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x Obligations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1초

Factors Affecting Tax Compliance among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Evidence from Vietnam

  • LE, Hoang Thi Hong;TUYET, Vuong Thi Bach;HANH, Chu Thi Bich;DO, Quang Hung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7호
    • /
    • pp.209-217
    • /
    • 2020
  • Taxes are levied in almost every country, primarily to raise revenue for government expenditures. This study explores factors influencing tax compliance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in Vietnam. Data from 376 SMEs, who are business taxpayers, were collected through a researcher-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method. The results indicate that six groups of factors have significant impacts on tax compliance among Vietnamese SMEs. These groups include: Business characteristics (BC), Characteristics of accounting practices within organization (AP), Awareness of tax obligations (TO), Tax policy (TP), View on tax compliance (TC), and Probability of tax examination on taxpayer compliance (TE). Multivariate analysis was adopted; Cronbach's alpha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he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was used. The findings show that, among these six factors, the most influential is Characteristics of accounting practices (AP). Thus, it is recommended that tax agencies should help SMEs improve their accounting skills and increase their knowledge by organizing training workshops and short courses on taxation. SMEs also need to have an adequate account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principles and standards prescribed by the Tax Law.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provide important insights and understandings to policy-makers, practitioners, academicians and other regulatory authorities in tax policy formulations.

Factors Affecting Electronic Tax Compliance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Vietnam

  • LE, Huyen Thi Dieu;BUI, Men Thi;NGUYEN, Giang Thi Cam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1호
    • /
    • pp.823-832
    • /
    • 2021
  • In Vietnam, tax compliance has become an important goal in the tax reform strategy. In the context of technology 4.0, the application of the electronic tax system is of great significance to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The paper explores factors influencing electronic tax compliance of SMEs in Vietnam. Data from 402 SMEs, who are business taxpayers, was selected through a researcher-designed questionnaire survey method. The results indicate that four groups of factor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electronic tax compliance among Vietnamese SMEs. These groups include Taxpayer Awareness (TA), Perceived Ease of use (PTE), Vietnamese tax administration (VTA,) and Efficiency of Vietnamese tax policy (VTP). The factor analysis was adopted; Cronbach's alpha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was used. The findings found that among these four groups, the most influencing factor is taxpayer awareness. It is suggested that the Vietnamese government should pay attention to promote and support SMEs to raise full awareness of tax obligations. This could be done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conducting workshops for updating tax policies and short courses to business taxpayers of electronic tax compliance. The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some important implications for policy-makers and practitioners in tax policy reform in Vietnam.

한국 관세법상 가산세에 관한 연구 - 행정형벌 병과와 중가산세 조항의 위헌 여부 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enalty Tax under the Korean Customs Act-Focusing on the Unconstitutionality of the Adminstrative Penalty Imposed together and Heavy Penalty Tax)

  • 박민규
    • 무역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185-201
    • /
    • 2021
  • This paper analyzes the penalty tax system under the Customs Act of Korea and examines whether the penalty tax provision violate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when imposed on a person who does not made import declaration intentionally or travelers who has not been made an import declaration of their carry-on items. It examines the provisions that adopt a penalty tax as a means to secure the effectiveness of the customs law. In relation to penalty tax, the case studies of the Supreme Court and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are analyzed by major issues such as the legal nature of the penalty tax, whether the penalty tax is unconstitutional, and the reasons for exemption from the penalty tax. There is no reasonable basis for the high penalty tax imposed on travelers' carry-on items for which import declaration has not been made. It is necessary to unify the penalty tax imposed when an import declaration is not made and the penalty tax on traveler's carry-on item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limit on penalty tax and to create new regulations to exempt or reduce penalty tax when punished by administrative punishment to avoid double jeopardy. It is necessary to effectively secure the effectiveness of the Customs Act by converting the penalty tax into civil penalty that does not presuppose the faithful and accurate performance of tax obligations by the taxpayer. The government revised the penalty tax system in the Customs Act in 2019, but there are still many types of penalty tax and there are elements that are unconstitutional. It seems that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lower the burden on the people by improving the system for the penalty tax system.

