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s skills

검색결과 230건 처리시간 0.023초

미래사회 과학 역량에 대한 교사 인식과 역량기반 과학교육을 위한 교사 전문성 탐색 (Teacher Perception of Science Competency and Science PCK for Competency-Based Science Education in the Future Society)

  • 곽영순;홍석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65-275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미래사회의 과학교육에 초점을 맞추어 미래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에게 길러주어야 할 핵심역량, 그리고 이러한 핵심역량을 길러주기 위한 역량기반 교육을 실현하는 주체인 미래학교 과학 교사에게 필요한 역할과 전문역량 내용교수지식(PCK) 측면에서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지구과학 전공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05건의 유효한 응답을 확보하였다. 연구결과를 미래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에게 길러주어야 할 핵심역량, 역량기반 교육을 위한 과학 교사의 역할, 역량기반 교육을 위해 필요한 과학 교사의 역할과 교사 전문역량의 구조적 관계 등의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학생역량과 교사 전문역랑의 관계, 그리고 교사의 역할과 전문역량 간의 구조를 살펴보기 위해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미래사회 학생의 핵심역량으로는 의사소통과 협업 능력이, 과학 교사의 역할로는 협업 중심 활동 기회 제공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역할과 교사 전문역량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면 과학수업실천과 관련된 전문역량과 관련하여 협업 중심 활동 기회 제공, 다양한 소재와 콘텐츠 활용 등과 같은 역할과 뚜렷한 관계가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생이 필요로 하는 핵심역량에 대한 교사의 인식 제고에 근거한 학생의 행위 주체성 촉진 방안, 교사 역할과 전문역량 구성요소의 관련성, 교사 전문역량의 총체성 등을 제안하였다.

동티모르 과학교사 연수에 대한 참가자의 인식 연구 (The Case study of cognition of participants in professional development available for science teachers in Timor-Leste)

  • 홍준의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8권3호
    • /
    • pp.543-554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대한민국 과학교사들이 실시하고 있는 동티모르에서의 과학교사 실험 연수에 대해 대한민국과 동티모르 교사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해 참여관찰과 설문 조사, 면담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대한민국 과학 교사들이 동티모르 과학교사 연수를 실시하는 이유는 동티모르 과학교사들의 자발적인 성장을 돕기 위한 것이며, 과학교사로써 국제적인 재능 기부 형태의 봉사활동 수행하는데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민국 과학교사들은 연수를 진행하면서 언어 및 실험 재료 등의 현지화가 절실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동티모르 과학교사 실험연수가 체계를 갖추기 위해서는 동티모르의 과학과 교육과정과 교육 현황에 대한 정확한 자료, 현지 과학교사들의 필요가 무엇인지 파악, 연수 결과에 대한 피드백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연수에 참가한 동티모르 과학교사들은 10년 이내, 20-30대의 교사들이 많았고, 초등보다는 중등교사들의 참여가 많았다. 동티모르의 과학교사들이 연수를 통해 기대하는 것은 과학에 대한 전문성의 심화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연수 참가시 어려운 점은 언어, 비용, 거리 등의 요인이었다.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동티모르 교사들의 평가는 모든 프로그램이 재미있고, 유용하고 학생들에게 필요한 프로그램이라는 것을 강력히 표현하고 있었다. 또한, 동티모르 과학교사 연수의 최종 목표는 동티모르 교사들의 자생적인 연수 능력 획득에 있었는데, 이러한 가능성에 대한 실마리를 얻었다는 것이 중요한 의미이다.

  • PDF

1990년대 미국의 수학전쟁과 몇 가지 시사 점 (Math War in America in 1990's and Its Implications)

  • 김연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3권1호
    • /
    • pp.1-12
    • /
    • 2004
  • We have studied the issues of the current math war in America. Traditionalists and the reformers have been arguing about the curriculums, teaching methods, use of calculators, basic skills, and assessment methods in K-12 mathematics. They both have strengths and weaknesses depending on the situation have contributed for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Instead of choosing between traditionalists and the reformist sides, we suggest to adopt an eclectic view point i.e., rigor and creativity, memorization and understanding that may seem at odds with each other are quite compatible and mutually reinforcing. Also teacher's deep knowledge in mathematics is extremely important as his/her knowledge in pedagogy.

