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 Cognition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19초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육 실습 지도 영역에 대한 지도 교사와 교육 실습생의 인식 비교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Cognition of Instruction Teacher and Student-teacher about Role of Industry Vocational Subject Educational Practice Instruction Teacher)

  • 이상현;이병욱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9-3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육 실습생의 지도 영역을 구안하고, 이 지도 영역의 중요도에 대한 교육 실습 지도 교사와 교육 실습생의 인식 수준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특성화고 전문교과 교사의 교육실습 지도 영역을 구안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문헌 고찰과 전문가 검증을 통해 공업계열 전문교과 예비 교사 교육 실습 담당 지도 교사의 지도 영역을 구안하고, 교육 실습 지도 교사와 교육 실습생의 이 영역에 대한 중요도의 인식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 실습 지도 교사가 교육 실습생에게 지도해야할 지도 영역으로는 7개 대영역, 17개의 중영역, 85개의 세부 지도영역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문가들은 예비교사에게 교사의 가치관 및 인성 형성 영역이 추가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였으며, 학교 업무와 관련된 영역은 교육 실습 지도 교사가 지도할 영역으로 그 타당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둘째, 교육 실습 지도 교사는 '바람직한 교육관 태도 형성 영역', '수업 활동 영역', '학생 지도 및 학급 경영 영역'이 중요하다고 인식한 반면, '교육활동 지원 영역'과 '산학협동 및 지역 사회와의 연계 영역'은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교육 실습생은 대체적으로 모든 영역의 중요도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바람직한 교육관 태도 형성 영역', '학생 지도 및 학급 경영 영역', '전문성 향상 영역', '수업 활동 영역'의 중요도가 높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 실습 지도 교사와 교육 실습생 모두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지도 영역은 '수업 활동 영역', '학생 지도 및 학급 경영 영역', '바람직한 교육관 태도 형성 영역'이었다. 반면 교육 실습생은 중요하게 인식하지만 교육 실습 지도 교사는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다고 인식하는 영역은 '전문성 향상 영역'이었다. '교육 과정 개발 및 운영 영역', '교육 활동 지원 영역', '산학협동 및 지역 사회와의 연계 영역'은 두 집단 모두 중요도가 낮다고 인식하였다.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아동의 스트레스 유형별 관련변수 비교 (A Comparison of Related Variables According to Children's Stress Types Using the Data Mining Method)

  • 이혜주;정의현
    • 아동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11-127
    • /
    • 2012
  • This study compared a number of related variables according to children's stress types using the data mining method. The sample population was taken from the Korean Youth Panel Survey (KYPS) data (2688, sixth-grade elementary students). The results of the decision tree model revealed that : (1) Parental expectations in terms of study, life satisfaction, self-esteem, parental attachment, aggression, the spousal relationship, other cognition (one's own misdeeds), and study related worries were all related to parent stress. (2) Life satisfaction, study related worries, admitting one's own misdeeds, gender, other cognition (one's own misdeeds), aggression, the spousal relationship, and a sense of alienation in the school were all related to appearance stress. (3) Study related worries, parental expectations in terms of study, aggression, life satisfaction, self-esteem, parental attachment, satisfying parental expectations, parental attachment, and teacher attachment were all related to academic stress. (4) A sense of alienation in the school, mixing with peers in the school, aggression, self-esteem, other cognition (one's own misdeeds), study related worries, parental abuse, and life satisfaction were all significantly related to friend stres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children's diverse conditions should be considered according to the stress types if we are to understand and cope with these stress types more efficiently.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모델의 평가와 수정 과정에서 나타난 예비화학교사의 모델의 본성에 대한 인식 변화: 보일 법칙을 중심으로 (Changes in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Cognition of the Nature of Model in the Evaluation and Modification Process of Models Using Technology: Focusing on Boyle's Law)

