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s Image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7초

아동의 사회적 관계 및 심리적 특성과 문제 행동의 관계 (Children's social relationship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behavior problems)

  • 최유정;최샛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75-89
    • /
    • 2007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children's social relationships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n their behavior problems. Behavior problems comprise violations of norms, bullying, and deviant behavior in the cyberspace. A data set of 2949 Korean children in their 4th grade is analyzed to yield three main results. First, variables such as contact with delinquent friends, aggressiveness, stress of appearance complex, gender, and depression have significant effects on violations of norms. Children who have more delinquent friends, higher level of aggressiveness, stress of appearance complex, or depression report more violations of norms. Second, delinquent friends, stress of peer relationship, aggressiveness, stress of appearance complex, gender, parents' violent attitudes toward children, and negative self-image are turned out to be important variables predicting bullying. Children with more delinquent friends, higher level of stress, higher level of aggressiveness, or lower self-image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bullying. Children who perceive their parents to be violent show more bullying experience. Third, each of aggressiveness, delinquent friends, stress of appearance complex, gender, relationship with teacher, and family income has significant effect on deviant behavior in cyberspace. Children with higher level of aggressiveness, more delinquent friends, stress of appearance complex, or negative impression of teacher are more likely to deviate in cyberspace. Children from higher income families report more deviant behavior in cyberspace. Boys show more experiences in every category of behavior problems than girls.

학교 보건 실습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The Phenomenological Study of School health practice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 우선혜;박영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61-172
    • /
    • 199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hav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tudents' experience in field practice by school health practice experience. The study subjects were 40 nursing students working in department of nursing K Univ. in C city. This study was approached by phenomenological metho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laizzi's method. The results were from the protocol 980 significant statements and organized into 240 formulated meanings. From formulated meaning 89 themes were identified, organized into 18 them clusters, and then into 16 categories. The nursing students took part in the practice with (expectation and readines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clinical practice, expressed wonder at the school which had progressed much more than their primary schools used to be. They said that they began to feel (Fatigue and stress), and that experienced tension for the lack of nursing knowledge and skill during the health education and clinical treatment activity. In addition, they experienced 'ambivalence of satisfaction and something wanted', that is to say, they could have done better by means of video education and health education. The 10-day-school health practice brought about the change in( the image of teacher) and (cognition about the nursing teacher's role), made the students have(love to the client) and (desire to be nursing teacher), and then turned out experience benefical enough to be expressed 'satisfaction' However, they pointed out many problems in (School Eniviroment), (Clinic), (Physical assessment), (Recording and reporting), so they had a chance to apply the school nursing process to the school. The professor should play the role of promoting the learning through the field practice and providing the stimulant of learning to help the learner get as much from the field situation as they could. Therefore, I suggest that the students always have a chance to exchange actual affairs and educational study, and that the concrete discussion and continuous cooperation be done. The professors should keep doing their best to find the way to professors should keep doing their best to find the way to promote the ability of thinking through the process the learners experienced themselves.

  • PDF

한중일 삼국 지식인 '사(士)'의 이상 - 배상제교·동학·천리교의 종교사상 비교를 중심으로 (The Intellectuals' Ideals in the Traditional East Asian Societies : Focused on the Religious Thoughts of Donghak, Tenrikyo and the Society of God Worshippers)