  • PDF

아동의 또래 괴롭힘 가해 및 피해경험과 교사보고에 따른 문제행동과 유능성 : 학년과 성별 비교 (Children's Bullying, Victimization and Teacher's Reports of Problem Behaviors and Competencies)

  • 심희옥
    • 아동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79-92
    • /
    • 2003
  • Data were collected from teacher reports and from 529 1st to 6th grade students through questionnaires. Bullying was higher among boys than girls. Victimization was higher in 2nd, 3rd, 4th and 6th grade boys than girls. Acting out was highest in 2nd graders and lowest in 3rd graders. Shy-anxiousness was highest in 4th and 6th graders and lowest in 1st and 3rd graders. Learning problems were lowest among 3rd graders. Competencies were higher in 1st and 2nd grades. Boys had more problem behaviors; girls showed better competencies. Bullying was positively related to acting out, and negatively related to frustration tolerance and task orientation. Victimiza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shy-anxiousness and learning problems, and negatively related to frustration tolerance, assertive social skills and task orientation.

  • PDF

초등 예비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역량 탐색 및 수업모델 연구 (Exploring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Skills Using Technologies and Study on Instructional Models)

  • 고학능;마대성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97-106
    • /
    • 2019
  • 본 연구는 TPACK, 디지털 리터러시, 메이커 교육 등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예비교사에게 필요한 테크놀로지 활용역량을 탐색하여 5가지 영역 13가지 하위요소로 분류하였다. "테크놀로지 활용과 스마트라이프"를 수강하는 G 교육대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테크놀로지 활용역량을 향상하기 위한 프로젝트 기반 메이커교육 수업 모델을 설계 및 적용하였다. 강의 전후 설문조사 및 강의 후 인터뷰를 통해 대학생들의 테크놀로지 활용역량을 검사하였고 수용적 태도가 향상되었다. 또한 대학생들의 인터뷰, 관찰일지, 상호평가를 바탕으로 프로젝트 기반 메이커 교육모델을 수정하였다.

중.고등학교 가정과 교육목표에 대한 필요평가 (Needs Assessment of the Purposes of Korean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Education)

  • 채정현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89-98
    • /
    • 1996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1) to determine the rank of purposes of Korean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education related to three systems of action: technical, communicative, and emancipatory action by home economics(HE) teachers and HE teacher educators, (2) to compare differences between HE teachers and HE teacher educators concerning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achievement of the purposes of current Korean secondary school HE education. Respondents in this study were 225 HE teachers and 35 HE teacher educators. The survey method was used in this descriptive study. To determine the rank, Borich's needs assessment model was used.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test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o promote a good life and the full development of human beings, to develop creative and critical thinking, to make morally defensible judgments, and to develop self-esteem were needed purposes for Korean secondary school HE education. Overall, the most high ranked purpose needs for both groups related to emancipatory action. The two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on the degree of the importance of evaluating family and social conditions, acquiring the skills needed as a wage earner and a homemaker, developing creative and critical thinking, and demonstrating proficiency of homemaking work. The teachers and teacher educator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on the degree of the achievement of making morally defensible judgments, understanding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taking care of each other.

  • PDF

각가의론 수업에서 학습한 의사소통기술에 대한 학생 인식 조사 (A Survey on Students' Perception of Communication Skills in Class of Theories of Korean Medical Famous Physicians)

  • 조학준;조나영;박정수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3-31
    • /
    • 2021
  • Objectives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provide the education of communication skills in the class of theories of Korean medical famous physicians and to survey students' perception of the effect. Methods : The class of theories of Korean medical famous physicians was newly designed and was given to students. The results from the questionnaire survey with second year students at department of Korean medicine were applied to the evaluation of study issues. The scale used for this study was the modified version of 'Beyer-Fetzer's Essential Elements of Communication Skills Assessment Sheet', which was developed by researchers in line with the education of Korean medicine. Results : In six (except for 'opening a conversation') out of seven categories, post-test results were more improved than pretest results. In the category of communication skills (a total of 25 questions), post-test results were higher than pretest results in all items. Among them, 13 item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regard to the question as to how important the class of communication skills is to raise their professionalism as Korean medicine doctor, post-test result was higher than pretest result. Regarding an appropriate education point of time, there were various points in the entire period of curriculum. The appropriateness of teaching-learning method was positively evaluated. In terms of the content helpful for learning, learner-oriented activities was preferred over teacher-oriented lecturing. Conclusions : The communication skills learned in the class of theories of Korean medical famous physicians were effective. Communications skills should be taught constantly in the entire curriculum in order to raise students' professionalism as Korean medicine doctor. In terms of education method, it is desirable to design a class based on students' various activities, rather than lecturing.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동료교사와의 갈등 원인 및 대응에 관한 연구 (Teacher-Teacher Conflicts in Childcare Centers : Causes and Process of Resolution)

