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s development

검색결과 909건 처리시간 0.022초

수학 교사교육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의 학술지를 중심으로- (Domestic Research Trends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Focused on the Journals by the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 방정숙;선우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6권2호
    • /
    • pp.335-353
    • /
    • 2014
  • 본 논문은 1992년도부터 2013년까지 대한수학교육학회에서 발간한 두 학술지에 실린 논문 중 수학 교사교육 관련 논문 111편을 대상으로 연구시기,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대상 측면에서 수학 교사교육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구시기 측면에서는 2000년대 후반 이후로 관련 논문의 편수가 급격히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연구주제 측면에서는 '교사 전문성 신장 관련 연구'의 비중이 전체 논문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나, 최근에는 교사 지식이나 지향과 관련된 논문도 비중있게 연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질적 연구 중 특히 사례연구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연구대상 측면에서는 현직교사와 예비교사, 초등교사와 중등교사 비율이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국내 수학 교사교육에 관한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기술한다.

  • PDF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사 전문성의 의미와 성장 방식 (The Meaning and Growth of Teacher Professionalism Recognized by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Teachers)

  • 이은실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3권
    • /
    • pp.183-219
    • /
    • 2020
  • 본 연구는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사의 전문성은 무엇이고 그들의 전문성은 어떻게 성장하는지 찾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문성은 일반적으로 특정 분야에 필요한 특별한 지식, 기술, 태도를 의미한다. 교사 전문성 역시 주어진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능력과 자질, 기술과 행동, 가치를 포함하며, 교사의 생애주기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본 연구는 교사 전문성의 의미와 성장 방식을 탐구하기 위해 설문조사와 면담을 병행한 혼합연구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270여 명의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가 참여한 설문조사는 교사의 관심사, 각 전문성 요소의 중요도와 보유 정도, 전문성 개발 노력과 도움 정도를 질문하였다. 심층 면담은 7명의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이 인식하는 교사 전문성의 의미, 교사 자질과 역량, 전문성 성장을 위한 환경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은 기독교적 관점으로 교과를 재구성하는 교과 전문성뿐 아니라 소통, 관계, 소명의식을 전문성으로 강조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전문성 성장에는 소명에 반응하고자 하는 교사의 결단, 지속적인 자기계발, 교사공동체,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교육환경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교사들의 전문성 성장을 위해서 교사의 생애주기를 고려할 것과 교사 주도적인 전문성 성장의 접근을 제안하였고, 예비교사교육에서 교과 전문성뿐 아니라 소통과 관계능력 향상에 주안점을 둘 것을 강조하였다.

예비교사들의 과학 교사 정체성 형성 -생명과학 탐구 수업 시연 및 반성 과정을 중심으로- (Pre-service Teachers' Development of Science Teacher Identity via Planning, Enacting and Reflecting Inquiry-based Biology Instruction)

  • 안지은;김희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519-53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중등 예비과학교사들이 수업 시연 강좌에 참여하면서 어떠한 정체성을 드러내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소재 사범대학의 '탐구학습과 생명과학실험 지도' 강좌를 수강하는 예비과학교사 22명이다. 연구를 위하여 예비교사들의 탐구 수업 설계 및 시연 과정에서 만들어진 모든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업 시연 및 반성 장면을 녹화 및 전사하였다. 또한, 수업 후에 9명의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고 녹음 및 전사하였다. 연구 결과, 강좌 초반에는 과학 교사 정체성이 잘 드러나지 않았다. 예비교사들의 초기 구두 반성에서는 권위적 담화가 나타났으며, 이는 예비교사들이 구두 반성 활동을 '시연된 수업에 대한 평가 활동'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인식은 예비교사들이 대학교에 재학하는 학생으로서 과제를 수행하고 교수자에게 평가를 받는 입장으로 수업 시연 강좌에 참여함을 보여준다. 강좌 중반부 이후, 예비교사들의 과학 교사 정체성을 보여주는 담화가 관찰되었다. 중반부 이후 구두 반성에서는 종종 대화적 담화가 이루어졌으며, 이는 예비교사들이 구두 반성 활동을 '전문성 신장을 위한 배움 활동'으로 인식함을 보여준다. 또한 후반부에는 자신의 경험을 교사의 활동과 연결 짓고 해석하는 담화가 나타났다. 이는 예비교사들이 이 순간 자기 자신을 교사로서 인식함을 보여준다. 또한 강좌를 통해 실험 수업에 대한 인식이 확장되었다. 강좌 내에서 참여자들의 권위를 평등화하고, 반성의 역할 모델을 제공하였으며, 수업을 둘러싼 다양한 입장을 경험해보는 연습이 이루어졌던 것이 예비교사의 과학 교사 정체성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의 과학 교사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사 양성 과정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수학 교과서 과제의 수학적 모델링 과제로의 변형 과정에서 겪는 초등학교 교사의 어려움과 수학적 모델링 과제 개발을 위한 지식의 변화: 한 경력 교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Analyzing 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difficulties and mathematical modeling knowledge improvement in the process of modifying a mathematics textbook task to a mathematical modeling task: Focused on an experienced teacher)