  • 임태홍
    • 한국철학논집
    • /
    • 제31호
    • /
    • pp.375-406
    • /
    • 2011
  • 이 글은 근대 동아시아 삼국의 대표적인 신종교라고 할 수 있는 중국의 배상제교, 조선의 동학, 그리고 일본의 천리교를 선택하여 각 종교 교리 가운데 내포되어 있는 지식인 '사(士)'의 이상적인 이미지와 사상적인 경향을 살펴본 것이다. 특히 이 글에서는 각 종교교단의 교조 즉 배상제회의 홍수전(洪秀全, 훙시우취엔, 1814-1864), 동학의 최제우(崔濟愚, 1824-1864), 그리고 일본 천리교의 나카야마 미키(中山みき, 1798-1887)의 사상을 중심으로 살폈는데, 이들 세 사람이 추구했던 이상은 각자가 어려운 환경에서 겪은 종교체험에 그대로 반영되었다. 홍수전은 하늘이 보낸 관리로서 신으로부터 칼과 도장을 받았으며, 최제우는 주문과 부적을 받아 그것으로 사람들을 가르쳐 신을 위하도록 하였다. 미키는 자기 자신이 하늘의 '쇼군(將軍)'이 되기도 하고, 또 그러한 쇼군을 섬기는 자가 되기도 하였다. 쇼군은 무사가운데 가장 높은 무사이다. 그녀는 스스로 인간을 구제할 수 있는 실용적이며, 현세이익적인 다양한 징표들을 만들어 제공했다. 그렇다면 이러한 신분적으로도 이상적으로도 신사 선비 무사였던 세 사람은 각자가 만든 종교에 어떠한 사상을 담았을까? 홍수전은 끊임없이 중국 내부로 관심을 돌리고 거기에 들어가 있는 악마적인 존재를 제거하고 평화를 이루는데 관심을 가졌다. 태평천국의 혁명 논리는 여기에서 나왔다. 최제우는 교인들을 가르치고 수양시키는데 관심을 가졌다. 그리고 새로운 시대가 개벽되었다고 선언하였다. 현실적으로 보이는 이익보다는 추상적인 사상에 집착하였다. 반면에 미키는 '인간'을 위한 구제를 선언하고 현실적인 이익을 제공하고자 하였으나, 그러한 이익은 오직 '우리 편' 혹은 '일본'에만 한정된 것으로 '타자'에 대해서는 배타적인 입장을 취했다. 아울러 그녀의 관심은 끊임없이 '외부'로 향했는데 그 외부는 정복하고 극복해야할 대상이었다.

자생적 온라인 교사 공동체의 질문분석을 통한 초등교사의 과학 교수 관련 어려움 탐색 -인디스쿨의 물리 관련 질문 게시글을 중심으로- (Exploring Elementary Teachers' Difficulties on Teaching Science by Analyzing Questions in an Autonomous Online Teacher Community : Focusing on Physics Questions in Indischool)

  • 김윤화;유준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73-8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자생적 온라인 교사 공동체 인디스쿨에 축적되어 온 과학 교수 관련 질문 게시글을 분석함으로써, 초등교사가 겪는 과학 교수 관련 어려움을 파악했다. 이를 위해, 3~6학년 물리 영역 및 과학 전반에 해당하는 질문 게시글 409개를 초등교사의 탐구 기반 과학 교수 역량을 다룬 Alake-Tuenter et al.(2013)의 틀을 수정 보완한 질문 분석틀로 분석하였고, 과학-SMK와 과학-PCK의 구성요소별 어려움을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과학-SMK 질문이 과학-PCK 질문 보다 더 많이 나타났으며, 연도별로는 교육과정이 변화하는 시기였던 2014년과 2015년도에, 단원별로는 렌즈 단원에 대한 질문이 가장 많았다. 과학-SMK 측면에서 4년 이상 지속적으로 나타난 어려움은 렌즈와 전기 단원에 대한 것이다. 렌즈 단원에서는 투명한 물컵 모양의 물체가 렌즈로 작동하는 원리와 볼록렌즈에서 상의 생성 과정 등 과학적 사실과 개념의 적용 등이, 전기 단원에서는 '전류의 흐름 변화에 따른 나침반의 움직임 변화'와 '전구의 직렬연결'에서 예상치 못한 탐구 결과 오류 등이 초등교사가 오랜 기간 겪어온 과학-SMK 측면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과학-PCK 측면에서 4년 이상 지속적으로 나타난 어려움은 과학수업 운영 전반에 대한 것으로, 수업자료 및 학기말 활동구성 아이디어의 요청과 교육과정 운영 지침의 이해 등이 있다. 자생적으로 생성 및 운영되고 있는 인디스쿨의 과학 교수 관련 질문 게시글에서 오랫동안 해결되지 못한 채 반복되고 있는 초등교사들의 실제적인 어려움을 파악해 이를 해결하고 도움을 줄 수 있는 과학 교수 지원 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예절교육 자가평가 (The Effects of Service Education for Improvement of Nursing Image)

