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s competency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5초

원장역량, 기관 내 자원, 학부모의 기대 및 참여가 영아-교사관계에 미치는 영향: 영아교사의 코칭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Director Management Competency, Institutional Resources, and Parent Expectation and Participation on Infant-Teacher Relationship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Coaching Competency of Infant Teachers)

  • 김정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71-90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s which were child care center infant teacher's coaching competency, director management competency, institutional resources, and parent expectation and participation that have on infant-teacher relationship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79 infant teachers working in child care centers across the country. A director management competency questionnaire, institutional resources questionnaire, parent expectation and participation questionnaire, infant-teacher relationships questionnaire, and coaching competency questionnaire were used for this study. For the research analysis, frequency, Cronbach's ${\alpha}$ coefficient, and Pearson's correlation were calculated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influence of director management competency on infant-teacher relationships is completely mediated through infant teacher's coaching competency. Secondly, the influence of institutional resources on infant-teacher relationships is completely mediated through infant teacher's coaching competency. Thirdly, the influence of parent expectation and participation on infant-teacher relationships is completely mediated through infant teacher's coaching competency.

교사의 과정 중심 평가 역량에 관한 사례 연구 -중·고등학교 과학 교사 사례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eacher's Process-centered Evaluation Competency(T-PEC) : Focused on the Case of a Middle-School/a High-School Science Teacher)

  • 김유정;이경건;홍훈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695-706
    • /
    • 2019
  • This study conducted a case study on the process-centered evaluation competency of a middle-school/high-school science teacher using Teacher's Process-centered Evaluation Competency (T-PEC) measurement tool. The case analysis shows that teacher A in a middle school represents high competency of process-centered evaluation planning and cooperative communication while the competency of utilizing process-centered evaluation results is low ow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non-standardized areas. Teacher B in a high school shows high level of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etency whereas low level of process-centered evaluation execution competency because the freedom given to students is not enough during the process of evaluation. The teacher also shows very low level of utilizing process-centered evaluation results due to the lack of time and the school culture not giving feedback to the students. According to cross-case analysis, teacher A and B both represent the highest level of collaborative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the lowest level of utilization process-centered evaluation results competency. And the lack of clear criteria for process-centered evaluation leads to different understanding of process-centered evaluation between the two teachers, and teacher B shows low the level of utilizing process-centered evaluation affects results due to the students not being concerned on feedback, security problem, and the reality focusing on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in high school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providing clear guidelines of process-centered evaluation to teachers, introducing an application in order to solve the time-lack problem pointed out as the biggest problem of process-centered evaluation, ensuring objectivity and security about process-centered evaluation results, and building the school culture such as the expanded application of standardized areas in order to implementing process-centered evaluation.

The Effects of Preschool Teachers' Qualification and Competency on Young Children's Development

  • Kim, Sang Lim;Park, Chang H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6권4호
    • /
    • pp.233-239
    • /
    • 2018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reschool teachers' qualification (education level, teaching experience, major, and certification) and competency variables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on young children's development (cognition, language, and social development). The data came from $5^{th}$ Wave of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from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as well as Pearson's correlation analyses were used. The results showed the positive associations between teachers' competency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child development. However, we did not find significant effects of teachers' qualification on young children's development. Based on the results, we proposed a policy implication that teacher qualification needed to be discussed with teacher competency to improve teacher quality.

예비보육교사의 핵심역량이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진로포부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Preservice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Competency on Career Stress : Career Aspiration as a Mediator)

  • 오대연;이병임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59-179
    • /
    • 2017
  •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대학의 보육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핵심역량과 진로스트레스 그리고 진로포부간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핵심역량과 진로포부 그리고 진로스트레스의 상관관계는 핵심역량이 높을수록 진로포부는 높아지고 진로스트레스는 낮아졌다. 둘째, 핵심역량과 진로포부가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중다회귀분석으로 살펴본 결과 핵심역량의 하위요인인 자질과 태도 및 능력역할과 진로포부는 진로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핵심역량이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진로포부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는 핵심역량이 진로스트레스에 직접적인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진로포부를 매개로한 간접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핵심역량은 진로포부를 매개로 하여 진로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부분에서는 연구에 대한 논의 및 제한 그리고 추후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유아교사의 ICT 수업매체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 구성 방안 (The Composition of Curriculum to Improve ICT Instructional Media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