  • 정혜윤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2권3호
    • /
    • pp.363-380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가 수학 교과서 과제를 수학적 모델링 과제로 변형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수학적 모델링 과제 개발을 위한 지식 변화의 사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0년 경력의 초등교사가 교사연구공동체의 반복적인 논의에 참여하면서 초등학교 5학년 수학의 자료와 규칙성 영역 중 평균 지도를 위한 과제를 수학적 모델링 과제로 변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는 과제 변형 과정에서 현실성의 반영, 수학적 모델링 과제의 적절한 인지적 수준 설정, 수학적 모델링 과정에 따른 세부 과제의 제시에 어려움을 겪었다. 둘째, 반복된 과제 변형을 통해, 교사는 학습 내용과 학생의 인지적 수준을 고려한 현실성 있는 과제의 개발, 과제의 복잡성 및 개방성 조정을 통한 과제의 인지적 수준 조정, 학생의 과제 해결 과정에 대한 사고실험을 통한 수학적 모델링 과정에 따른 세부 과제의 제시를 수행할 수 있었으며, 이는 수학적 모델링의 개념과 과제의 특징 등 수학적 모델링 과제 개발을 위해 요구되는 교사 지식이 향상되었음 보여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수학적 모델링 교사교육과 관련하여, 교과서 과제 변형을 통한 수학적 모델링 과제 개발 역량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는 교사교육, 수학적 모델링의 이론 및 실제를 결합한 교사교육, 교사연구공동체에의 참여를 통한 교사교육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공개교육자원(OER)을 활용한 자기조절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웹기반 교원연수 프로그램 설계 전략 (Design Guidelines fo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that Help Improve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through OER)

  • 차현진;박태정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69-83
    • /
    • 2013
  • 본 연구는 확장되고 있는 OER 환경과 교사의 전문성 제고를 연계하여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제공하면서 교사의 자기조절학습능력도 향상시킬 수 있는 환경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선행문헌 고찰 및 사례 분석을 토대로 하여 성인 학습자로서 교사의 자기조절학습 능력 증진시키면서 교사의 전문성을 개발하고 교수 자료를 개발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OER을 활용한 웹기반 교원연수 프로그램 설계 전략을 9개 영역 15개 항목으로 추출하였다. 또한 전문가 검토를 통해 최종 개발된 설계 전략을 기반으로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였고, 7인의 교사에 의해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사용성 평가의 결과로는 설계 전략 및 프로토타입의 개선점을 찾아내었고, 교사들이 자기조절학습 능력 향상과 OER을 활용한 교수자료 개발의 목적을 가진 교원연수과정에 대한 타당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 또한 OER을 활용한 교원연수프로그램에서 교사들이 자기조절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요구사항도 도출할 수 있었다.

  • PDF

유아 언어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요구 - 유아 언어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 평가 및 요구를 중심으로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tion and demand on children's language education - focused on purpose, contents, method, evaluation and the required facts of children's language education)

  • 윤진주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1083-1095
    • /
    • 2007
  • This study had been done to investigate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tion and demand on children's language education and 20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who work at state-owned/ public-owned/ private-owned kindergardens residing G, I, and K cities in Jeollabuk-do. First, the purpose of language education was recognized on the formations of essence, concept, expertise, technique and attitude toward language. Second, the contents of language education must be selected by children's experience that they encounter in ordinary life based on oral language and written language. Besides, early childhood teachers strongly felt the necessity of new contents of language education, although they thought of insufficiency of their knowledge on the issue. Third, the method of language education was mainly accomplished by teaching material and objects. Besides, they were aware of looking for new organized teaching methods and also concerned of the importances of teacher's attitude and group formation method. Fourth, the evaluation of language education must be acquired by desirable evaluation method that was based on the recognition of children's unrealistic language capabilities, even though they had recognized the difficulty to do because of knowledge insufficiency. They also showed the tendency of negligence on the evaluation of language education. Fifth, the required fact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on language education were development and supply of teaching materials, demand on teacher's education and appropriate evaluation method, and cognitive changes on language education by public toward the written language.