  • 정나진;백성혜
    • 대한화학회지
    • /
    • 제68권2호
    • /
    • pp.107-116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모델의 평가와 수정 과정에서 나타난 예비화학교사들의 모델의 본성에 대한 인식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다. 모델의 본성에 대한 인식 변화는 선행연구에서 예비화학교사들에게 부족하다고 판단된 표상적 측면의 함축화와 간단화, 설명적 측면의 해석, 추론, 설명, 정량화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충청북도에 있는 사범대학의 3학년 예비화학교사 19명을 대상으로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개발한 보일 법칙 관련 모델을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모델을 수정하여 최종 평가하도록 요구하였다. 연구 결과, 표상적 측면의 간단화, 설명적 측면의 해석, 설명, 정량화에 대한 예비화학교사들의 인식이 모델의 평가와 수정 과정을 통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모델의 본성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기 위해서는 모델의 평가와 수정 과정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표상적 측면의 함축화와 설명적 측면의 추론에 대한 인식 변화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요소들에 대한 인식은 다른 요소들의 인식보다 변화하기 어려운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예비화학교사들을 위한 보다 정교한 교육 설계가 필요하다.

가법성에 대한 예비 초등교사의 반응 연구 (A Study on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Reaction for the Additive Property)

  • 정영우;김부윤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29권2호
    • /
    • pp.189-205
    • /
    • 2013
  • Addition problems can be divided into the 'problem of quantity' which does not have the concept of object or unit, and the 'problem of number' which have the concept of object or unit. 'Additive property' is the factor which has to be considered in the former case. On the other hand, 'additive property' is not considered and meaningless in the latter case. However, this additive property is not emphasized in the elementary curriculum that mostly deals with quantitative problems, so related errors are occurred in actual life. In this study, we will investigate to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rough the problems of deciding the additive property. The result shows that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cognition of additive problems is insufficient. This study will provide focal points in the teacher education and the elementary education, and the clues for the operating programs through the information about the tendency of errors.

과학 실험 실습 교육에서 초등 교사가 느끼는 딜레마 (Elementary Teachers' Dilemmas of Teaching Science Practical Work)

  • 윤혜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7권2호
    • /
    • pp.102-116
    • /
    • 2008
  • In their teaching practice, teachers encounter multi-dimensions of pedagogical challenges. The recognition and reflection on these challenges is crucial to advance our science teaching. This study looked into science teachers' dilemmas of their teaching practical work through their written cases. Dilemma cases are teachers' narratives organized around important events of teaching and learning. It can reveal teachers' situated cognition and be used as lens to investigate complex realities of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26 pre- and in-service elementary teachers' dilemma cases of science practical work were carefully collected and analysed to interpret what constitute tensions in elementary science practical works. They were largely grouped into three: Curriculum and Institutional Relevance, Students Relevance, Nature of School Experiments Relevance and divided into 7 subheadings: 'Authority of Curriculum(textbook)', 'Disappointment at external support', 'Students' interests and safety', 'Students' unscientific and inert attitude', 'Difficulty of showing expected results', 'Generalization through experiment', 'Knowledge acquisition and authentic inquiry'. Each dilemma was interpreted in terms of the tensions which constitute contradictory beliefs, values, expectation and realities. These dilemmas enabled to expose actual conditions of elementary science practical work and teachers' challenges otherwise can not be seen easily. Science teacher educators also can get some implications to overcome the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in their teacher education.

  • PDF

교사의 체육수업지도에 따른 초등학생의 인식 (Cogni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to Teaching Method and Management of Physical Education)

  • 황선희;박익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449-456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체육수업지도에 따른 초등학생의 인식을 분석하여 보다 즐겁고 효율적인 수업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으로, 초등학교 5.6학년 319명(남자 160명, 여자 15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통해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체육수업 시 교사의 설명에 대해 학생들은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또한 교사의 시범, 지식에 대해 학생들은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 체육수업활동 시 교사의 설명이나 지도를 통해서 얻는 움직임의 지식에 대한 남녀 학생의 의존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평가와 질서유지에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는데 교사의 평가에 대한 공정성이나 신뢰감이 형성되어 있다고 판단되며, 수업활동 참여에 대해서도 상당히 높은 반응을 보여 교사의 적극적인 수업활동 참여를 원하고 있었다. 따라서 체육수업지도 시 제시되는 학생들의 다양한 의견과 생각을 보다 잘 이해하고 가까이 다가서려는 노력을 기울인다면 보다 재미있고 보람차고 긍정적인 체육수업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동티모르 과학교사 연수에 대한 참가자의 인식 연구 (The Case study of cognition of participants in professional development available for science teachers in Timor-Leste)