  • 이영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588-596
    • /
    • 2019
  •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ICT 수업매체 활용 능력을 양성하기 위해 ICT 중심 교사 교육과정 구성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들의 교사 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현재 역량 수준을 조사하고 ICT 수업매체 역량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한 후, ICT 중심 교사 교육과정 내용 구성안을 설계하였다. 207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교사역량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ICT 수업매체 역량에 대한 교육 필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ICT 수업매체 역량에 대한 하위 지표들의 분석결과를 기초로 ICT 중심 교사 교육과정을 ICT 수업매체 소양교육과 ICT 수업매체 활용교육으로 분류하였다. 각 영역은 교사의 역량수준에 따라 인식, 적용, 확산의 3수준으로 위계화 되며 수준별 설정된 목표에 근거하여 교육내용을 제안하였다. 연구에서는 ICT 수업매체와 관련한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해 ICT 활용 교육정책 이해, ICT 교육과정의 목표와 평가 이해로 구성된 ICT 소양교육과 교수학습방법 활용, 디지털 기술의 적용, ICT 학습 환경 구성 및 관리를 포함한 ICT 활용교육으로 구성하여 ICT 중심 교사 교육과정 안을 제안하였다.

아동의 개인 및 가족 변인과 교실의 심리사회적 환경이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Individual and Family Variables and Classroom Environment that Affect Children's Perceived Competency)

  • 이경님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07-221
    • /
    • 2008
  • This study examined different individual, family factors and classroom environment that affect children's perceived competency. For an analysis, achievement motivation, intrinsic locus of control and anxiety were included in individual variables. For family factors, parental support and marital conflict were examined. For classroom psycho-social environment, teacher support, peer relations, classroom involvement and teacher control were used. The sample consisted of 565 fifth and sixth grade children. Statistics and methods used for the data analysis were Cronbach's alpha, Factor analysis, frequency, percentage,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Several major results were found from the analysis. First, boy's perceived academic competency was higher than girl's. And no sex difference was in children's social and athletic competency. Second, boy's and girl's perceived academic and social competency and boy's perceived athletic competenc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chievement motivation, intrinsic locus of control, parental support, teacher support, peer relations and classroom involvement. And girl's perceived athletic competenc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chievement motivation, intrinsic locus of control, parental support and peer relations. But boy's and girl's perceived academic and social competency and boy's perceived athletic competency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nxiety and parental marital conflict. Third, the most important variable predicting boy's and girl's perceived academic competency was achievement motivation. The most important variable predicting boy's and girl's perceived social competency was peer relations. And the most important variable predicting boy's perceived athletic competency was peer relations. On the other hand, the most important variable predicting girl's perceived athletic competency was father's support.

미래사회 과학 역량에 대한 교사 인식과 역량기반 과학교육을 위한 교사 전문성 탐색 (Teacher Perception of Science Competency and Science PCK for Competency-Based Science Education in the Future Society)

  • 곽영순;홍석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65-275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미래사회의 과학교육에 초점을 맞추어 미래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에게 길러주어야 할 핵심역량, 그리고 이러한 핵심역량을 길러주기 위한 역량기반 교육을 실현하는 주체인 미래학교 과학 교사에게 필요한 역할과 전문역량 내용교수지식(PCK) 측면에서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지구과학 전공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05건의 유효한 응답을 확보하였다. 연구결과를 미래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에게 길러주어야 할 핵심역량, 역량기반 교육을 위한 과학 교사의 역할, 역량기반 교육을 위해 필요한 과학 교사의 역할과 교사 전문역량의 구조적 관계 등의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학생역량과 교사 전문역랑의 관계, 그리고 교사의 역할과 전문역량 간의 구조를 살펴보기 위해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미래사회 학생의 핵심역량으로는 의사소통과 협업 능력이, 과학 교사의 역할로는 협업 중심 활동 기회 제공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역할과 교사 전문역량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면 과학수업실천과 관련된 전문역량과 관련하여 협업 중심 활동 기회 제공, 다양한 소재와 콘텐츠 활용 등과 같은 역할과 뚜렷한 관계가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생이 필요로 하는 핵심역량에 대한 교사의 인식 제고에 근거한 학생의 행위 주체성 촉진 방안, 교사 역할과 전문역량 구성요소의 관련성, 교사 전문역량의 총체성 등을 제안하였다.