Government Policies and Promotion for Enhancing Bioenergy Adoption in Korea and USA

  • 김동식;주현수
    • 환경정책연구
    • /
    • 제3권1호
    • /
    • pp.55-69
    • /
    • 2004
  • Bioenergy can be obtained from various forms of biomass such as agricultural, food processing, and municipal wastes. Recently, its importance is recognized more seriously because of its positive impacts on economic and stable energy supply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Despite its advantages, bioenergy has not been used as much as it was expected, nor has it been developed to the level of attractive commercialization in energy market. The main reasons for the sluggish progress have been analyzed by comparing the bioenergy policies in Korea and U.S.A. Both Korea and U.S. governments have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bioenergy and put in various efforts to promote the use of bioenergy. Both governments have legislated alternative energy promotion plans that support R&D, tax reduction, rewards, and low interest loans. However, it is suggested that the bioenergy policy and plan juxtapose the financial supports (R&D, tax exemption, low interest loan, education, etc.) with strong mandates and obligations. Although imposing strong mandates prerequisites the economically attractive and feasible technologies, it can motivate and speed up more effective technology development, in turn. In addition, the bioenergy R&D support must include studies on commercialization and marketing as well as process development. R&D on the socioeconomic effects of bioenergy should also be supported. Lastly, decision making processes for the bioenergy policy, and for alternative energy overall, must include environmental agencies for taking advantage of environmental benefits of bioenergy.

  • PDF

동태 글로벌 CGE 모형을 활용한 정책 포트폴리오의 Post-2012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An Economic Impact Analysis of the Post-2012 Policy Portfolio, Utilizing the Global Dynamic CGE Model)

  • 김수이;조경엽;유승직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8권4호
    • /
    • pp.587-635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Post-2012 의무부담에 대한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을 위해 글로벌 동태연산기능일반균형모형(Global Dynamic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Model : Global CGE Model)을 개발하는 것이다. 즉, 본 모형을 통해 우리나라의 의무부담 증가에 따라서 국제 배출권거래시장과 GNP, 소비, 투자, 수 출입 등 거시경제 변수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기존 연구와는 달리 본 모형은 전 세계를 주요 경제그룹으로 나누어 분석한 글로벌모형으로서 주요 국가의 거시경제지표를 모두 반영하고 있으며, 이론적으로는 내생적 경제성장이론을 적용하고, 정책적으로는 배출권거래제도와 탄소세 등을 반영하고 있다. 특히 외생적인 기술진보를 모형에 반영하였다. 본 분석에 의하면, 온실가스 감축이 강화될수록 경제에 미치는 악영향이 커진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거시경제지표 중에 무역수지의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나고 그 다음으로 투자 소비의 감소율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산업별로는 에너지 의존도가 큰 에너지 다소비 업종일수록 온실가스 감축 영향이 크게 나타난다. 그리고 현재 개발도상국의 지위를 부여받고 있는 한국이 온실가스 감축 의무부담을 받으면 상대적으로 중국 등 다른 개발도상국들은 이득을 본다.

  • PDF

새로운 수익인식기준이 통신사업자의 재무보고에 미치는 영향 : 규제회계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New Revenue Recognition Standard on Telecom Firms' Financial Reporting : Focusing on Regulatory Accounting)

  • 천미림;정진향;이태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1호
    • /
    • pp.163-170
    • /
    • 2019
  • 새로운 기술과 산업의 등장으로 통신산업의 융복합화가 가속되면서 규제제도 개편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2018년 기업의 수익에 큰 변화를 야기하는 새로운 수익인식기준이 도입되었다. 본 연구는 새로 도입된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 제1115호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긴 수익'의 규제회계제도 적용가능성을 검토하고 통신정책 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먼저 K-IFRS 제1115호 중 통신사업자의 수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내용을 정리하고, 기존의 수익인식기준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또한 수행의무의 식별, 거래가격산정 및 거래가격의 배분에 대한 사례를 제시하여 새로운 수익인식기준이 통신사업자의 수익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회계처리방법을 제시하였다. 통신사업자의 수익에 가장 큰 변화는 거래가격을 거래가격을 통신서비스와 휴대전화단말기 판매 두 개의 수행의무에 배부하는 것이며 이로 인해 사업자의 통신서비스매출은 일제히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새로운 수익인식기준의 도입에 대한 고찰을 통해 통신사업자의 수익의 변화와 회계처리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고, 통신정책 수립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A Study on the Reasonable Choice and Utilization of Incoterms 2020 Rules from the Perspective of Logistics and Supply Chain Management

