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 leaf

검색결과 259건 처리시간 0.029초

다류원류 식물류의 에탄올 추출물이 대두유의 산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lant Ethanolic Extracts on Oxidation of Soybean Oil)

  • 김미혜;김명철;박종석;박은지;김종욱;송경희;신동우;목진민;이종옥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1권8호
    • /
    • pp.1355-1364
    • /
    • 1998
  • This study was plan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40 plant ethanolic extracts on antioxidant activities in vitro. The total phenolics, $\beta$-carotene, $\alpha$-tocopherol and selenium contents were also determined . Antioxidant activities fo the ethanolic extracts(0.02%, w/w) in the soybean oil were measured both by determining the peroxide value (POV) during 35 days of storage at 4$0^{\circ}C$ in a forced draft air-incubator and by determining changes in conductivity at 11$0^{\circ}C$(Rancimat method.). Soybean oil without any additives was used as a control and that treated with 0.02% BHT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Based on the POV determination, green tea extract was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in stabilizing soybean oil, then followed by long tea, which both of them showed higher antioxidant activities compared to the BHT treatment.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m showed higher antioxidant activities compared to the BHT treatment.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coffee, cinnamomi cortex, acanthopanacis cortex, black tea, orange peel , instant coffee, peony and crni fructus extracts were stronger compared to the control .By the Rancimat method, green tea leaf and oolong tea leaf, foxglove, acanthopanacis cortex and peony extracts. Compared to other extracts, green tea leaf, black tea leaf, foxglove, acanthopanacis cortex and peony extracts had stronger antioxidative effects in both the POV and Rancimat methods used in this study. ethanolic extracts which showed the stronger antioxidative effect also has the higher contents of total phenolics, $\beta$-carotene, and/or $\alpha$-tocopherol. The antioxidative effect of ethanolic extracts was found to be due to the combined effect of various antioxidants.

  • PDF

인삼엽차(人蔘葉茶) 제조방법(製造方法)이 품질(品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Processing Methods on the Quality of Ginseng Leaf Tea)

  • 김상달;도재호;오훈일;이송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67-272
    • /
    • 1981
  • 인삼엽(人蔘葉)을 이용(利用)하여 여섯가지의 다른 제조공정(製造工程)으로 인삼엽차(人蔘葉茶)를 제조(製造)하여 그 품질(品質)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완전추출(完全抽出)에 대한 30분(分) 추출물량(抽出物量)의 비(比)는 $30^{\circ}C$ 발효차(醱酵茶)가 가장 컸으며 인공건조차(人工乾燥茶), $25^{\circ}C$ 발효차(醱酵茶) 순(順)으로 감소(減少)하였다. 2. 황색 색상, 오렌지 색상 및 적색 색상의 강도(强度)는 배집차(焙集茶)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30^{\circ}C$ 발효차(醱酵茶), $25^{\circ}C$발효차(醱酵茶)의 순(順)으로 나타났다. 3. 추출(抽出)된 saponin 함량(含量)은 $30^{\circ}C$ 발효차(醱酵茶)가 다른 방법으로 제조한 차(茶)에 비해 가장 많았으며 또한 관능검사 결과 $30^{\circ}C$ 발효차(醱酵茶)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제조방법에 따른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 BL.) 잎차의 특성변화 (Changes on the Characteristics of Lindera obtusiloba BL. Leaf Teas by Manufacturing Process)

  • 황경아;김광수;박찬성;신승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65-371
    • /
    • 2003
  • 본 연구는 독특한 맛과 향이 있는 생강나무 잎을 이용하여 제조 방법에 따른 잎차의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수분 함량은 인공건조차가 6.71%로 가장 높았고 찐후덖음차가 5.18%로 가장 낮았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발효차가 15.33%로 가장 높았고 덖음차가 8.33%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회분 함량은 제차방법에 따른 큰 차이는 없었다. 탄닌 함량은 찐후 덖음차가 3.29%로 가장 높았으며 발효차가 2.26%로 가장 낮았다. 생강나무잎차의 비타민 C 함량은 덖음차에서 37.17mg/100g으로 함량이 가장 높았고 찐차가 16.70 mg/100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내었다. 무기질 함량은 제조방법에 따른 무기질함량의 차이는 없었지만, K, Na, Mn, Ca, Fe, Mg, Zn 순의 함량으로 나타났다. 생강나무잎차의 냄새, 맛등 전체적 기호도는 찐후 덖음차가 다른제조방법에 비해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생강나무의 잎차의 제조방법은 기호성과 영양성이 비교적 우수한 찐후 덖음하여 제조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생각한다.

