 영아미술, 미술재료의 편중, 영아미술의 모호함, 획일적인 미술활동이라는 한계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보육계획상의 문서와 실제의 통합적 인식을 도왔다는 점, 보육교사 자신의 일일보육일지 분석자료가 자기장학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 것이다.

영아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주는 영향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and Ego-resilience on the Burnout of Infant Teacher)

  • 한애희;안혜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460-466
    • /
    • 2017
  • 본 연구는 영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제주시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영아교사 200명이었으며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와 소진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교사의 소진은 낮았으며 자아탄력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교사의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소진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아교사의 소진에 대한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사회적 지지보다는 자아탄력성이 더 많은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영아교사의 소진과 관련하여 영아교사 자신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영아교사의 소진을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 증진 방안을 모색하는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성격유형과 교사효능감의 관계 및 영향력 분석 (An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ity Factors and Teacher Efficacy)

  • 고정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341-346
    • /
    • 2019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성격유형과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성격유형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G지역의 3,4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228명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고,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성격유형과 교사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격유형 중 외향성과 교사효능감이 가장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신경증은 교사효능감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성격유형 교사효능감을 의미 있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25%의 설명력을 보였다. 또한 예비유아교사의 성격유형 중 외향성이 교사효능감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예비유아교사의 성격유형 중 외향성이 강한 예측 변인으로 나타나 교사효능감 증진에 외향적인 성격이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해 외향적인 특성을 함양하기 위한 예비유아교사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어린이집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의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편성·운영 실태 (Recognition,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the Third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of Teachers of 0 to 2-year-olds and 3 to 5-year-olds In Child Care Centrer)

  • 김현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389-396
    • /
    • 2016
  • 본 연구는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들의 인식 및 편성 운영 실태를 분석하여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적용과 운영의 실제 변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보육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들의 인식, 편성 운영 실태는 어떠한지와 영역별 실행정도는 어떠한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은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인식 및 편성 운영 실태에 관한 질문지를 구성하고 경상남도의 보육교사들을 연구대상으로 총 300부의 질문지를 배부하여 267부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연구자료는 t 검증 및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린이집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들은 대체로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을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어린이집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들은 대체로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을 적절히 편성 및 운영하고 있었다. 셋째, 영아반 교사와 유아반 모두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을 영역별로 실행하고 있었지만 영역별 실행도는 차이가 있었다.

초등학교 교사의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Nutrition Education)

  • 김경애;정난희;오순희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3-30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nutrition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Most of the teachers responded that nutrition education necessitate in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the main reason for necessity of nutrition education was for proper growth, they thought starting period of nutrition education was to begin when children are in a kindergarten and a infant home. The perception for a suitable person to teach the nutrition education showed dietician, parents, class teacher and a related teacher in oder and the time of that is a related class, as a spare time at everyday, a special activity time, and service a meal in order. Importances of the contents of a nutrition education were proper eating habits, growth and nutrition, a food hygiene and a disease in order. Problems of elementary students' nutrition were a unbalanced eating, a ingestion a processing and instant food too much, lack of table manner, fatness and a weak child in order. The most of expected effects through the nutrition education were a good table habits and manners, the way of a efficient nutrition education were a need of link with parents, a need of link the dietician. a teacher's class and training in order. The average score of nutrition knowledge was 6.3$\sim$6.9 out of 10 and teachers of Gwangju scored more higher on nutrition knowledge than teachers of Jeonnam, as they arranged a dietician was so.

  • PDF

장애 영유아 교사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Job Stress in Disabled Infant Teachers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 김미림;정용충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41-49
    • /
    • 2021
  • 본 연구에 목적은 장애 영유아 교사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들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중앙 육아종합지원센터에 등록된 수도권(서울, 경기도)의 장애아 전문어린이집 장애 영유아 교사이며,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203부룰 회수하고 불성실한 응답 9부을 제외한 194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감정노동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감정노동 수준이 높을수록 회복탄력성이 낮았다. 셋째,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이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장애 영유아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예방하고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영유아교사의 행복감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A Effects of Infant Teachers' Happines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 조혜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578-58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교사의 행복감이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울산광역시의 영유아교사 16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수 간의 인과 관계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유아교사의 행복감 하위 요인인 자기 조절 행복감은 정서적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적 행복감과 외적 행복감 요인은 정서적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영유아교사의 행복감 하위 요인인 자기 조절 행복감은 유지적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적 행복감과 외적 행복감 요인은 유지적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유아교사의 행복감 하위 요인인 자기 조절 행복감 요인은 규범적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들의 조직 몰입 향상을 위한 실천적 개입 방안 마련의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