  • Yang, Jung-Ho
    • Journal of Korea Trade
    • /
    • 제25권1호
    • /
    • pp.152-168
    • /
    • 2021
  • Purpose - This paper has an objective to suggest reasonable criteria in choosing Incoterms 2020 rules for efficient and effective logistics management in that the Incoterms rules affect not only the rights and obligations of the parties to the sales contract but also the control and management of logistics system and transaction costs in the transaction. Design/methodology - An analysis of the various factors is needed to assess the positive or negative impact on global value chain in choosing Incoterms rules from a total logistics view.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which the content of individual incoterms rules can have on the operation of international logistics systems under the global value chain from a strategic perspective to suggest reasonable criteria for selection of Incoterms rules depending on the transaction situation. Findings -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consideration of various aspects which includ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s, logistics capabilities, infrastructure, transaction volume, operational cost, customs regulations, tax and accounting should be reflected in choosing the appropriate Incoterms rules. Therefore, in order to minimize the total cost and improve logistics performance, it may be helpful to develop a decision support model which allows users to select appropriate Incoterms rules based on various influencing factors. Originality/value -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previous research which has mainly focused on the rights and obligations of the parties to the transaction regarding the transfer of risks and costs under the Incoterms. In addit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s implications for export and import companies that can be able to use Incoterms as a strategic tool to efficiently manage the global value chain and improve supply chain performance.

종교인소득 과세제도 (A Study on the Taxation of the Clergy's Income)

  • 김광용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8호
    • /
    • pp.109-116
    • /
    • 2018
  • 본 연구는 2018년부터 시행되는 소득세법상 종교인소득 과세와 관련한 법률규정과 주요 쟁점에 대하여 검토해 보고, 이에 대한 올바른 개선 방안을 검토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8년 1월 1일부터 시행되는 종교인소득 과세와 관련된 찬성론과 반대론에 대한 내용을 재검토하고 과세제도의 기본방향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종교인소득 과세제도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주요쟁점 사항을 분석적 검토를 통하여 합리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첫째, 종교인소득을 근로소득의 별도 항목으로 규정하는 것이 법체계적 측면이나 실질적인 측면에서 최선의 방안이 될 것이다. 둘째, 필요경비 공제율 적용에 있어서 근로소득에 대한 근로소득공제를 적용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종교인의 소득에 대한 정확하고 투명한 신고가 요구되므로 원천징수 의무를 강제하는 방안이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종교 활동과 관련하여 지출한 비용의 투명성과 신뢰성 제고를 위해 종교단체의 전체 수입과 지출에 대한 내용을 외부에 공시하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현행 종교인소득 과세제도와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검토한 연구로써, 종교인소득 과세와 관련된 논의의 출발점과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관련분야 연구에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코로나19 긴급재난지원금을 둘러싼 한국과 일본의 다문화 국민에 대한 유튜브 댓글 비교 (Comparison of YouTube Comments on Multicultural Citizens of Korea and Japan over COVID-19 Emergency Relief Funds)

  • 권세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112-12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일본은 단일 민족 국가관을 같이하지만, 정부의 코로나19 긴급재난금 외국인 대상에 대해서는 차이가 있었고 이에 대해 다수의 반응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동영상 소셜미디어인 유튜브에서 한국과 일본 각국의 거주 외국인에게 코로나19 재난지원금을 지원한다는 동영상에 나타난 사용자들의 댓글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한국과 일본은 공통적으로 긍정 의견들의 전제 조건들은 세금 납부 여부이며 즉 의무만 다한다면 이주민도 선주민과 같이 국가의 혜택, 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의견이다. 다음으로 한국과 일본은 공통적으로 한·중·일 서로를 의식하고 있음을 댓글을 통해 알 수 있다. 한국과 일본의 댓글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차이점은 '국적'이다. 일본은 제도에 근거해 선주민과 이주민을 구분하고 한국은 국적의 여부보다 세금과 돈과 관련해 의견이 더 몰려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긴급재난지원금 외국인 포함 정책에 대해 외국인 인식 비교가 가능했다는 의의가 있다.

공익적 스포츠협회의 회계 및 조세의무에 관한 독일의 법 모델 (German legal model for the accounting and taxation obligation in public sports organizations)

  • 김광수
    • 산학경영연구
    • /
    • 제21권1호
    • /
    • pp.37-49
    • /
    • 2008
  • 여가문화의 급속한 발전은 스포츠에 대한 수요 증가와 함께 종목별로 수많은 스포츠 협회의 결성을 가져왔다. 스포츠협회가 스포츠 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인 기관으로서 주어진 기능을 다하고 계속 발전해 나가기 위해서는 비록 공익적 단체라고 하더라도 영리법인에 적용되는 회계보고 및 세부제도의 도입을 통하여 재무 및 사업 활동의 합리성과 투명성을 갖추어 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런 의미에서 스포츠협회의 회계 및 조세의무에 대한 제반 규정 또한 명확하게 정비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공익적 스포츠 협회의 회계 및 조세에 관한 독일의 법 모델, 즉 통상적으로 영리단체의 법적 형식을 갖추고 조세기본법상 규정된 공익성의 가정들을 충족시키는 모델에 기초를 두고, 우리나라 스포츠협회의 회계 및 조세의무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