비파엽차 제조 및 그 이화학적 특성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Leaf Tea Processing and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 배영일;서권일;박석규;심기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62-269
    • /
    • 1998
  • 한국산 비파엾을 이용하여 식품으로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일환으로 비파엽차를 제조하여 그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파엽차의 제조 중 일반성분은 2월 중순에 채취한 비파엽의 수분, 조지방 및 회분 함량은 10월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며, 무기성분은 2, 10월 중순에 채취한 비파엽의 경우 4파 볶음에서 각각 칼륨이 39,916.8, 23,950.0 ppm으로 높게 나타났다. ascorbic acid 유리당, 탄닌 및 카페인 함량은 각각 2.33%, 1.01%, 1.63% 및 113mg%로 2월 중순에 비해 10월에 채취한 비파엽 4차 볶음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비파엽차 및 그 침출액에 대한 색도는 10월 중순에 채취한 2차 볶음에서는 증가하였으나 4차 볶음의 경우 2월에 채취한 비파엽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또한 10월 중순 4차 볶음의 향기성분과 그 침출액에 대한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nerolidol과 DL-allohydroxylysine 성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 PDF

증제녹차분말 및 생 찻잎분말을 첨가한 돈육패티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Meat Patties Formulated with either Steam-dried Green Tea Powder or Freeze-dried Raw Tea Leaf Powder)

  • 조상훈;정장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67-574
    • /
    • 2010
  • Pork patties were formulated with either steam-dried green tea power or freeze-dried raw tea leaf powder, 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se products were monitored. Proximate analysis of tea powder contained 17.80~19.85%, 4.70~5.73%, and 5.60~5.77% (as is) crude protein, crude fat, and crude ash,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ce differences in pH among the samples. Chromaticity tended to decrease brightness ($L^*$) and redness ($a^*$),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yellowness ($b^*$) as the added amount of tea power was increased. For texture, hardness increased as more green tea powder was added.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and volatile basic nitrogen (VBN) values increased after storage for 12 days, whereas samples formulated with green tea powder showed lower TBARS and VBN values compared to control groups. Sensory panelists showed preference for samples with green tea powder add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인삼엽(人蔘葉)을 이용(利用)한 다류제조(茶類製造)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Ginseng-leaf' tea)

  • 양희천;이석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2권1호
    • /
    • pp.51-57
    • /
    • 1979
  • 전북지방(全北地方)의 백삼포(白蔘圃)에서 부산물(副産物)로 생산(生産)되는 인삼엽(人蔘葉)을 이용(利用)하여 다류(茶類)로 조제(調製)하는 실험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인삼엽(人蔘葉) 중(中)에는 다엽(茶葉)에서보다 가용분(可溶分)이 훨씬 많으며 열탕추출(熱湯抽出)이 아주 잘된다. 2. Tannin함량(含量)은 평균(平均) 2.2% 정도로 다엽(茶葉)의 7.89%보다 훨씬 적어 수감미가 적다. 3. 인삼엽(人蔘葉) 중(中)의 비타민 C량(量)은 다엽(茶葉)과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50{\sim}110$배(倍))로 많이 함유(含有)하고 있다. 4. 인삼엽(人蔘葉)의 dammarane계(系) glycoside 함량(含量)은 $5.7{\sim}8.5%$로서 많은 함량(含量)을 가지고 있고 panaxadiol과 panaxatriol의 비는 $0.54{\sim}0.75$로서 panaxatriol계(系) saponin이 훨씬 많다. 5. 가용분(可溶分), 착색도(着色度)등을 고려할때 인삼엽(人蔘葉) 제품(製品) 2g을 200ml의 물에 넣어 3분간추출(分間抽出)하는 것이 가장 좋았다. 6. 기호적(嗜好的) 특성(特性)으로 볼때 또한 유효성분(有效成分) 함량면(含量面)에서도 증자(蒸煮)${\rightarrow}$건조(乾燥)${\rightarrow}$배소(焙燒)과정을 거치는 D제품(製品)이 가장 우수하다.

