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tellectuals' Ideals in the Traditional East Asian Societies : Focused on the Religious Thoughts of Donghak, Tenrikyo and the Society of God Worshippers

한중일 삼국 지식인 '사(士)'의 이상 - 배상제교·동학·천리교의 종교사상 비교를 중심으로

  • 임태홍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 Received : 2011.02.12
  • Accepted : 2011.03.05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he paper investigates the ideal image and the ideological tendency of the traditional intellectuals in the East Asian Societies by analyzing the religious thoughts of Donghak, Tenrikyo and the Society of God Worshippers, which were the representative religious bodies in Korea, Japan and China. In particular, this paper focuses on the founders' thoughts of the religious organizations, such as Choi Jewoo(崔濟愚, 1824-1864) of Donghak, Nakayama Miki(中山みき, 1798-1887) of Tenrikyo and Hong xiuquan(洪秀全, 1814-1864) of the Society of God Worshipper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Choi Jewoo's father was a teacher in a rural village, and so Choi Jewoo also wanted to be a teacher. Afterward when he had religious experiences, in the trance state, he became a teacher. Consequently, his religious thoughts were based on the ideal teacher's stance. Nakayama Miki respected her father, who was a low-ranking warrior or bushi(武士). And when she experienced strange experiences, she became a high-ranking warrior or shogun(將軍). On this account, many of her religious thoughts were based on the ideal bushi's position. Hong xiuquan's father was a low-ranking local official, therefore Hong xiuquan wanted to be a high-ranking official since childhood. Later, he took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s only to failed. And so when he had religious experiences, he became an official appointed by God. And his religious thoughts, in many cases, depended on the ideal official's stance.

이 글은 근대 동아시아 삼국의 대표적인 신종교라고 할 수 있는 중국의 배상제교, 조선의 동학, 그리고 일본의 천리교를 선택하여 각 종교 교리 가운데 내포되어 있는 지식인 '사(士)'의 이상적인 이미지와 사상적인 경향을 살펴본 것이다. 특히 이 글에서는 각 종교교단의 교조 즉 배상제회의 홍수전(洪秀全, 훙시우취엔, 1814-1864), 동학의 최제우(崔濟愚, 1824-1864), 그리고 일본 천리교의 나카야마 미키(中山みき, 1798-1887)의 사상을 중심으로 살폈는데, 이들 세 사람이 추구했던 이상은 각자가 어려운 환경에서 겪은 종교체험에 그대로 반영되었다. 홍수전은 하늘이 보낸 관리로서 신으로부터 칼과 도장을 받았으며, 최제우는 주문과 부적을 받아 그것으로 사람들을 가르쳐 신을 위하도록 하였다. 미키는 자기 자신이 하늘의 '쇼군(將軍)'이 되기도 하고, 또 그러한 쇼군을 섬기는 자가 되기도 하였다. 쇼군은 무사가운데 가장 높은 무사이다. 그녀는 스스로 인간을 구제할 수 있는 실용적이며, 현세이익적인 다양한 징표들을 만들어 제공했다. 그렇다면 이러한 신분적으로도 이상적으로도 신사 선비 무사였던 세 사람은 각자가 만든 종교에 어떠한 사상을 담았을까? 홍수전은 끊임없이 중국 내부로 관심을 돌리고 거기에 들어가 있는 악마적인 존재를 제거하고 평화를 이루는데 관심을 가졌다. 태평천국의 혁명 논리는 여기에서 나왔다. 최제우는 교인들을 가르치고 수양시키는데 관심을 가졌다. 그리고 새로운 시대가 개벽되었다고 선언하였다. 현실적으로 보이는 이익보다는 추상적인 사상에 집착하였다. 반면에 미키는 '인간'을 위한 구제를 선언하고 현실적인 이익을 제공하고자 하였으나, 그러한 이익은 오직 '우리 편' 혹은 '일본'에만 한정된 것으로 '타자'에 대해서는 배타적인 입장을 취했다. 아울러 그녀의 관심은 끊임없이 '외부'로 향했는데 그 외부는 정복하고 극복해야할 대상이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