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annic-acid

검색결과 209건 처리시간 0.035초

페놀성 화합물의 아질산염 소거 및 전자공여 작용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 강윤한;박용곤;이기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32-239
    • /
    • 1996
  • 천연에 광범위하게 존재하고 있는 각종 폐놀성 화합물은 니트로화 반응의 저해제로 관여하거나 항산화제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본 연구에서는 이들 각종 페놀성 화합물의 아질산염 소거작용과 전자공여 작용 유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들 화합들의 농도를 $0.1mM{\sim}6mM$용액을 조제한 후, 이 액 일정량을 이용해 아질산염 소거작용과 전자공여 작용을 비교하였다. 아질산염 소거율에서 phenolic acid류는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일부는 pH 1.2, 3.0에서 flavonoids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전자공여능에서 phenolic acid류 가운데 hydroxybenzoic acids는 gallic acid> gentisic acid> syringic acid> protocatechuic acid> salicylic acid> vanillic acid> benBoic acid>p-hydroxy benzoic acid 순으로 나타났으며, hydroxycinnarnic acids가운데 전자공여능의 크기는 hydrocaffeic acid> caffeic acid> ferulic acid> p-coumaric acid>trans-cinnamic acid 순으로 나타났고, flavonoids 가운데에서는 (+)catechin> rutin> quercetin>naringin=hesperidin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tannic acid를 포함한 기타 phenol성 화합물에 없어서도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 PDF

동결 농축 두누리 와인의 품질 특성과 휘발성 향기 성분 (Quality Characteristics and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Doonuri Wine Using Freeze Concentration)

  • 박혜진;최원일;한봉태;노재관;박정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85-493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Doonuri wine, using freeze concentration. The freeze concentration can increase the sugar concentration in grape juice by reducing its water content. In this study, after eight days od fermentation, the alcohol content of freeze-concentrated Doonuri wines was 12.5~14.1%. The pH of the wine was 3.42~3.50 and the total acid content was 0.68~0.94 g/100 mL, respectively. The brghtness of freeze-concentrated Doonuri wines was 19.28~54.42, the redness was 41.98~49.58, and the yellowness was 36.16~42.36. The organic acid analysis of Doonuri wines was that most of the organic acids contain tartaric and malic acid. By using freeze concentration with grape juice, significant increase in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Doonuri wines was 122.40~137.26 mg/mL, the total anthocyanin content was 117.06~118.40 mg/L and the tannic acid content was 66.23~83.70 mg%. In GC/MS analysis,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 analysis of Doonuri wines identified six alcohols, five esters, two ketones, on acid, two alkanes, and four other compounds.

산수유로부터 gallic acid 추출 및 HPLC에 의한 정량분석 (Optimization of Extraction Method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Gallic Acid from Cornus officinallis)

  • 장미;김연주;민진우;양덕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498-502
    • /
    • 2009
  • 떫은 맛을 내며 항산화 물질 등으로 알려진 tannin 류의 gallic acid 추출 최적 조건을 검색하기 위해 삼투압, pH, 열처리, 주정 함량을 달리하여 추출 조건 별로 gallic acid 함량을 조사하였다. NaCl 농도를 이용한 삼투압 작용은 gallic acid 추출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사료되며 추출 용매의 pH가 3.0에서 6.0으로 갈수록 gallic acid 함량이 증가하다가 pH 7.0에서 gallic acid 함량이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80^{\circ}C$에서 다양한 주정 농도로 1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경우 주정의 농도가 높을수록 gallic acid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산수유 과육을 일정한 온도($37^{\circ}C$)에서 주정 농도 별로 12, 24, 48시간 침지 하여 추출한 결과 침지 시간과 주정 농도가 증가할수록 gallic acid 함량도 증가하였지만 주정의 농도가 70-80% 이후에는 오히려 gallic acid의 추출 효율이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산수유로부터 gallic acid 의 추출 최적 조건으로는 산수유 과육을 $37^{\circ}C$에서 침지 시주정 70%로 48시간 추출한 경우 gallic acid 함량이 높았고, 환류 추출의 경우 $80^{\circ}C$에서 주정 100%로 1시간 열처리 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gallic acid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본 실험 결과 산수유 과육으로부터 떫은 맛을 내는 gallic acid의 추출률은 주정의 농도와 온도, 추출 시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볶음 조건에 따른 구기자 열수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oxthorn(Lycii fructus) Hot Water Extracts by Roasting Conditions)