교원 대상 학교안전관리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 요구분석 (A Needs Assessment for Teachers' School Safety Management Competency Development Program)

  • 황영아;강형구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0-80
    • /
    • 2017
  • Purpose: Recently, various accidents and incidents occurred in our school environment, making it necessary to enhance teachers' competency in school safety management. To this e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needs of teachers related to school safety management competency development.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existing teacher's task analysis related to school safety management was revised and surveys were conducted to measure teachers' present level, expectative level and importance of the items based on the task analysis. To analyze the data, Borich Needs Assessment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were used. Results: In the t-test between the teachers' present level and expectative level about school safety management, all 39 tasks were related (p<.001). The priorities in developing teachers' competency in school safety management were found to be the 6 tasks listed below: 'To deal with each type of accident,' 'To implement CPR and defibrillator,' 'To use fire extinguishers and fire hydrants,' 'To use descending life lines,' 'To give first aid,' and 'To cope with elevator accidents.' Conclusion: By utilizing the results of the teacher's competency and need assesment as components, teachers' training programs can be made more applicable to the school setting. In addition, more experience-based programs should be considered when designing teachers' training programs in order to apply the priority found from the teacher's need assessment.

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 측정 도구 개발을 위한 타당성 연구 (A Validit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a Digital Competency Assessment Tool for Preschool Teachers)

  • 이영미;박선영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93-102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들의 디지털 역량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디지털 역량 지표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 272명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 후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4개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각 역량군과 하위역량지표 구성 모형에 대한 적합도, 타당도(집중타당도, 판별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최종적으로 검증된 4요인은 '디지털 기술 이해', '디지털 기술 활용', '디지털 기술 기반 상호작용', '디지털 윤리 이해 및 실천' 역량군으로 명명하였다. 분석결과를 통해 유아교사들의 디지털 역량을 측정하는 도구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입증할 수 있었고 본 연구결과는 유아교사들의 디지털 역량을 측정하고 각 디지털 역량 수준에 적합한 교육을 실시하는데 기초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과학교사의 상.역할.능력의 탐색 (An Exploration of Science Teachers' Ideal Image/Role/Competency)

  • 조희형;고영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69-281
    • /
    • 2008
  • 우리나라에서는 중등학교 과학교사의 자격 기준을 법령에 이수해야 할 과목 또는 영역으로 규정한다. 그러나 그런 과목과 영역은 훌륭한 교사가 지녀야 할 능력과 자질을 명시하지 않는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과학교사 자격 기준으로, 또는 과학교사 양성 교육과정에서 그 목적과 내용으로 적용해 볼 수 있는 바람직한 과학교사의 상, 과학교사의 역할, 과학교사의 능력의 목록을 작성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분석, 설문조사 및 온라인 워크숍, 심층면담, 자문의 방법을 적용하였다. 설문조사 및 온라인 워크숍대상은 중학생 186명, 고등학생 72명, 중학교 교사 8명, 고등학교 교사 5명이었으며, 심층면담에는 네 명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바람직한 과학교사의 상 목록은 10영역 44개의 상으로, 과학교사의 역할 목록은 여섯 영역 32개의 역할로, 과학교사의 능력 목록은 여덟 영역 75개의 능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는 과학교사의 자격과 평가의 기준을 이수할 과정이나 과목 대신에 교사가 지녀야할 능력으로 규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또한 유능한 과학교사의 능력을 키워줄 수 있는 과학교사 양성교육과정 내용 및 과목의 내용을 선정 조직하기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밖에 과학교사의 자격을 그의 능력과 자질로 규정하기 위해서는 그에 관한 연구가 더 필요함을 강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