  • 김명애;이영신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권
    • /
    • pp.7-19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the effect of service education that would improve the image of nursing as a qualified nurse. This study was designed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ample was consisted of 274 nurses who was all of the nurses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 of service. The education was provided during eight hours a day each group. The program of the education was devided eight sections and each section had it's own individual teacher. The member of each group was consisted of about twenty-five nurses.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researchers and was applied two times just at the preeducation and two weeks after the education. The criteria of the developed questionnaire was consisted of two aspects, one was recognizant aspect of service and the other was behavioral aspect of service.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was Chronbach's $\alpha$=0.778. The questionnaire was exammed collected in the morning when the education of the service was started and two weeks after the educat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T-test, Pearson's correlations. The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spect of recognition of service between pre and post self-evaluation.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spect of behavior service between pre and post self-evaluation.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spect of total sense, score between pre & post self-evaluation. 4.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linical experience and aspect of recognition of service. The positive correlation was shown in the longer clinical experience between nurse's role and service. But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linical experience and aspect of behavior of service. Through the result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education of service was needed to improve image of nursing as a practical and basic factor for the nurses, even though the education wa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nures's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 PDF

퇴계선생의 감각경험과 심적반응의 의학생리학: <도산십이곡>중 제4곡을 중심으로 (The Physics of Toegye's Sensational Experience and Mental Response: The Study on the 4th Song of )

  • 김명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3호
    • /
    • pp.283-290
    • /
    • 2022
  • 시조치료는 우울증을 극복하고 존재의 진정성을 확립시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퇴계선생의 시조 <도산십이곡>의 이미지의 양상이 의학생리학적 감각경험과 심적반응을 융합하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퇴계선생의 시조 <도산십이곡>은 생명력을 활성화시키는 원리가 작동되고 있다. 선생의 시조는 존재의 진정성을 창조하는 원리가, 인체의 감각경험과 심적반응을 통해 우울증을 극복하고 지금-여기, 존재의 삶이 변화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퇴계선생의 시조 <도산십이곡>중 제4곡이 어떤 치유력을 지니고 있는지를 증명한다. 따라서 향후 감각경험과 심적반응에 대한 시조치료 연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한국 현대소설에 나타난 간호사 이미지 연구 (A Study on the Image of a Nurse in Korean Modern Novels)

  • 황효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725-735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사를 형상화한 문학 작품들을 대상으로 이들 작품이 간호사에 대한 다양한 담론들을 어떻게 수용하여 문학적으로 재현하고 있는지를 분석했다. 분석대상은 간호사가 등장하는 한국 현대소설로 1927년에서 2016년까지 29개의 작품을 선정했다. 분석 방법은 질적 연구방법 중 소설에 대한 내용분석이다. 분석단위는 소설 속의 간호사 이미지를 다루고 있는 서술이나 대화가 나오는 문장을 하나의 분석단위로 채택하고, 선행연구의 이미지 결정 요소를 통합하여 4가지 유형으로 범주화하여 고찰했다. 소설 속 간호사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첫째, 전통적 이미지 유형으로는 이광수 『사랑』, 김의정 「닥터 한」, 정도상 『푸른방』, 조정래 『한강』, 공지영 「별들의 들판」, 서성란 「겨울 손」, 백민석 「불쌍한 꼬마 한스」 둘째, 사회적 이미지 유형으로는 강경애 「어둠」, 김경욱 「천국의 문」, 최정희 「천맥」, 이제하 「나그네는 길에서도 쉬지 않는다」, 원재길 「꽃바람」 셋째, 전문적 이미지 유형으로는 이청준 「조만득 씨」, 「퇴원」, 최인훈 「광장」, 김연수 「주쌩뚜디피니를 듣던 터널의 밤」, 정세랑 『보건교사 안은영』 그리고 넷째, 개인적 이미지 유형으로는 최인호 「견습환자」, 김정한 「제 3병동」, 은희경 『마이너리그』, 김훈 「화장」, 하성란 『식사의 즐거움』, 김지연 「히포크라테스의 연가」, 김진명의 「하늘이여 땅이여」, 박경리 「불신시대」, 유순하 「금빛 햇살」, 정미경 「비소여인」으로 유형화하였다. 이러한 소설 속 간호사의 이미지를 통해 소설은 인간 돌봄에 시사하는 함의를 논의하였다.