  • 홍준의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8권3호
    • /
    • pp.543-554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대한민국 과학교사들이 실시하고 있는 동티모르에서의 과학교사 실험 연수에 대해 대한민국과 동티모르 교사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해 참여관찰과 설문 조사, 면담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대한민국 과학 교사들이 동티모르 과학교사 연수를 실시하는 이유는 동티모르 과학교사들의 자발적인 성장을 돕기 위한 것이며, 과학교사로써 국제적인 재능 기부 형태의 봉사활동 수행하는데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민국 과학교사들은 연수를 진행하면서 언어 및 실험 재료 등의 현지화가 절실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동티모르 과학교사 실험연수가 체계를 갖추기 위해서는 동티모르의 과학과 교육과정과 교육 현황에 대한 정확한 자료, 현지 과학교사들의 필요가 무엇인지 파악, 연수 결과에 대한 피드백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연수에 참가한 동티모르 과학교사들은 10년 이내, 20-30대의 교사들이 많았고, 초등보다는 중등교사들의 참여가 많았다. 동티모르의 과학교사들이 연수를 통해 기대하는 것은 과학에 대한 전문성의 심화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연수 참가시 어려운 점은 언어, 비용, 거리 등의 요인이었다.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동티모르 교사들의 평가는 모든 프로그램이 재미있고, 유용하고 학생들에게 필요한 프로그램이라는 것을 강력히 표현하고 있었다. 또한, 동티모르 과학교사 연수의 최종 목표는 동티모르 교사들의 자생적인 연수 능력 획득에 있었는데, 이러한 가능성에 대한 실마리를 얻었다는 것이 중요한 의미이다.

  • PDF

근거 이론(Grounded theory)에 따른 한국 전통 교육에 대한 인식 고찰 (University Students' Cognitive Adaptation types in The Traditional Korean Education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 김민정;김대호
    • 벤처창업연구
    • /
    • 제7권1호
    • /
    • pp.105-111
    • /
    • 2012
  • 한국 교육의 양적 성장이 증대된 지금,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현 교육의 실태를 돌아보아야 할 때이다. 현교육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긍정적 인식의 측면을 파악하고자 한다면, 우리 교육의 역사적 맥락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먼저 알아보아야 한다. 이러한 전통 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것은 앞으로 역사 교육이나 다가올 통일 시대를 대비하여 정립해 나가야 할 인문학 전반의 노력이 되어야 할지도 모른다. 선행연구가 부족한 이러한 인식에 대한 연구 방법으로 근거이론을 통한 질적 연구 방법을 실행하고자 한다. 근거이론의 방법론은 학제 간연계의 가능성을 시사하리라 기대한다.

  • PDF

일부 유치원 및 보육시설 유아교사의 구강보건교육 유무에 따른 구강보건교육 및 치아우식예방효과 인식 (Cognition of oral health education and dental caries preventive effect in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facilities)

  • 정유연;최미혜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7-24
    • /
    • 2014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gnition on oral health education and dental caries preventive effect in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facilities. Methods :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260 teachers in kindergartens and nursery facility in Daejeon from January to February, 2013. Except incomplete answers, 248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WIN 18.0. Results : High intention to participate in oral health education was shown in the teachers who experienced the oral health education. Dental caries preventive effect included correct tooth brushing, fluoride dentifrice, fluoride mouth rinse, and use of xylitol. The teachers agreed that the fluoride mouth rinses would help good oral health in the children. Conclusions : Teachers in kindergartens and nursery facility are the most important persons in childhood oral health care. So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continuing standardized education for the teachers systematically.

서울 경기지역 고등학교의 학생가 과학 교사의 내분비계 장애 물질(환경 호르몬)에 대한 인식 조사 (A Study on the Cognition of High School Students and Science Teachers of Seoul and Province of Gyeonggi on the Endocrine Disruptors)

  • 최수연;소금현;심규철;여성희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9권3호
    • /
    • pp.93-101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gnition of high school students and science teachers on the endocrine disruptor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4 high school students and 26 science teach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Students obtained informations about endocrine disruptors mainly through mass media like TV, radio or lesson in school. Most of them were interested in endocrine disruptors and they thought that endocrine disruptors were very dangerous for people. And they preferred learning materials such as movies, images, and animations, but they didn't want to participate in activity of education on endocrine disruptors actively. Science teachers has agreed to needs of education on endocrine disruptors and has required education programs such as movies, images or animations for effective endocrine disruptors educ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