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bility Analysis of Concrete Plugs Installed in Pilot Tunnels for the Storage of Compressed Air

압축공기 저장용 파일롯 터널에 설치된 콘크리트 플러그의 안정성 해석

  • 이연규 (군산대학교 해양건설공학과) ;
  • 송원경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
  • 박철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
  • 최병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 Received : 2010.12.10
  • Accepted : 2010.12.23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CAES-G/T (Compressed Air Energy Storage - Gas Turbine) power generation is a likely option for the buffer facility stabilizing the fluctuation of the renewable powers, such as wind and solar powers. Considering the geological conditions, the underground CAES facility is most probable if the CAES-G/T generation is planed in Korea. In this kind of facility, a concrete plug is installed to seal the compressed air in the container, so that the selection of the shape and dimension of concrete plug could be a critical design factor. The stability evaluation of two types of plug was carried out by investigating the distribution of the factor of safety in the plugs and the distribution of contact pressure over the contact surface.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the taper-shaped plug is more structurally stable than the wedge-shaped plug for the given geological condition. Possible separation of the rock-concrete interface around the spring line of the wedge-shaped plug is anticipated, which means the possible leakage of compressed air through the side wall and also means the poor mobilization of frictional resistance on that area.

압축공기를 활용한 가스터빈 발전방식(CAES-G/T)은 태양열이나 풍력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의 출력 변동성을 조절하는 유력한 수단 중 하나로 고려되고 있다. 국내에서 CAES 발전이 실용화된다면 지질여건상 암반터널식이 채택될 가능성이 크다. 암반터널식 CAES 시설에서는 압축공기 저장공간을 밀폐시키기 위한 콘크리트 플러그의 설치가 필요하므로 플러그의 형상과 크기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한 설계변수가 된다. 파괴에 대한 안전율 분포와 접촉부 접촉압력 분포 분석을 통해 2가지 형태의 콘크리트 플러그에 대한 안정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주어진 지질조건에서는 테이퍼형 플러그가 쐐기형 플러그에 비해 구조적으로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쐐기형 플러그의 경우 측면 접촉부에서 분리현상이 예측되었고 이러한 분리면에서 압축공기의 누출 가능성과 마찰저항의 감소가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택곤, 김지연, 이진무, 2008, 압축공기에너지 저장(CAES) 의 현황과 전망, 2008 한국암반공학회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123-131.
  2. 김형목, 류동우, 정소걸, 송원경, 2009a, 복공식 압축공기 지하저장을 위한 가변성 분할 라이닝 터널기술, 터널과 지하공간 (한국암반공학회지), 19.2, 77-85.
  3. 김형목, 류동우, 정소걸, 송원경, 2009b, 일본의 압축공기 지하암반저장 기술, 2009 한국암반공학회학술발표회 논문집, 9-19.
  4.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 2010, 압축공기에너지 지하저장 pilot plant 구축 상세설계 용역 설계보고서.
  5. Baker, J., 2008, New technology and possible advances in energy storage, Energy Policy, 36, 4368-4373. https://doi.org/10.1016/j.enpol.2008.09.040
  6. Hoek, E. and Diederichs, M.S., 2006, Empirical estimation of rock mass modulus, Int. J. Rock Mech. Min. Sci. & Geomech. Abstr. 43, 203-215.
  7. Ooi, L.H., Carter, J.P., 1987, Direct shear behavior of concrete-sandstone interfaces, Proc. 6th Int. Congr. on Rock Mech., Montreal, Canada, pp. 467-470.
  8. Salter, M. de G., 1984, Design aspects for an underground compressed air energy storage system in hard rock, ISRM/BGS Symp. on Design and Performance of Underground Excavations, Cambridge, U.K.
  9. Solidworks Corp., 2007, Solidworks 2007.
  10. Wyllie, D.C., 1999, Foundations on rock (2nd Ed.), E & FN Spon.
  11. 橫山英和, 篠原俊彦, 加藤拓一郞, 2002, 壓縮空氣貯藏發 電パイロットプラソトの 實証運轉, 電力土木, 150-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