  • 최미미;서영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21-239
    • /
    • 2013
  • 본 연구는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들이 동료교사와의 관계 속에서 어떠한 갈등을 경험하고 있는지 그리고 갈등상황에서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 심층면담을 통하여 알아봄으로써, 동료교사와의 갈등을 원만히 해결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보육교사로 재직 중인 교사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면담은 2011년 9월 7일부터 2011년 10월 4일까지 각각 3~4회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보육교사는 동료교사와의 관계 속에서 경력에 따른 위계질서, 미흡한 사회적 관계 맺기 기술, 개인이 가진 가치관 및 교육관의 차이, 비지원적인 동료교사관계 등으로 인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러한 갈등상황 속에서 교사개인의 판단 및 관계 개선에 대한 의지에 따라 동료교사와의 관계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동료교사와의 관계 속에서 다양한 갈등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갈등 및 대응과정을 통해서 교사관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과학 수업에서 비주얼씽킹 도입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과 실행 - 교사 온라인 커뮤니티 자료를 중심으로 - (Perception and Practice of Elementary Teachers about Using Visual-Thinking in Science Classes - Focus on the Teacher's Online Community Materials -)

  • 박지원;나지연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9권1호
    • /
    • pp.54-68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elementary teachers perceive and practice using Visual Thinking (VT) in science classes. For this, we collected 161 VT teaching materials for science that uploaded on the elementary teacher's online communities,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lso we interviewed four elementary teachers who have used VT in science cla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VT teaching materials shared in teacher's online communities were most often used to review the science concepts that students learned. Most of the materials required 'remember' among the Cognitive Process, and most of them provided layouts for VT activities. Second, the participants were using VT materials to review the science concepts they learned, so that students remember them. Third, the participants were satisfied because of the beliefs of effects as follows: facilitating learning and reviewing what students had learned; increasing students' positive reactions and confidence; learning through the interation among learners; the formation of habits thinking visually; indirect experiences of science class; possibility of class corresponding to learner characteristics. Fourth, the participants had difficulties in preparing for the VT science class, such as the burden of making VT materials, the long preparation time, concerns over overlapping contents, consideration of learners' VT skills, and the themselves' drawing ability. Furthermore, they also had difficulties in proceeding for the class, like different preference among learners about Visualization and loss of objectives in science class using VT. Fifth, the participants needed support as follows: platform to share students' VT results; VT case books and teachers' guidebooks; physical environment.

IB 국제학교 구인광고에 담긴 사서교사의 직무 및 역량 분석 (An Analysis of the Teacher Librarian's Duties and Competencies Embedded in the IB International School Job Advertisement)

  • 김은혜;송기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5-25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수요자인 학교가 교육과정 운영을 위하여 요구하는 사서교사의 직무와 역량 사례를 분석하고, 사서교사의 전문성 향상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IB 국제학교가 사서교사를 선발하기 위하여 게시한 20건의 구인광고에 포함된 사서교사의 직무와 역량을 IFLA 학교도서관 가이드라인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IB 국제학교의 사서교사 직무 및 역량은 IB 교육과정 지침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이 지침은 IBO 교육과정이 지향하는 교육이념과 학습자상에 기반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학교가 사서교사에게 가장 많이 기대하는 직무는 도서관 장서관리 및 협동을 통한 교수이며, 이를 위한 주요 역량은 의사소통과 협동능력, 교수-학습·교육과정·교육설계 및 제공 그리고 디지털과 매체활용능력이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사서교사의 전문성은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교육적 인간상과 학습자 역량에 기반을 두고 있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서교사의 전문성 신장 방안을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첫째,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편성 운영 지침에 학교도서관의 역할 포함하기 둘째, 학교도서관진흥법시행령 개정을 통한 인적자원의 직무 구분하기 셋째, 사서교사 자격 취득을 위한 기본이수 과목 개편 및 교육실습과 사서교사 임용시험에 협동수업 시연 도입하기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