  • PDF

뽕잎과 녹차혼합분말의 급여가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의 항당뇨효과 (Anti-diabetic effect of the mixture of mulberry leaf and green tea powder in rats with streptozotocin-induced diabetes)

  • 손희경;한주희;이재준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49-559
    • /
    • 2014
  • 뽕잎, 녹차 및 뽕잎과 녹차혼합물이 sterptozotocin 유발 당뇨 쥐의 혈당 조절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실험군은 정상군(N), 당뇨 대조군(STZ), 5% 뽕잎 분말 첨가 당뇨군(STZ-M), 5% 녹차 분말 첨가 당뇨군(STZ-G) 및 2.5% 뽕잎과 2.5% 녹차혼합분말 첨가 당뇨군(STZ-MG)으로 5군으로 나누어 4주간 실시하였다. 체중증가량은 뽕잎, 녹차 및 뽕잎과 녹차혼합물 첨가 당뇨군(STZ-M, STG-G, STZ-MG)들이 당뇨 대조군(STZ)에 비하여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다소 증가하였다. 뇨 중 포도당 함량은 뽕잎, 녹차 및 뽕잎과 녹차혼합물 첨가 당뇨군(STG-G, STZ-MG)들이 당뇨 대조군(STZ)에 비하여 감소효과를 보였다. 4주간 혈당의 변화는 뽕잎, 녹차 및 뽕잎과 녹차혼합물(STZ-M, STG-G, STZ-MG)의 급여로 혈당 수준이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뽕잎과 녹차혼합물 첨가 당뇨군(STZ-MG)이 혈당 강하효과가 가장 높았다. 시험 종료 후 혈청 포도당 함량은 뽕잎, 녹차 및 뽕잎과 녹차혼합물 첨가(STZ-M, STG-G, STZ-MG)로 당뇨 대조군(STZ)에 비하여 모두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나 정상군(N)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혈청 인슐린 함량은 녹차 및 뽕잎과 녹차혼합물 첨가(STG-G, STZ-MG)로 당뇨 대조군(STZ)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혈청 fructosamine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 뽕잎, 녹차 및 뽕잎과 녹차혼합물의 급여는 STZ로 유발된 당뇨 쥐의 혈당 강하효과를 확인하여, 당뇨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Morphological and Genetic Characterization of Caffeine-Rich and -Poor Tea Tree (Camellia sinensis L.) Lines

  • Kim, Yong-Duck;Jeong, Mi-Jin;Song, Hyun-Jin;Yun, Seok-Rak;Heo, Chang-Mi;Kim, Chang-Soo;Moon, Hyun-Shik;Choi, Myung-Suk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5호
    • /
    • pp.1-8
    • /
    • 2011
  • In this study, 160 tea tree (Camellia sinensis L.) lines were classified by caffeine content using colorimetric methods. Among them, caffeine-rich lines (HR-78, HR-137, HR-82 and HR-123) and poor lines (HP-85, HP-88, HP-19, and HP-131) were selected. To know the difference in morphological and genetic characters between caffeine-rich and poor lines, we used leaf/shoot growth and RAPD methods. Cluster pattern of morphological characters (leaf width, leaf length, leaf area and shoot length) showed that shoot length was longer in caffein-rich lines than in -poor lines. In genetic analysis, amplified DNA bands having various sizes were detected in RAPD analysis where 30 random primers were used. However, the discriminated primer set that distinguish caffein-rich tree line from -poor lines was not found.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to determine the morphological and genetic differences among caffein-rich and -poor lines.

한국산다수(韓國産茶樹)의 내한성(耐寒性)에 관(關)한 연구(研究) -특(特)히 지역별(地域別) 엽형태(葉形態)와 내한성(耐寒性)을 중심(中心)으로 (Studies on the Cold Resistance of The tea Plant in Korea -Especially on Leaf form and Cold resistance)

