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s Training

검색결과 506건 처리시간 0.025초

중등학교 수학교사 양성을 위한 현대대수학 교재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Textbook 'Modern Algebra' for Training Mathematics Teacher of Secondary Schools)

  • 신현용;이강섭;한인기;류익승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4권3호
    • /
    • pp.337-360
    • /
    • 2005
  • In this paper we develop textbook 'Modem Algebra' for training mathematics teacher of secondary schools. In order to understand mathematics teacher's viewpoint about desirable textbook 'Modem Algebra' we created a Questionnaire related with curriculum and textbook for training mathematics teacher of secondary schools. We analyze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along with recent studies on teacher education and come up with basic principles of developing textbook 'Modern Algebra'. The first version of 'Modern Algebra for Mathematics Teachers' that we have developed based on our study can be found in website 'www.teacheredu.co.kr'.

  • PDF

예비수학교사의 문제해결 지도 실행의 교육적 효과 (Educational Effects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eaching Experiment on Problem Solving Process)

  • 김남희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159-175
    • /
    • 2008
  • 문제해결은 우리나라 제 7차 개정 교육과정에서 학교수학의 목표, 교수-학습 방법의 제안, 평가의 제안, 교육기자재 활용 목적 등 여러 측면에서 명시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차 현상의 수학수업을 이끌어 갈 예비수학교사들의 문제해결 지도 능력을 실제적으로 개발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연구의 과정에서는 사법대학 수학교육과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정규 수업시간을 활용하여 문제해결 지도에 중점을 둔 지도과정을 구성, 실행하도록 안내하였다. 연구의 실행에서 얻은 자료를 분석하여 문제해결 중심의 지도과정 구성 및 실행에 대한 교육적 효과를 정리하고 문제해결 중심의 지도과정 실행을 통해 에비수학교사들이 수학수업에 대해 갖게될 생각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이를 토대로 예비수학교사교육을 위한 발전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법대학의 교사교육에서 이론적 지식에 대한 지도 못지않게 방법적 지식에 대한 지도도 중요함을 부각시키고 방법적 지식의 지도를 위한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사례를 제시했다는 측면에서 큰 의의가 있다.

  • PDF

환경교육 교사 양성 대학의 교육과정 현황 및 개선 방향 (The Current Situation and the Direction for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on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Universities)

  • 박태윤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3권1호
    • /
    • pp.1-13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rmulate the direction lot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on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nature of the courses related to subject matter education should be changed from the course of teaching profession into the course of special study, Second, the combination of the courses related to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nvironmental science is needed, Third, the curriculum should sufficiently include the contents of the 7th curriculum, Fourth, the curriculum should contain the courses of environmental science which can help the pre-service teachers to understand the fundamentals and concepts of ecology, This curriculum should also include the courses which can improve the pre-service teacher's ability to teach for the development of student's affirmative environmental value and attitude, Fifth, the curriculum should include the courses which are useful for the pre-service teachers to learn teaching method such as case study and simulation for the education of environmental knowledge and of cognitive domain about environmental issues. Sixth, the curriculum should reflect the contents of the regulation for teacher certificate which was renewed in Jan. of 2000.

  • PDF

메이커 중심 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원 연수 프로그램 효과 및 교사 요구사항 분석 (Analyzing the effectiveness and teachers' needs in a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maker-centered education)

  • 박태정;차현진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117-129
    • /
    • 2019
  • 본 연구는 메이커 교육에 대한 교원 역량 강화 프로그램의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메이커 중심 교육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 설계 및 실행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메이커 교육이 교육 현장에 정착하기 위한 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S구 교육지원청에서 제공한 메이커 교육 교원 연수 프로그램을 연구 문맥으로 설정하고, 5일간 구성된 교사 역량강화 연수 프로그램에서의 효과 분석과 연수 프로그램 후 교사들이 제안하는 메이커 중심 교육의 현장 정착 및 활성화를 요구사항을 도출하고자 양적 및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교육현장에서 혁신적인 교수 방법과 정책을 도입할 때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이 참여한 교원 연수 프로그램의 사례를 통해 교원 양성 프로그램 설계 방향과 메이커 중심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음챙김 훈련이 중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indfulness Training on the Job Stress, Burnout, Teacher Efficacy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eachers)

  • 김태균;문정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4호
    • /
    • pp.363-369
    • /
    • 2018
  • 본 연구는 마음챙김 훈련이 중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교사효능감에 주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G시 소재 중학교 및 고등학교 현직 교사 24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훈련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사전, 사후, 추후 세 시점에서 중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소진, 교사효능감을 측정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마음챙김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점과 집단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혼합변량(Mixed ANOVA)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직무스트레스, 소진, 교사효능감에서 시점과 집단 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함을 보여주었다. 또한 프로그램 효과의 지속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 후 1개월 뒤의 효과를 대응표본 t-검정으로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 효과가 지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소진을 예방하고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법 중의 하나로서 마음챙김 훈련이 유의미함을 밝혔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In-Service Mathematics Teacher Training from the Van Hiele Theory Perspective

