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per wedg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43초

레이저 트레판닝 드릴링을 위한 광학 설계 (Optical Design for Trepanning Drilling)

  • 노지환;이제훈;서정;손현기;신동식
    • 한국레이저가공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1-14
    • /
    • 2007
  • A trepanning optics is the optical system which makes focus laser beam rotate and incline to the material processing surface. The trepanning optics is use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aser drilling process and control the taper of drilling diameter. In order to make trepanning optics, we can use the eccentricity of lens, scanner using two mirror, dove prism, or wedge. Among these method, in this paper wedge is used for trepanning optics. The wedge trepanning optics has advantage on the high speed of rotation. In this paper, we design the wedge trepanning optics using ray tracing. ements and engine design variables of system to satisfy the customer's requirements.

  • PDF

압축공기에너지 저장 공동의 콘크리트 플러그 최적 형상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Numerical Study on the Optimal Shape of Concrete Plug for Compressed Air Energy Storage Caverns)

  • 박도현;김형목;류동우;신중호;송원경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1권3호
    • /
    • pp.164-17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압축공기에너지 저장 공동의 콘크리트 플러그 최적 형상을 조사하기 위해 플러그 형상에 따른 저장 공동의 안정성을 수치해석적으로 평가하였다. 고려한 플러그 형상은 원통형, 암반에 근입된 원통형, 테이퍼형, 쐐기형이었고, 강도감소법에 의한 안전율과 압축 공기의 압력으로 인해 콘크리트에 발생하는 항복 영역의 부피비를 토대로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안정성 분석 결과, 암반에 근입된 원통형과 테이퍼형 플러그가 원통형과 쐐기형 플러그보다 역학적으로 더 안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암반에 근입된 플러그의 경우 플러그와 암반이 접촉하는 부분에서 응력 집중이 발생하여 암반에 근입된 원통형 플러그보다는 테이퍼형 플러그 가 최적의 형상인 것을 확인하였다.

손상 없이 영구 접착 보철물을 제거할 수 있는 cementation type 임플랜트 지대주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LETE RETRIEVAL SYSTEM OF THE CEMENTATION TYPE IMPLANT ABUTMENT)

  • 최진호;이재봉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97-607
    • /
    • 2004
  • Purpose: This study was peformed to investigate the retrievability of the cemented crown from the cementation type implant abutment. Material and method: The cementation type implant abutments (NEOBIOTECH implant abutment regular, 3 degree taper, 10mm length, 4mm diameter, Ti grade III, machined surface. Hwasung, Kyunggi-do) and cemented crowns were divided into 3 groups, depending on their hole angles formed in the crowns for their retrievability. The abutments and crowns were luted with 4 kinds of cements and separation test using metal wedge was executed with Instron 4465 Universal Testing Machine and the maximum impact force of the modified crown ejector was measured. Results and conclusion : 1. All of the cementation type implant abutments and cemented crowns were separated with relatively small force by metal wedge. 2. The retrieving force was minimum when the metal wedge was applied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abutment. 3. The force for retrieving crowns from abutments was maximum in resin cement group, and reduced in orders of zinc phosphate cement, glass ionomer cement and zinc oxide eugenol cement. 4. The maximum force obtained by the crown ejector was higher than the retrieval force in ZOE and GI cement and lower than that in ZPC and resin cement. 5. If it has similar conditions clinically, the cemented crowns luted with 2 types of cements (ZOE, GI cement) can be safely retrieved from the cementation type implant abutments by the modified crown ejector.

압축공기 저장용 파일롯 터널에 설치된 콘크리트 플러그의 안정성 해석 (Stability Analysis of Concrete Plugs Installed in Pilot Tunnels for the Storage of Compressed Air)

  • 이연규;송원경;박철환;최병희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0권6호
    • /
    • pp.446-454
    • /
    • 2010
  • 압축공기를 활용한 가스터빈 발전방식(CAES-G/T)은 태양열이나 풍력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의 출력 변동성을 조절하는 유력한 수단 중 하나로 고려되고 있다. 국내에서 CAES 발전이 실용화된다면 지질여건상 암반터널식이 채택될 가능성이 크다. 암반터널식 CAES 시설에서는 압축공기 저장공간을 밀폐시키기 위한 콘크리트 플러그의 설치가 필요하므로 플러그의 형상과 크기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한 설계변수가 된다. 파괴에 대한 안전율 분포와 접촉부 접촉압력 분포 분석을 통해 2가지 형태의 콘크리트 플러그에 대한 안정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주어진 지질조건에서는 테이퍼형 플러그가 쐐기형 플러그에 비해 구조적으로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쐐기형 플러그의 경우 측면 접촉부에서 분리현상이 예측되었고 이러한 분리면에서 압축공기의 누출 가능성과 마찰저항의 감소가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CFRP 긴장재용 압착형 정착장치의 정착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erformance of Compression-Type Anchor for CFRP Tendons)

  • 정우태;이승주;박영환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611-618
    • /
    • 2008
  • 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긴장재는 PS 강연선의 부식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안으로 사용될 수 있다. CFRP 긴장재는 횡방향 압력 및 응력집중에 취약하므로 기존의 PS 강연선에 적용되는 정착시스템의 적용은 조기파괴 등으로 인하여 믿을만한 내하성능을 주지 못한다. 따라서 CFRP 긴장재를 정착하기 위한 알맞은 정착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CFRP 긴장재용 정착구의 주된 형태는 쐐기형, 부착형 및 압착형으로 구분되며 이들 형태는 CFRP 긴장재에서 발생되는 조기파단을 방지하고 국부응력을 적절히 분산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은 CFRP 긴장재를 정착시키기 위해 압착형 정착방식을 적용하여 응력집중을 완화시키기 위해 슬리브 내외경에 변단면을 적용하고, 변단면 길이에 따른 압착형 정착구의 정착성능을 고찰하였다. 실험결과 정착구의 성능은 슬리브 제원과 압착력에 크게 좌우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응력완화구간을 갖는 슬리브는 응력집중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