  • 김재생;김창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37-43
    • /
    • 1981
  • 내한성(耐寒性) 다(茶)나무의 개발(開發)에 의(依)하여 다원조성(茶園造成)의 북한(北限)을 현재(現在)보다 더 확대(擴大) 하고자 하는 목적(目的)으로 한국(韓國)의 각(各) 지역별(地域別) 다(茶)나무의 엽형태(葉形態)와 내한성(耐寒性)을 조사(調査)하여 보았던바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엽장(葉長)은 5.1cm에서 8.4cm의 범위내(範圍內)에 있었는데 그중(中) 무등산(無等山) 다(茶)나무의 엽면(葉面)이 $27.36cm^2$로서 제일(第一) 넓었었다. 2. 거치수(鋸齒數)는 43개(個)에서 73개(個)의 범위내(範圍內)에 있었고 이중(中) 보림산(寶林山)의 다엽(茶葉)이 제일(第一) 많았었으며 각지역(各地域)마다 엽장(葉長)은 엽폭(葉幅)에 따라 비례적(比例的)으로 증감(增減) 되였었다. 3. 측맥수(側脈數)는 13개(個)에서 19개(個)의 범위내(範圍內)에 있었는데 이중 보림산(寶林山)의 것이 제일(第一) 많았었고 엽장(葉長)은 엽폭(葉幅)에 따라 역시(亦是) 비례적(比例的)으로 증감(增減) 되였었다. 4. 엽형태수(葉形態數)는 각지역(各地域)마다 2~3의 범위내(範圍內)에 있었으며 거이 변이(變異)가 없었고 장수원형(長隨圓形)의 것이 많았었다. 5. 일반적(一般的)으로 고산(高山)의 것은 엽장(葉長)과 엽폭(葉幅)이 모두다 적은것이 특징(特徵) 이였었다. 6. 어느 지역(地域)에 있어서나 한국산(韓國産) 다(茶)나무의 품종(品種)은 중국(中國)에서 전래(傳來)된 Thea Sinensis Linne var. Bohea의 동일(同一)한 품종(品種)이였는데 이 품종(品種)이 삼신산(三紳山)에 파종(播種)된 이래(以來) 각지역(各地域)으로 전파(傳播)되는 동안에 지리적조건(地理的條件)과 기후적조건(氣候的條件)의 영향(影響)을 받아 외부(外部)의 형태(形態)에 약간(約干)의 적은 변이(變異)가 생긴것이라고 생각 되였었다. 7. 또한 우리나라 칠개지역(七個地域)의 각지역별(各地域別) 다(茶)나무에 대(對)한 내한성(耐寒性)을 조사(調査) 하기 위(爲)하여 처리온도(處理温度)와 처리시간별(處理時間別)로 저온처리(低温處理)를 하여 보았던바 무등산(無等山) 다(茶)나무와 화엄산(華嚴山) 다(茶)나무가 내한성(耐寒性)이 가장 강(強)하였었으며 삼신산(三紳山) 다(茶)나무와 보림산(寶林山) 다(茶)나무는 중간정도(中間程度)였었고 조계산(曹溪山) 다(茶)나무와 묘포(苗圃)의 다(茶)나무는 제일(第一) 약(弱)한 편이였었다. 8. 다엽(茶葉)의 한계(限界) 온도(温度)는 무등산(無等山) 다(茶)나무와 화엄산(華嚴山) 다(茶)나무가 그리고 삼신산(三紳山) 다(茶)나무와 보림산(寶林山) 다(茶)나무가 $-10^{\circ}C$ 였으며 조계산(曹溪山) 다(茶)나무와 묘포(苗圃)의 다(茶)나무는 $-5^{\circ}C$ 였었고 각지역(各地域)에 있어서의 다(茶)나무 전체(全體)의 치사온도(致死温度)는 $-15^{\circ}C$ 였었다. 9. 저온처리시간(低温處理時間)을 길게 하여도 한계온도(限界温度)는 불변(不變) 하였으며 한계온도(限界温度)를 넘는 저온처리(低温處理)를 하면 한해(寒害)는 격증(激增) 하였었다. 10.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내한성(耐寒性)이 강(強)한 무등산(無等山) 다(茶)나무의 가장 우량(優良)한 지엽(枝葉)을 선발(選拔)하여 이의 삽목(揷木)에 의(依)한 유묘(幼苗)로 다원조성(茶園造成)의 북한(北限)을 지금(只今)보다 더 확대(擴大) 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한국산(韓國産) 다(茶)의 증산방안(增産方案) 이라고 생각한다.

  • PDF

녹차잎분말을 사용한 마루판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Fancy Veneer Plywood Floor using Green Tea Leaves Powder)

  • 강석구;이화형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84-292
    • /
    • 2010
  •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properties of fancy cherry veneer overlaid on the PF resin bonded Meranti plywood floor, which 2.5% green tea leaf powder was applied in the UV varnishes and the adhesives for scavenging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various properties of the treated samples, such as density, moisture content, thickness swelling, bending strength(MOR), adhesion shear strength, surface abrasion, curling, cyclic delamination test with boiling water, boiling property, cold-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acid resistance and alkali resistance, and anti-contamination propert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operties of the control samples. 2.5% green tea leaf powder treated floor gave a little better results than the control for surface scratch test. 2. In case of QUV and weathering test, no difference between the treated sample and control was found. 3. The floor was discolored by adding 10% green tea leaf powder to UV coating, and the floor was also discolored to light green during by the soaking test. The color of floor was not changed up to 5% addition leve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