화교, 중국조선족, 한국 청소년들의 자아개념발달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ison of Self-concept in Chinese Immigrant, Korean-Chinese, and Korean Adolescents)

  • 이사라;박혜원
    • 아동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81-194
    • /
    • 2006
  • The influence of peer relationships and teacher's support on the development of self-concept was assessed in Chinese immigrant, Korean-Chinese, and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ubjects were 205 Chinese immigrants in Seoul, Korea, 256 Korean-Chinese in Shenyang, China, and 368 Korean adolescents in Seoul and Ulsan, Korea. Data were analyzed by ANOVA,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showed that the self-concept score of Korean-Chinese was highest followed by Chinese immigrants in Korea, and Korean adolescents, in that order. The self-concept of Chinese immigrant adolescents was influenced by peer relationships, of Korean-Chinese by teacher's support, of Korean adolescents by both peer relationships and teacher's support.

  • PDF

Will a U.S. Earned Ph.D. Help a Teacher Educator Apply Theory to Practice in Korea?: A Case Study

  • Lee, Yoo-Jean
    • 영어어문교육
    • /
    • 제15권3호
    • /
    • pp.199-222
    • /
    • 2009
  • As great attention is given to a high quality of English education in Korea, more and more in-service and pre-service English teachers are looking for an opportunity to study in an English speaking country to become better qualified teachers. However, after receiving a degree in an English speaking country, many teachers fail to apply what they have learned to their own teaching due to their tensions of identity, beliefs, knowledge, and professionalism within the changes of sociocultural settings. By using sociocultural theory as a theoretical framework, this paper explores how formal training and Ph.D. studies in the U.S. have influenced a Korean teacher educator in applying theory to practice in relation to her identity, beliefs, knowledge, and professionalism during 30 years of her teaching experience. Rather than facing tensions, the teacher educator has been willing to change her roles, broaden and deepen her beliefs in teaching and knowledge about theory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continue her professional development.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provided.

  • PDF

HisStory in the Feminized Teaching Profession in the Philippines

  • Bongco, Roxanne T.;Ancho, Inero V.
    • Journal of Contemporary Eastern Asia
    • /
    • 제19권2호
    • /
    • pp.197-215
    • /
    • 2020
  • Teaching has become a feminized profession, especially in elementary teaching, in which it is regarded as "women's work." Concerns about the "extinction" of men in the field resulted in calls for male teachers. While studies indicate that there is positive discrimination in favor of men (despite the feminization of teaching), it appears that there are also forms of discrimination that work against them. As such this study explored the challenges of being a male in the feminized profession from the perspective of male teacher candidates. Studies in the field of teacher education in the Philippines mainly focus on curriculum an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hence an inquiry must be done on the plight of male teachers in a gendered profession. A phenomenological study was employed to look into the realities of six male teacher candidates. Findings show that male teachers are: (1) leadership-destined; (2) conflicted; (3) limited; and (4) devalued. The narrative of male teachers in the Philippine education sector reveals the need to revisit programs and policies in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support. Finally, recommendations are made for teacher education programs to guide teacher candidates' experiences towards a more inclusive profession.

보육교사 적성검사 도구 개발 (The Development of an Aptitude Test for Child Care Teachers)

  • 김혜경;조복희
    • 아동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221-246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develop an aptitude test for child care teachers (ATCCT) and to analyze it in terms of both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main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nsisted of 710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identified 7 factors and 56 items which were selected from 121 items in the original scale. The seven factors were as follows; interpersonal relationship management abilities, receptiveness and responsiveness to children, creativity and personal development, the ability to form close relationships with children, the ability to supervise child safety, the sense of duty, and positive emotions. The four factors were related to social relationship. Criterion-related validity was established by using correlations between the ATCCT and the TSES (Teacher Self-efficacy Scale). The internal consistency was found to be relatively high (Cronbach's ${\alpha}$ = .94) and test-retest reliability was also established (r = .53). In addition,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 groups according to both relative levels of education and courses tau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