  • 이부용;김은정;최희돈;김윤숙;김인환;김성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768-772
    • /
    • 1995
  • 건 구기자와 볶음조건을 달리한 볶은 구기자의 열수 추출물에 대하여 여러 가지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건 구기자의 일반성분은 수분 17.5%, 회분 5.4%, 지방 14.7%, 단백질 18.9%, 섬유질 12.8%, 당질 31.7%였다. 열수 추출시 추출수율은 볶음온도와 시간이 증가할수록 가용성 고형분이 더 빨리 추출되었으며, 색도는 명도가 감소하고 적색도가 증가하여 추출물이 더 진한 갈색을 나타내었고 탁도 역시 증가하였다. pH는 볶음온도와 시간이 증가할수록 5.08에서 4.38로 감소하였고 산도는 0.09%에서 0.16%로 증가하였다. 유리당 함량은 볶음온도와 시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특히 glucose함량이 0.45%에서 0.12%로 크게 감소하였다. 지방산 조성은 건 구기자에 비해 볶음온도와 시간이 증가할수록 linoleic acid의 비율이 감소하고 palmitic acid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는 볶음온도와 시간이 증가할수록 단 냄새, 탄 냄새, 신 맛, 탄 맛, 떫은 맛 등은 증가하였고 단 맛과 구수한 맛은 약간 감소하였다.

  • PDF

골담초(Caragana sinica) 추출물의 생리활성 탐색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y of Caragana sinica Extracts)

  • 전영숙;조분성;박혜진;강선애;조영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9호
    • /
    • pp.1211-1219
    • /
    • 2012
  • 골담초에 함유된 페놀성 물질은 70%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18시간 추출하였을 때 가장 많이 용출되었다. 항산화 효과 중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는 꽃과 잎 모두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74%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을 측정한 결과, 꽃의 경우 70~90% 에탄올 추출물에서 60% 이상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지용성 물질에 대한 항산화력으로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PF)를 측정한 결과,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1.2 이상의 PF를 나타내었다. 활성산소 중 지방산화를 일으키는 hydroxyl radical에 대한 골담초 추출물의 영향은 꽃의 물 추출물과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대조구보다 낮은 TBARS 값을 나타내었다. ACE에 대한 골담초 추출물의 저해활성은 꽃의 경우 물과 70% 에탄올 추출물 모두 80~99%의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고, Xoase 대한 저해활성은 꽃보다 잎 추출물의 저해활성이 높았다. 골담초 추출물의 주름개선과 미백효과를 확인한 결과 꽃과 잎 추출물 모두 페놀성 물질을 0.8 m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50% 이상의 elastase 저해활성과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40.24%로 가장 높은 tyrosin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고, 수렴효과는 같은 농도의 tannic acid보다 높은 수렴효과를 나타내었다.

산마늘의 부위별 성분분석 및 생리활성 평가 (Analysis of the Various Constituents and Comparison of Biological Activities of Different Parts of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 김진영;조정용;나환식;최경철;박종수;이지헌;정선호;문제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00-105
    • /
    • 2012
  • 산마늘의 부위별(뿌리, 줄기 및 잎) 무기성분 함량과 다양한 생리활성을 평가한 결과, 부위에 관계없이 K과 Ca이 다른 무기성분에 비해 그 함량이 월등히 높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mg tannic acid eq./100 g dry wt.)은 잎($792.7{\pm}16.6$ mg) > 줄기($160.3{\pm}6.8$ mg) > 뿌리($101.5{\pm}2.7$ mg) 순이었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mg quercetin eq./100 g dry wt.)은 잎($497.9{\pm}11.1$ mg) > 뿌리($35.7{\pm}0.4$ mg) > 줄기($18.5{\pm}1.4$ mg) 순이었다. DPPH 라디칼(최종농도 250 ${\mu}M$)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을 검토한 결과, 뿌리 30 mg, 줄기 25 mg, 그리고 잎 4 mg에서 $SC_{50}$값을 보였고, CE-OOH 생성 억제 효과는 잎 > 줄기 > 뿌리 순이었다. 그리고 부위별 항균활성 검토 결과, 뿌리, 줄기, 잎 모두 C. perfringens, S. aureus, L. monocytogenes, V. vulnificus, V. parahaemolyticus에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그 중 특히 C. perfringens 균에 강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백일주의 항산화 활성 및 생리기능성 평가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Baegilju)