  • Afonso, M. Candelaria;Camacho, Matias;Socas, Martin M.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3권4호
    • /
    • pp.349-377
    • /
    • 2009
  • In this work we present a study undertaken with in-service mathematics teachers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where we describe and analyze the didactical competences needed to implement an innovative design in geometry applying Van Hiele's models. The relationship between such competences and an ideal teacher profile is also studied. Teachers' epistemology is established in terms of didactical competences and we can see that this epistemology is an element that helps us understand the difficulties that teachers face in practice when implementing an innovative curriculum, in this case, geometry based on the Van Hiele theory.

  • PDF

유아교사의 비디오 활용 방법 및 문제점 분석 (Teacher's Use of Video in Early Childhood Programs)

  • 문혁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5-47
    • /
    • 2001
  • The purposes of this article were to examine teacher's guidance over video utility and to investigate problems for video use in the classroom. Two-hundred-ninety-four teachers in half-day and all-day early childhood program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escriptive analysis and chi-square tests were used. Results resealed that teacher's guidance before, during, and after video viewing was not carried out enough for the effectiveness of video teaming. The major problem for using a video in early childhood programs was insufficient video materials. These data were interpreted with respect to teachers'training practices and government policy.

  • PDF

An Elementary Teacher's Journey Through Action Research for Improving Student Responses

  • Noh, Jihwa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7권2호
    • /
    • pp.245-262
    • /
    • 2021
  • This study describes a sixth-grad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journey through action research for improving students' responses in a mathematics class. In the action research, the influence a teacher's questioning tactics would have on students' ability to determine answer reasonability to mathematics problems was investigated. Drawing on qualitative analysis of the teacher's lessons, reflection journal and interviews as well as the classroom students'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this study examines how action research can affect the teacher and the classroom students. The results suggest the popularization of action research among teachers by teacher training and development programs showing the positive changes in the teacher's performance leading to improved student responses.

특성화고 교사를 위한 발명.특허 교원 직무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성 평가와 개선 방안 탐색 (Evaluation of Teacher Training Program effectiveness and Exploration of improvement for Specialized high-school Teacher in Invention and Patent field)

  • 임윤진;최유현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23-39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 교사를 위한 발명 특허분야 교원 직무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확인하고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데 있었다. 이 연구의 대상은 2015년도 충남대학교 발명교사교육센터가 주관한 특성화고 교사 대상 발명 특허분야 교원직무연수 참여자 3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연수가 종료된 시점에 직접 설문지를 배부하고 전량(100%)을 회수하였고, 39명중 불성실한 응답자 2명을 제외한 37명을 자료분석에 활용하였다. 이 연구를 위한 교원연수프로그램 개발은 문헌연구와 전문가 회의를 통해 이루어졌고, 적용에 따른 만족도는 설문지를 개발하여 활용하였다.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성은 교육요구도와 교육만족도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교원 직무연수 개선 방안 연구진에 의해 구안된 교원 연수 평가 모형에 의해 모색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 교원을 위한 발명 특허 교원직무연수의 교육요구도는 높았다. 둘째, 개발된 교원직무연수 프로그램의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연수 프로그램은 전반적으로 교육효과성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연수 프로그램의 엄격한 개선을 위하여 현상유지, 대안탐색, 전략수정, 기대 확장의 4개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유아의 수줍음과 교사-유아 관계 간의 관계에 대한 유아 언어능력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Children's Verbal Ability in the Relation Between a Child's Shynes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in Kindergarten)

  • 권연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09-126
    • /
    • 201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the moderating role of children's verbal ability in the relation between shynes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Methods: Participants were 200 children, their mothers, and their kindergarten teachers. Children's shyness was rated by their mothers and teachers, and children's verbal ability was measured using the language problem solving ability test. And teachers completed a rating scale in order to examine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Results: Children's shyness had a negative relation to close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child's verbal abilit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eacher-child relationships. Hiera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ted to the interaction of child's shyness and verbal ability predicted close teacher-child relationships. Children's shyness, those who demonstrated the lowest level of child's verbal abilit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lose teacher-child relationships. Children's shyness had no significant relation to close teacher-child relationships, especially for the highest level of children's verbal ability. Conclusion/Implications: We suggested that verbal ability training for children might be valuable for shy children in order to buffer the link between shynes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