LED 기반 백색 조명의 색온도 및 연색지수에 따른 감성 평가 (Sensibility Evaluation of Color Temperature and Rendering Index to the LED-Based White Illumination)

  • 지순덕;최경재;김호건;이상혁
    • 감성과학
    • /
    • 제9권4호
    • /
    • pp.353-366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백색 LED 조명의 광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그 특성에 따라 반응하는 학생과 교사들의 감성 반응을 평가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백색 LED모듈 5개를 시제품으로 만들어 광학적 특성을 측정하고 감성 평가용 모형을 제작하여 감성 반응을 평가하여 분석하였다. 감성 평가에 이용된 평가 방법은 의미미분법이고 선정된 문항은 16문항이며, 이 문항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예비 실험을 통하여 신뢰도 분석과 타당도 분석을 하였다. 이 과정에서 4가지 요인을 추출하였는데 제 1요인은 활동성, 제 2요인은 안정감, 제 3요인은 역량성, 제 4요인은 감성이미지 요인이라고 명명하였다. 색온도에 따른 감성 평가의 결과는 활동성과 역량성 요인에서는 색온도가 높은 조명을 선호하였으며 , 안정감 요인에서는 색온도가 낮은 조명을 선호하였다. 감성이미지 요인에서는 색온도와 관련 없이 5800K인 청색 계통의 조명을 선호하였다. 연색지수에 따른 감성 평가의 결과는 활동성, 안정감, 감성이미지 요인에서는 고연색 조명을 선호하였으며, 역량성 요인에서는 중 연색 조명을 선호하였다.

  • PDF

매개변수 개념의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aching-Learning of Parameter Concept)

  • 김남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4권3호
    • /
    • pp.305-325
    • /
    • 2004
  • 본 논문은 학교수학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매개변수 개념의 교수-학습에 관한 논의이다. 우리나라 수학교과서에서 매개변수 개념은 중학교 수준의 학습내용과 관련된 대수적 표현에서 자주 다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개념에 대한 용어 정의는 고등학교 선택교육과정 교과서에서 비로소 도입되고 있기 때문에 매개변수개념 이해를 위한 수학교사의 교수학적 노력이 요망된다. 본 논문에서는 학교현장에서 매개변수 개념의 지도를 위한 교수학적 시사점을 이끌어 내기 위해 매개변수의 개념 정의를 분석하고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상에서 매개변수가 도입되는 맥락을 외국의 사례와 비교해서 검토한다. 또한 선행연구를 통해 대수학습의 관점에서 매개변수 개념 이해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매개변수 개념이 학교수학에서 의미 있게 다루어져야 할 학습맥락에 대해 논의해 본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의 연구내용을 종합하여 매개변수 개념의 교수-학습을 위한 시사점을 요약하여 제시한다.

  • PDF

중등학교의 교육 기자재 및 콘텐츠 통합 관리 시스템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the Educational Equipments and Contents of Secondary School)

  • 박순화;박재흥;서영건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97-205
    • /
    • 2015
  • 현재 중고등학교에 교과교실제의 도입으로 학교 내에 교과전용 교실이 마련되고 교실 내 실물 화상기, 전자칠판, 교육용 촬영기 등 다양한 첨단 교육 기자재들이 비치되어 수업에 도움을 주고 있다. 이러한 기자재의 증가에 따라 각 교육 기자재의 리모컨 개수도 증가한다. 이로 인해 리모컨을 관리하는데 번거로움이 발생하고 기자재의 성격에 따른 운용법도 익혀야 한다. 이에 본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리모컨으로 교육 기자재를 통합관리 하는 원격 제어와 강의 보조 기능을 지원한다. 제안하는 리모컨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고, 하드웨어는 일반 리모콘과 유사하지만, 소프트웨어는 교사용 PC에 설치되어 운용되어 원격 제어, 강의 녹화, 판서, 기자재 자동 종료 등을 지원한다. 본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교과 교실제를 시행하는 학교에서 교사가 교육 기자재 제어로 인해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고 필요 없는 전력 낭비를 줄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