  • 조영호;변태강;이종화;이계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2호
    • /
    • pp.1525-1531
    • /
    • 2013
  • 백일주는 찹쌀, 백미, 누룩, 재래종 국화꽃, 오미자, 진달래, 솔잎 및 물을 넣고 100일간 발효 숙성시킨 전통주이다. 본 연구에서 백일주의 생리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활성(DPPH 라디칼, ABTS 라디칼, 아질산염 소거활성), 혈전용해활성, angiotensisn 전환효소 저해활성 및 acetylcholinesterase 저해활성을 평가하였다. 살균 처리되지 않은 백일주와 살균 처리된 백일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391.59와 401.33 ${\mu}g$ tannic acid equivalents/ml이었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284.75와 308.35 ${\mu}g$ quercetin equivalents/ml이었다. 백일주의 항산화 활성(DPPH 라디칼, ABTS 라디칼, 아질산염 소거활성)은 청주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백일주의 혈전용해활성과 acetylcholinesterase 저해활성도 청주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angiotensin 전환효소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살균 처리되지 않은 백일주는 23.62%, 살균 처리된 백일주는 19.99%, 청주는 38.91%로 청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백일주가 항산화 효과와 혈전용해 활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인삼의 부위별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Leaf, Stem and Root of Panax ginseng C. A. Meyer)

  • 이승은;이성우;방진기;유영주;성낙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37-242
    • /
    • 2004
  • 인삼 식물체의 식품 첨가물로의 이용성을 타진하기 위해 각 부위별 항산화 활성 및 총 페놀 함량을 분석,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간 LDL의 산화에 대한 저해활성은 뿌리 $(45.2{\sim}54.3%)$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linoleic acid에 대한 자동산화에 대해서는 잎이 $90.1{\sim}96.5%$의 매우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Superoxide anion 라디칼에 대해서 줄기 $(35.6{\sim}76.1%)$, 잎 $(60.1{\sim}69.3%)$, 뿌리 $(-5.6{\sim}20.1%)$의 순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대체적으로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총 페놀 화합물은 인삼 잎 $(147{\sim}200\;mg%)$, 줄기 $(110{\sim}153\;mg%) $, 뿌리 $(61{\sim}86\;mg%)$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상수리첨가 식이가 흰쥐의 혈청지질 및 간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con on the Serum and Liver of Rats)

  • 신두호;정승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55-65
    • /
    • 1996
  • The antioxidant effects of freeze-drying acorn were examined to find how much the freeze-drying acorn can reduce peroxidized corn oil poisoning, which influenced cholesterol, triglyceride, phospholipids, lipidperoxides, GOT(glutamate oxaloacetate transaminase), GPT(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in serum, and cholesterol, triglyceride, lipidperoxides, fatty acid of phospholipids, SOD(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in liver. In this experiment, male rats of Sprague-Dawley strain were used. The rats were divided into 6 groups, which were fed differently for 5 weeks : basal diet, 10% peroxidized corn oil added to basal diet, 1% acorn flour and 10% peroxidized corn oil added to basal diet, 5% acorn flour and 10% peroxidized corn oil added to basal diet, 10% acorn flour and 10% peroxidized corn oil added to basal diet, and 0.25% tannic acid and 10% peroxidized corn oil added to basal die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It was found that the peroxidized corn oil-fed 5 weeks induced the elevation of cholesterol, triglycerides, lipid peroxides, GOT, GPT in serum, and cholesterol, triglycerides, lipid peroxides in liver as compared to the basal diet-fed rats, but the acorn flour-fed rats reduced the elevation of these components. In addition, saturated fatty acid in rat liver phospholipids induced the elevation by feeding of peroxidized corn oil and, on the other hand, the acorn flour-fed rats reduced the elevation of saturated fatty acids. The acorn flour-fed rats reduced the activity of SOD in liver while they enhanced the activity of catalase in liver as compared with the peroxidized corn oil-fed rats.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mpounds in Grain Extracts of Wheat, Barley, and Oat

  • Seo, Yong-Weon;Bu, So-Young;Jeon, Woong-Bae;Kim, Dong-Sub;Heo, Hwa-You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02-107
    • /
    • 2002
  • Cereal grains are rich in phenolic compounds that give beneficial effect in human health. Although several research works have been reported on the effects of phytochemicals of plant origin, such as fruits, vegetables,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whole cereal grain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otal antioxidant capacity of 80% ethanolic extracts of cereal grains by testing the ability of the extracts to inhibit UV -induced lipid peroxidation in vitro using linoleic acid in comparison to well-known antioxidant such as ascorbic acid and tannic acid. The total phenolic content of the cereal grain (80% ethanolic extracts) investigated in this study varied from 2.1 mg/g (wheat cv. Olgeurumil) to 10.4 mg/g (barely cv. Seodunchalbori). Highl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otal phenol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was found. When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all investigated extracts were measured with application of same quantity of phenol compounds, oat grain extracts showed similar antioxidant activity of barely cultivars. However, barely extract appeared as the most potent antioxidant activity of inhibition of UV -induced lipid peroxidation. This indicated that factors such as phenolic compound composition and their individual antioxidant activity could playa crucial role in the total antioxidant activity of cereal grains.